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국 교회와 직분자: 직분제도와 역할 상세페이지

종교 기독교(개신교)

한국 교회와 직분자: 직분제도와 역할

교회탐구포럼 01
소장종이책 정가18,000
전자책 정가72%5,000
판매가5,000
한국 교회와 직분자: 직분제도와 역할 표지 이미지

한국 교회와 직분자: 직분제도와 역할작품 소개

<한국 교회와 직분자: 직분제도와 역할> 한국 교회를 모르면 한국 교회의 개혁도 미래도 없다.
직분제도는 교회는 물론 세상을 섬기기 위한 것이다.


‘하나님나라를 위한 교회, 한국교회를 위한 탐구’를 모토로 각종 연구 활동과 자료 간행을 위하여 설립된 한국교회탐구센터(The Research Center for the Korean Churches)와 한국 IVP가 함께 만드는 무크지 “교회탐구포럼” 1탄 출간!

첫 번째 포럼에서는 “한국 교회와 직분자: 직분제도와 역할”을 주제로 목회자 정주채, 경영학자 배종석, 조직신학자 송인규, 사회학자 정재영의 글을 싣는다.

정주채는 ‘목사와 장로 사이에 진정한 협력과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는 확신을 전달하기 위해, 신학적 배경과 목회적 지혜를 함께 소개하고. 배종석은 신학적 원리와 경영학적·사회학적 이론에 기초하여, ‘어떻게 하면 교회 직제가 교회의 본질을 활성화할 수 있을지’ 심층적으로 진단하고 방향을 제시하고, 송인규는 ‘교회의 직분자가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한다’는 성경적 명령에 직면하여, 그 의미와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하며, 정재영은 교회 직분자들이 갖고 있는 교회 직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직분자 교육 및 한국 교회의 방향을 모색한다. 한국 교회 직분제도에 대해 성경적, 신학적, 목회학적, 경영학적, 사회학적으로 연구함은 물론, 직분 자체가 목적이 되어 버린 한국교회를 향해 직분제도가 교회는 물론 세상을 위한 소금과 빛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도전한다.

“하나님나라를 위한 교회, 한국교회를 위한 탐구”를 지향하는 “교회탐구포럼”은 계속해서 간행된다!
교회탐구포럼 2: <한국교회와 여성>(2013년 3월)
교회탐구포럼 3: <급변하는 직업 세계와 직장 속의 그리스도인>(2013년 가을)


■ 책 속으로

“루터의 만인제사장론은 로마가톨릭 교회의 계층적 성직 체계에 던진 폭탄이었다. 그는 교황, 감독, 그리고 수도승만이 영적 신분을 갖는다는 생각은 완전히 날조된 것이라고 비판하고, ‘우리는 모두 세례를 통하여 성별된 사제들이다(벧전 2:9)’라고 선언했다.”(22쪽)

“대형 교회가 문제다. . . . 그것이 담임목사가 교회 안에서 절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32-33쪽)

“항존직(ordinary officers)의 의미가 한국에서는 이중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여 종신직이란 의미가 첨부되었다. 항존직(목사, 장로, 집사)을 한 번 임직하면 평생 그 직분을 갖는다는 의미로 받아들임으로써 정년이나 임기제와 윤번제 시무 등에 대해 거부감을 갖게 된 것이다.”(39쪽)

“제도의 근간이 되는 핵심 원리, 그리고 직제 설계에 영향을 주는 성경적 패러다임과 역사적 상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교회 직제 설계를 위한 핵심 원리는 권위와 자율의 균형, 직분의 평등과 사역의 차등, 공동체와 조정을 위한 호혜성 등이다. . . . 장로의 경우 성도 개발자의 역할과 제도 조직 건설자의 역할이 회복되어야 한다.”(128쪽)

“악/부패/불의가 무엇인지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으면서 어떻게 소금과 빛이 되겠다고 하는 것인지 납득이 가지 않는다. . . . 그리스도인은 세상 속의 악과 부패, 어두움을 드러내고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세상 속에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가치들이 실현되도록 힘씀으로써 맡은 바 소임을 다해야 한다.”(208, 190쪽)


이 책의 시리즈


저자 소개

배종석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일리노이 대학(UIUC)에서 인사 조직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영 철학’과 ‘인적 자원 관리’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기독경영연구원 원장(2010-2015)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동 대표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건강한 교회, 이렇게 세운다』(공저, 한국 IVP), 『기독 경영 JUST ABC』(공저), 『기업이란 무엇인가』(공저, 이상 예영), 『인적 자원론』(홍문사) 등이 있다.
송인규
건국대학교에서 축산학, 총신대 신학대학원과 미국 캘빈 신학교에서 신학, 시라큐스 대학교에서 철학(Ph.D.)을 공부했다. 한국 IVF 총무를 역임했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쳤으며 은퇴 후 한국교회탐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나의 주 나의 하나님』 『예배당 중심의 기독교를 탈피하라』 『고립된 성』 『세 마리 여우 길들이기』 『새로 쓴 기독교, 세계, 관』(이상 IVP), 『아는 만큼 누리는 예배』 『평신도 신학』(이상 홍성사) 등이 있다.
정주채
고려신학대학 및 대학원(M.Div), 총회신학대학원(Th.M), 풀러신학대학원(D.Min)을 졸업하였고, 향상교회 담임목사이자 남북나눔운동 이사, 국제기아대택기구 이사, 바른교회아카데미 이사장으로 있으며, <크리스찬은 무슨 재미로 사는가>(규장), <룻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파격>)(PA), <선한 목자의 꿈>, <기도를 배우자>(이상 생명의양식) 등을 썼다.

정재영
연세대에서 사회학을 전공(Ph. D)하고,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종교사회학 교수와 21세기교회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종교사회학회 재무이사, 바른교회아카데미 연구위원, 도시공동체연구소 연구위원과 목회사회학연구소 부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소그룹의 사회학』(한들출판사), 『한국 교회의 종교사회학적 이해』(열린출판사), 『한국교회 10년의 미래』, 『함께 살아나는 마을과 교회』(이상, SFC), 『교회 안 나가는 그리스도인』(IVP)이 있으며, 공저로 『현대 한국사회와 기독교』(한들출판사), 『더불어 사는 지역공동체 세우기』, 『더불어 사는 다문화, 함께하는 한국교회』, 『그들의 자살, 그리고 우리』(이상, 예영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교회탐구포럼’ 출범에 부쳐 (송인규)
1. 장로직(목사와 장로)의 목회론적 연구: 목사와 장로의 목회적 협력과 균형 (정주채)
2. 교회 본질을 살려내는 교회 직제의 바른 설계 (배종석)
3. 직분자여,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라 (송인규)
4. 교회 직분에 대한 의식 조사 (정재영)
부록: 한국교회탐구센터 설립 취지-왜 우리는 한국교회를 탐구해야 하는가? (송인규)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