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용운

    한용운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
  • 경력 1927년 경성지회 회장
    1927년 신간회 중앙 집중 위원
    1923년 조선민립대학기성회 상무 위원
  • 데뷔 1926년 시집 [님의 침묵]
  • 수상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2017.05.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만해 한용운[韓龍雲] 1879.8.29 ~ 1944.6.29


독립운동가 겸 승려로 일제 강점기 대표 저항시인 중 한 사람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일제 강점기 때 시집 《님의 침묵》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다.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혁신하여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했다. 관련 저서로 《조선불교유신론》 등이 있다.
1896년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가 1905년 인제 백담사에서 연곡을 스승으로 삼아 승려가 되었다. 원래는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고 이것이 실패로 돌아가자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한 것이다.
1910년 나라를 일본에 잃은 뒤로는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하는 등 만주와 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했다. 1913년에 귀국해서는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써낸다. 이 책에서 만해는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을 바탕에 두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한다.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뒤 3년형을 선고받고 징역형을 산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선다. 이듬해에는 신간회에 가입하여 곧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을 맡을 만큼 적극 활동했다.
1931년에는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바꾸고 불교 청년운동에 힘쓴다. 월간지 《불교(佛敎)》도 인수하여 많은 논문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힘썼다. 1935년에는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다.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하지만 그 후에도 불교 혁신과 일제에 대한 저항으로 일관한 대표적인 저항 시인으로 남는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는다.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님의 침묵> 저자 소개

한용운 작품 총 77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