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인류의 유산 연등회 상세페이지

인류의 유산 연등회작품 소개

<인류의 유산 연등회> 천년의 빛

해마다 수십만 인파가 등을 밝힌다.
등 하나에 자신의 마음을
등 하나에 인류의 행복을
빌고 빌며 등을 밝힌다.
부처님오신날 즈음 대한민국 전역이
오색찬란한 등 들고 밤을 밝힌다.
신라 때부터 그랬다.
천년을 이어온 빛이다.
2020년 세계는 그 빛에 주목했다.
유네스코가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새겼다.
연등회(燃燈會)다.
등재 1주년인 2021년,
코로나19로 대폭 축소했지만
치유와 희망의 등을 밝혔다.
천년 넘게 이어온 빛의 연대기,
그 위대한 여정은 끝나지 않았다.


저자 소개

이효원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종교문화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종교, 문화, 사회, 일상에 대한 공시적・통시적 시각을 아우르는 융합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허용호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가면극, 인형극, 굿, 농악 등 한국 전통연희 전반에 관한 연구에 전념해 왔다. 최근에는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정책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관련 연구로까지 관심 영역을 확장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전문위원이자 한국민속학회 부회장이다.

윤소희
한국불교음악학회 학술위원장. 「대만불교 의식음악 연구」로 한양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는 『한중불교음악연구』, 『동아시아 불교의식과 음악』, 『범패의 역사와 지역별 특징』, 『문명과 음악』, 『문화와 음악』 등이 있다. <윤소희의 음악과 여행>, <윤소희의 세계 불교음악 순례> 등 다수의 연재를 집필했다.

이윤수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대학 졸업과 함께 ‘대중불교’ 기자로 출발, 여성잡지 「주부생활」을 거쳐 1990년 불교방송 개국과 함께 방송작가가 됐다. 이후 KBS에서 30년 동안 매일 프로그램을 집필했다. 2012년 고려대 대학원에서 「연등축제의 역사와 문화콘텐츠적 특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목차

산사의 연등 글・사진. 유동영

마음과 세상을 밝히다
빛과 행복의 연결고리 글. 최호승

빛의 연대기
한순간도 천박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특별한 글. 이효원

오래된 젊은 축제
“차별 없는 세상 우리가 주인공” 글. 허용호

세상을 품다
“살아 돌아오라” 타는 목마름으로 글. 최호승

꺼지지 않는 법등
그들의 덧셈은 무한대 글. 최호승

당신이 주인공

연희·함께·신명
굉진천지 다이너마이트 글. 윤소희

트랜스포머 is 등燈
“곳곳에 은빛 꽃이 화려하네” 글. 이윤수

등燈 is 뭔들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불교 컬렉션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