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우종학

    우종학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70년
  • 학력 예일대학교 대학원 천체물리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천문학과
    연세대학교 천문학 학사
  • 경력 캘리포니아 대학교 연구원
    자외서 우주 망원경 연구소 연구원
  • 수상 NASA 허블 펠로십

2015.03.2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김희준(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석좌교수)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물리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년간 미국에서 연구원 생활을 하다 1997년 서울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우주와 생명의 역사를 융합적으로 배우는‘자연과학의 세계’과목을 15년 이상 강의해왔다. 어린 시절부터 별을 바라보고 꽃의 색과 향기에 빠져 자연스레 과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사물의 배후에 있는 기본 원리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 전공인 화학뿐 아니라 물리학, 천문학, 생명과학에도 꾸준히 관심을 갖고 연구해왔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로 있으면서 학부생과 함께 유명한 논문이나 강의 등을 바탕으로 토론식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연과학의 세계》, 《과학으로 수학 보기》, 《생명 의 화학/삶의 화학》, 《밀러와 함께하는 기초화학》, 《철학적 질문 과학적 대답》, 《빅뱅 우주론의 세 기둥》등 많은 저서를 펴냈다.

박성래(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1939년에 태어나 1961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졸업과 함께 조선일보에 입사하였으나 미국 캔자스 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로 유학을 떠났다. 캔자스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하와이 대학교에서 1977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해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2005년까지 사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교무처장과 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국사편찬 위원회 위원과 문화재위원, 유네스코 위원을 맡았으며, 현재 과학기술한림원 명예회원이다. 《과학사 서설》, 《인물과 학사》(전2권), 《한국과학사상사》, 《과학사》(공저), 《중국 과학의 사상》 등 과학사와 관련한 수많은 저서를 펴냈다.

박형주(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대수기하학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클랜드 대학교 수학과 교수,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 포항공과대학교와 아주대학교 수학과 교수를 지냈다. 2015년부터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인 최초로 국제수학연맹(IMU) 집행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EBS 다큐프라임 〈생명의 디자인〉을 진행하고, 〈문명과 수학〉에서는 자문과 감수를 맡았다. 2010년 《동아일보》가 선정한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되었고, 2014년에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주는 ‘올해의 과학자상’을 받았다. 여러 신문의 과학 칼럼을 기고하면서 수학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저서로 《수학이 불완전한 세상에 대처 하는 방법》(공저)이 있다.

배철현(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고대 오리엔트 문자와 문명을 전공한 고전문헌학자다. 고대 오리엔트 언어들에 매료되어 하버드대학교 고대근동학과에서 셈족어와 인도-이란어를 전공했다. 고대 페르시아제국 다리우스 대왕의 삼중 쐐기문자 비문인 베히스툰 비문의 권위자다.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와 그 이전 문명과 종교를 가르치고 있다. 2009년에서 2013년까지 격주로 주말에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오리엔트 언어들을 가르쳤다. 2015년 미래 혁신 학교 ‘건명원’을 기획하여 출범시켰고, KBS 1 텔레비전 과학 프로그램 〈장영실쇼〉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는 《신의 위대한 질문》, 《인간의 위대한 질문》이 있으며, 《문자를 향한 열정: 세계 최초로 로제타석을 해독한 샹폴 리옹 이야기》, 《성서 이펙트》와 《꾸란 이펙트》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2016년 현재 〈인간의 위대한 여정〉(월간중앙)과 〈배철현의 심연〉(경향신문)을 연재하고 있다.

우종학(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우주에서 가장 흥미로운 대상이라 할 수 있는 블랙홀 주변의 물리현상과 은하의 진화 등의 주제로 왕성하게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천문학을 전공했고 예일 대학교에서 블랙홀의 진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및 UCLA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젊은 과학자에게 수여하는‘허블 펠로십을 수상했다. 과학대중화에 깊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블랙홀 교향곡》, 《무신론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쿼크, 카오스, 기독교》, 《현대 과학과 기독교의 논쟁》, 《우주의 본질》(공역) 등이 있다.

