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국의 역사 22권. 6·25전쟁 상세페이지

한국의 역사 22권. 6·25전쟁작품 소개

<한국의 역사 22권. 6·25전쟁> 《이야기 한국사》로 100만 독자를 사로잡은 이현희 교수의 필생의 역작!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는 우리 조상들이 열심히 살아온 발자취로서 그것은 오늘날 우리 생활로 이어져 왔고 앞으로도 힘차게 전개되어 갈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정확히 이해하고 주체적으로 터득하는 것은 그것을 토대로 내일의 나아갈 바를 설계하고자 함이다.
수많은 외침을 극복하면서 우리 민족이 이처럼 오랜 역사와 문화를 발전시켜 올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일까?
오랜 세월동안 도전과 응전 속에서 새롭게 다져진 우리의 역사는 주변국과의 관계 속에서 독자성을 띠며 성장해 왔다. 평화교류를 하고 우수한 문화를 전파하기도 했으며 때로는 위기에 처하여 온 국민이 혼신의 힘을 바쳐 내 조국 내 겨레를 지켜내는데 총화단결의 의지를 보여 극복해 나가기도 하였다. 강인함으로 우리 역사와 문화를 창조하고 계승해 왔다는 점을 흘러온 역사를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원동력은 곧 우리 선조들의 슬기이자 용맹이며 올바른 가치관의 실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반만년의 역사는 선조들의 피땀 어린 조국수호와 발전이라는 의지의 결과물이며 창조와 저항의 눈부신 기록인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잊지 말고 더 나은 내일에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한반도의 비극이자 잔혹했던 역사인 6·25전쟁, 그 참혹한 순간을 살펴본다. 6·25전쟁은 대내적으로 보면 동족상잔의 아픔이었지만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소련의 국제적인 싸움이었다. 《한국의 역사》 시리즈 22권에서는 북한군이 무방비 상태의 남한에 전면적 도발을 개시한 시점부터 유엔 측과 공산 측이 2년여에 걸친 회담 끝에 정전협정을 체결하기까지 한반도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에서 벌어졌던 일들을 밀도 있게 다루었다.


이 책의 시리즈


출판사 서평

단군 신화에서부터 격동의 현대사까지 한국의 역사를 집대성하다
우리나라의 방대한 역사를 시대순에 따라 일관성 있게 흐름을 이해시키며 담아냈다. 대부분의 한국사 통사(通史)는 지나치게 어렵거나, 지나치게 재미만을 서술하거나, 혹은 모든 분야를 망라하다 보니 책의 중심 자체가 흔들리는 일도 많았다. 《한국의 역사》는 이러한 점을 간과하지 않았으며 쉽게 서술하면서도 풍성한 내용을 담았다. 수박 겉핥기식으로 서술된 기존 역사서에 아쉬움을 느꼈거나 어렵게 쓰여 역사는 따분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독자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어렵지 않게 역사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재미있는 에피소드로 구성된 역사 이야기
왕조 정치사 중심이 아니라 생활사적인 차원에서 서술한 것이 특징이다. 그렇기에 딱딱하지 않고 재미난 이야기를 전해 듣듯 역사를 만날 수 있다. 쉽게 역사를 접하려는 청소년 독자층부터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를 기대하는 성인 독자층까지 아울렀다.

역사 안에 숨 쉬고 있는 다양한 인물과 사건들을 만나다
《한국의 역사》 시리즈에는 다양한 역사적 인물들과 사건들이 등장해 당대의 문화·정치·사회 풍조 등 모든 분야를 총 망라해 전해준다. 기생 출신 권력자 나합 양씨의 이야기, 먹고 살기 어려워 도적이 된 전양산 이야기, 일제 총독과의 인연으로 군수로 승진한 정씨 이야기 등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인물들 외에도 개성 넘치는 인물들이 등장해 우리 선조들이 살아왔던 리얼한 역사를 보여준다. 그뿐 아니라 다양한 속담과 언어유희가 때때로 등장해 지루할 틈 없이 읽는 재미를 선사한다.


저자 프로필

이현희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37년 3월 - 2010년 10월 17일
  • 학력 동국대학교 대학원 문학과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사학과 학사
  • 경력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학장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일본 도쿄여자대학교 객좌교수
    국사교육강화위원회 위원
    문화재위원회 위원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회장
    동학학회 회장
    이준열사기념관 설립기획위원회 위원
    석오이동녕선생기념사업회 회장
  • 수상 1992년 516민족상
    1985년 서울시문화상

2014.12.09.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이현희
1937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국사를 전공하고 문학박사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 연구소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했으며 동덕여대 초빙교수와 일본 법정대학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동학학회 명예회장, 문명학회 부회장, 석오 이동녕 사상연구소 소장, 노백린 기념사업회 부회장, 유정 조동호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 6.10 만세운동 기념사업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이야기 한국사》, 《이야기 독립운동사》, 《이야기 인물한국사》등이 있다.

목차

제1장. 6·25전쟁의 폭발
새벽의 전면적 도발
후퇴 천리
붉은 서울
승승장구 북진
피리 소리가 어찌 양인을 못 쫓으리
민족의 이산과 고통
중공은 침략자이다
다시 탈환한 서울
맥아더 장군의 파문
열전에서 휴전으로
춘계공세로 밀리는 군대
끌려가는 방위군
불을 끄자

제2장. 피난 3년의 소용돌이
피난의 항구
옥석이 모두 불에 탄 거창사건
각지에서 일어난 습격사건
부산 학교와 서울 학교
과도한 정당방위
사임하는 부통령
정치파동이라는 선풍
정치파동에 휩쓸린 사건들
농민의 주머니를 긁은 중석불
교착된 전선과 아이젠하워의 전선 시찰
말썽 많은 포로들
휴전의 성립
환도하는 군중

제3장. 폐허에서
막심한 피해
결렬된 정치회의
수확 없는 대일외교
상금 붙은 비행기
다시 뽑은 국회의원
말썽 많던 사사오입개헌
재건하는 한국
싸움 붙여놓은 불교계
야당의원 집에 던져진 불온문서
미국대사와도 불화
위협받는 테일러 장군
폐허 위의 군상


리뷰

구매자 별점

5.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1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