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클러리사 할로 8 상세페이지

클러리사 할로 8작품 소개

<클러리사 할로 8> 전국의 영문학자들이 기다리고 있는 책,
어디서도 나올 수 없는 완전한 번역,
영국 근대소설의 태동,
영국 소설 중 가장 긴 작품이자 새뮤얼 리처드슨의 대표적인 서간체 소설,
이를 맛볼 수 있는 장을 지만지가 마련한다.

오늘날 많은 영어권의 일반 독자는 물론 영문 전공 학생, 교수도 한 권 분량의 축약본으로 읽는 것이 보통이다. 지만지에서는 많은 학자들이 결정판으로 여기는 제3판을 옮겨 완전한 작품으로 선보인다. 사건 각각의 원인과 결과, 인물들의 가장 지배적인 감정이 일으키는 심리와 반응들을 음미하면서 보편적 인간성 묘사의 모든 것에 온전히 감동할 절호의 기회다.

8권 작품 전체의 시작부터 끝까지 인물들이 주고받는 편지들로 이어지는 스토리, 작가의 그 독창적인 수법을 통해 사건들의 상세한 내용과 각 인물들의 심리를 가까이서 바라본다. 시공을 뛰어넘어 우리 모두가 공감할 만한 사랑과 결혼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 여주인공은 인간이 가장 기본적인 인권을 침해당할 때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보인다.
≪클러리사 할로≫는 역자 김성균이 교직 기간 내내 아끼며 제자들과 함께 읽은 18세기 영국 소설로, 그의 일생을 결산하는 첫 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역자는 같은 저자의 ≪패멀라≫를 읽고 영국 18세기 소설 전공의 길에 들어섰으며 ≪패멀라≫와 근본적으로 같은 주제를 보다 완벽한 서간체 소설 기법으로 구사한 이 작품을 교직을 퇴임하자마자 의무와 같은 느낌을 받아 번역을 시작했다. 역자는 대학 시절 이 작품에서, 아름답고 총명한 어린 여주인공이 불가항력적인 고난에 강직하고 의연하게 대처하는 모습에서 깊이 감동받았다. 역자가 대학 시절부터 오늘날까지 함께 살아온 인물, 어쩌면 현실에서 실제로 아는 어떤 사람보다도 더 잘 안다고 할 수 있는 인물, 클러리사 할로의 고매한 성정을 고스란히 전한다.



출판사 서평

영국 소설 발생기의 작가들 중 한 사람인 새뮤얼 리처드슨의 ≪클러리사 할로≫(1748∼1749)는 그의 첫 소설 ≪패멀라≫(1740)에 이은 두 번째 작품으로 영국 소설 중에서 가장 긴 작품이다.
거의 모든 초기 영국 소설 연구자들은 리처드슨의 ≪패멀라≫를 영국 소설의 첫 작품으로 규정하고, 같은 시기의 필딩과 토비아스 스몰렛, 그리고 로렌스 스턴을 더해 영국 소설의 기초를 놓은 네 바퀴라고 일컬었다.
≪클러리사 할로≫는 ≪패멀라≫를 중요한 몇몇 관점에서 수정한 작품이다. 클러리사는 패멀라와 달리 신흥 중산층 가정의 유복한 딸이다. 패멀라는 그녀를 유혹하는 주인 남자(Mr. B) 한 사람만 상대하면 되지만, 클러리사는 “Mr. B”에 해당되는 러블레이스와 그의 악랄한 하수인들 외에도 극히 권위주의적이며 가부장적인 폭군 아버지, 그보다 더한 남성 우월주의자며 탐욕스러운 오빠, 동생을 시기하는 언니, 그 밖에 거의 모든 가족과 맞서 싸워야 하는 더욱더 어려운 처지에 놓인다. 그러나 두 작품의 가장 큰 본질적 차이는 여주인공들이 맞서야 하는 남자들의 인간성이라고 할 수 있다. Mr. B는 하녀를 겁탈하려다가 그녀가 기절하면 겁에 질려 포기하고, 결국은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다. 그는 본질적으로는 착하게 태어난 사람이다. 그러나 러블레이스는 클러리사가 끝끝내 항거하고 감금에서 탈출하자 다시 찾아내어 결국 약물로 의식을 잃게 하고 강간하고 마는, 파렴치한 악한이다. 따라서 <<패멀라>>는(가) 행복한 결말로 끝나지만 <<클러리사>>는 우리가 보는 보편적인 관점에서는 그 반대다.
≪클러리사 할로≫는 작가가 ≪패멀라≫에서의 자신의 철학이 옳았다는 것을 다른 각도에서 재차 강조한 작품이다. 따라서 여성의 순결은 중요한 것이며 죽음을 무릅쓰고 지킬 가치가 있다는 것을 역설한다. 두 여주인공의 순결은 성적 순결, 즉 처녀성뿐이라기보다는 인간 고유의 기본권과 자유와 자유의지 등 인간이 인간일 수 있게 하는 모든 것을 집약한 상징이다. 그것을 잃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하는 것이 당연하며 오히려 인간으로서의 의무라는 것이다. 작가는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가 침해당할 때 그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18세기 (혹은 그 이전) 작품들을 읽는 오늘의 독자들은 일반적으로 패멀라나 클러리사 같은 인물들이 성적 순결을 생명처럼 여기는 것을 당시 사회의 도덕적 경직성(또는 무지)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당시에도 일반 독자들과 비평가들 중에는 클러리사가 결혼만 하면 해결될 일을 마다하고 죽는 것에 대해서 비판적인 사람들도 많았다. 당시의 많은 독자들은 클러리사의 죽음을 자살이라고 했으며 그것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작가는 인간 본연의 자유와 권리와 의지를 고의적으로 희롱하고 유린하는 자는 반드시 사회적·종교적 응징을 받아야 된다는 신념을 굽히지 않았고, 끝끝내 인기에 영합하지 않았다. 그는 작품을 착상할 때부터 비극적 결말로 이끌기로 작정했다.

