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경향신문 기획취재팀

2017.08.21.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김보미
경향신문 산업부 기자. 19개국 30여 개 도시를 다녔다. 처음 간 도시에서 독특한 주택과 교통수단, 시장과 가게를 발견하는 재미에 빠져 있다. 그것들은 시간이 축적돼 쌓인 도시의 흔적들이다. 1,000만 명이 모여 사는 서울은 어떤 삶의 흔적들로 이뤄진 공간인지, 늘어나는 도시 문제의 대안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남지원
경향신문 정책사회부 기자. 주중에는 회사와 출입처가 있는 광화문에, 주말에는 연남동과 서촌과 한강시민공원 망원지구에 주로 머문다. 강가 잔디밭에 앉아 바라보는 서울의 스카이라인과 아직 프랜차이즈가 발을 들이지 못한 구석진 동네들을 좋아한다. 내가 사는 이 도시가 조금 더 쉬기 편안하고 걷기 즐거운 곳이 되길 바라며 취재하고 글을 썼다.

정유진
경향신문 정책사회부 기자. 미세먼지를 마시며 출퇴근하고, 도시의 소음에 시달리며, 치솟는 전세값에 이사할 때마다 고민이 많아지는 대도시인이다. 도시의 삶에 지칠 때마다 막연하게 도시 탈출과 귀농을 꿈꿀 때도 있지만, 날로 팽창하는 도시 때문에 2050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66퍼센트가 도시인이 될 것이라 하니 그것도 쉽지 않겠다. 결국 내가 지금 발 딛고 서 있는 이 도시를 좀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수밖에 없다.

윤승민
경향신문 경제부 기자. 학생 때 인도를 두 번 다녀온 게 인연이 됐는지 국제부 기자로도 인도와 방글라데시, 케냐 등 주로 ‘제3세계’를 방문하고 취재했다. 과밀화된 현대 도시에 문제의식이 있으면서도 출퇴근이 수월한 도심에서 거주하기를 동경한다. 대안 도시들의 실험이 어떻게 자리 잡고 지속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많다.

구정은
경향신문 국제부 기자. 태어나서 지금까지 거대 도시에서 살고 있다. 자전거와 트램이 다니는 도시, 덜 쓰고 덜 버리는 도시를 꿈꾼다. 미래보다는 과거에, 강한 것보다는 힘없고 약한 것에, 글이든 물건이든 쓰는 것보다는 안 쓰는 것에 관심이 많다.

<이 도시에 살고 싶다>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