이현숙(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1986년 이화여자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분자의학연구소에서 유방암억제인자인 BRCA2의 분자 기능을 밝힌 연구로 1999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를 받은 직후 하버드 대학교와 시애틀워싱턴주립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쳤다. 2002년에 이화여자대학교 분자생명과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가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기초 교육원 부원장, 자연과학대학 기획부학장 등을 역임했다. 분자생물학을 가르치면서 염색체불안정성, 암의 발생기작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포분열 조절기작과 염색체말단의 텔로미어의 구조유지기작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이홍규(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석좌교수)
우리나라 당뇨병 유전체 역학 연구의 선구자인 의학자다. 당뇨병 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를 들여다보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당뇨병의 원인의 기제와 한국인의 기원 문제를 함께 연구하기 시작했다. 1968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1976년부터 2009년까지 내분비내과 교수로 재직했다.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내분비대사영양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국립보건원 생명의학부 부장, 중앙유전체연구소 소장,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회장, 대한내분비학회 회장, 대한당뇨병학회 회장, 아시아 당뇨병연구연맹 회장 등을 지냈으며, 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이기도 하다. 현재 을지대학교 석좌교수이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당뇨, 기적의 밥상》, 《한국인의 기원》, 《DNA가 밝혀주는 일본인, 한국인의 조상》, 《바이칼에서 찾는 우리 민족의 기원》 등의 책을 펴냈다.

최덕근(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
삼엽충 화석을 통해 한반도 자연의 역사를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다. 1971년 서울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86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상상과 판단을 하게 하여 창의성을 키우는 수업으로 정평이 나 2005년에 교육상을 받기도 했다. 2013년에 지질학 연구에 대한 공로로 운암지질학상을 수상했고, 2015년에 《한반도 형성사》를 출간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수여하는 한국 과학기술도서상 저술상을 받았다.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내가 사랑한 지구》, 《시간을 찾아서》, 《지구의 이해》 등의 저서가 있다.

최재천(국립생태원 원장)
서울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생물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이자 통섭원 원장을 지냈다.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한국생태학회장 등을 역임했고, 대한민국 과학문화상, 한일국제환경상, 대한민국과학기술훈장 등을 받았다. 한국에 통섭이라는 키워드를 퍼뜨려 학문의 지평을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 저서로는 《개미제국의 발견》,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열대예찬》, 《여성시대에는 남자도 화장을 한다》, 《대담》(공저) 등이 있고, 《인간은 왜 늙는가》(공역), 《통섭》(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현재 국립생태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홍성욱(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미국 과학사학회에서 박사 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수여하는 최우수 논문상인 슈만상을, 1996년에는 미국 기술사학회의 IEEE 종신회원상을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과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과학사 분야를 비롯해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y(STS) 분야 에서 수많은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MIT에서 출판되어 호평을 받은 무선통신의 역사에 관한 책 Wireless: From Marconi’s Black-Box to the Audion을 비롯해 《과학은 얼마나》, 《그림으로 보는 과학의 숨은 역사》,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홍성욱의 과학 에세이》 등의 책을 썼으며 《융합이란 무엇인가》, 《인간·사물·동맹》, 《과학기술학의 세계》 등의 책을 엮었다. 2013년에는 토머스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4판)를 공역했다.

기획
재단법인 카오스
우리는 과학이 세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과학적 사고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과 기초과학에 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지식을 대중 강연, 콘서트, 출판 등을 통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나누고자 합니다.
카오스재단의 강연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며, 지난 강연은 재단 홈페이지와 네이버 TV캐스트를 통해 다시 볼 수 있습니다.
http://www.ikaos.org/
http://tvcast.naver.com/kaos

<기원 the origin - 렉처 사이언스 KAOS 01> 저자 소개

우종학 작품 총 4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