보여주기 형식의 서간문집
이 작품은 3인칭 전지 화자의 ‘이야기 들려주기’가 아니라 등장인물들의 친필 편지들을 모은 서간문집, 즉 ‘보여주기’ 형식으로 쓰였다. 전지 화자가 언제나 어디서나 자신의 관점에서 사건이나 논평을 요약하고 생략도 하면서 자유자재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데 비해, 서간문 모음은 ‘편집자(이 작품의 모든 편지는 실제로 리처드슨이 썼으면서도 표면적으로는 작중인물들이 쓴 것을 제삼자인 편집자가 수집하고 정리한 것으로 되어 있다)가 모든 인물의 편지를 찾아내고 모으고 선택하고 정리한다.(물론 이 작품의 편집자도 ‘불필요한’ 편지는 제외하고 어떤 것은 내용을 요약해서 소개했다고 하기도 한다.
리처드슨은 ≪찰스 그랜디슨 경≫(1753∼1754)까지 모두 세 작품을 썼는데 이들은 전부 일관되게 서간체 형식으로 쓰였다. 본격적으로 소설의 한 형식으로 쓰여 그 모든 기법이 완벽하게 구사되고 그 모든 이점이 철저하게 활용된 예는 그의 작품 말고는 세계 소설사상 전무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리처드슨은 서간체 수법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그의 작품 여러 곳에서 주로 러블레이스의 입을 통해서 ‘동시에 쓰기’, 즉 사건 발생과 동시에 글을 쓴다는 표현을 즐겨 쓴다. 작가는 자기가 좋아하는 방법을 택할 권리가 있으며, 자신으로서는 3인칭 전지 작가가 흔히 쓰는 곁가지 이야기나 에피소드 같은 것들을 삽입하지 않고, 편지들의 모음만으로 각 부분을 무난하고 명쾌하게 연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이것을 새롭고 유일한 수법으로 여겼다.
편지로만 작품 전체를 쓰는 것은 매우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인물들, 특히 주역 인물들은 항상 펜과 편지지를 손에 잡고 있어야 한다. 편지는 원칙적으로는 함께 있지 않은 상대방에게 보내는 것이므로 작가는 편지를 쓰는 사람과 받는 사람을 의도적으로 격리시키거나 고립시키는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인물들은 시간이 없을 때도 편지 쓸 시간을 억지로라도 만들어야 하며, 위급한 상황이나 몸이 아프거나(클러리사의 경우에는 순결을 유린당하고 나서) 심신이 지친 상태에서도 또는 실신했다가 깨어났을 때에도 바로 글을 쓰고, 심지어 죽음을 바로 앞둔 순간에도 글을 써야 한다. 러블레이스는 야외의 달빛에서 책상도 없이 무릎 위에 편지지를 올려놓고 글을 쓴다.
‘편지로 쓰기’는 아주 간단한 사실 하나라도, 대개는 편지 서두, 날짜, 내용, 그리고 끝마치는 인사, 서명 등의 형식을 갖추어야 독자에게 알려진다. 특히 주역 인물들은 비상한 글쓰기 취미와 의욕과 솜씨가 있어야 하고, 사건 발생과 동시에 (또는 직후에) 그것을 글로 옮길 정도로 부지런해야 한다. 따라서 독자가 보기에 사건은 더디게 진행되고, 작품의 길이는 길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리처드슨은 작품 초반에 클러리사와 가족들 사이의 긴 갈등 묘사에 대해서, 그것은 “작품 전체의 기초고, 등장인물들의 소개로서 생동감을 느끼게 하는 데 필요하다”라고 그 불가피성을 말한다.


이 작품은 여러 판본이 있으나 많은 학자들이 결정판으로 여기는 제3판을 토대로 옮겼다. 이 판본은 당시의 책을 그대로 복사한 것으로 작가가 심혈을 기울여 철저히 다듬고 교정하고 또 적지 않은 부분을 추가한 결정본이다. 번역 시 가까운 사람들끼리 주고받는 사사로운 편지로서 대부분이 대화체지만 동시에 글로 표현되는 고답적인 문장체를 순화하고 길고 복잡한 문장들을 앞뒤를 바꿔가며 적절히 나누는 일, 특히 여주인공의 섬세한 심리와 감정을 알맞은 오늘의 우리말로 표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역자는 내용의 의미와 의도를 정확히 표현하는 데는 최선을 다했다. 또한 원서에서 사용된 이미지나 편집 형태를 최대한 수용·반영해 작가의 의도를 실감나고 정확하게 전달하려고 했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새뮤얼 리처드슨(Samuel Richardson, 1689∼1791)
새뮤얼 리처드슨의 아버지는 가난하지만 인정받는 장인(소목장이)으로서 특히 몬머스(Monmouth) 공작의 총애를 받았다. 공작이 죽자 그의 아버지는 더비셔(Derbyshire)로 피신했고, 거기서 1689년에 리처드슨 외에 세 자녀를 더 낳았다. 그의 아버지가 그에게 시킨 교육은 기초교육, 즉 읽고 쓰고 셈하기 정도가 전부였다. 가세가 기울어 그는 바람대로 성직자가 되는 필수 조건인 대학 진학을 할 수 없었고, 17세에 런던 올더스게이트 가(Aldersgate Street)에 있는 존 와일드(John Wilde) 인쇄소에 견습공으로 들어갔다. 그는 7년 동안 견습공 생활을 하면서 틈틈이 독서하고, 성실하고 학식 있는 인물들과 서신 교환을 하면서 교양과 정신 계발에 힘썼다. 견습 기간이 끝난 후 다른 인쇄소에서 감독, 식자공, 교정사 등의 일을 하다가 30세 가까워서(1718년 또는 1719년) 자기 소유의 인쇄소를 개업했다.
1720년에 런던의 플리트 가(Fleet Street)의 솔즈베리 코트(Salisbury Court)로 그의 인쇄소를 옮기고 일생 동안 그곳을 근거지로 살았다. 20년 후에 그는 런던의 유수한 인쇄소들 중 하나의 소유주가 되었고, 사업이 번창해서 자기 인쇄소에서 영국 하원과 왕실의 인쇄물을 인쇄하는 등(1742∼1755) 국가의 중요한 서적들을 취급했다. 또한 유명한 시인들과도 가깝게 지내면서 문학적 소양을 길렀고, 다른 작가들의 저서의 머리말이나 헌정사 같은 글을 써주고 색인도 만들어 주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그의 글로 남아 있는 최초의 저작물은 ≪견습공 편람: 젊은이가 항상 지녀야 할 지침서(The Apprentice's Vade Mecum, or, Young Man's Pocket Companion)≫(1733)인데, 이것은 주로 하인들이나 견습공들에게 바른 품행을 가르치기 위한 교훈서다. 이것은 그가 그의 조카를 견습공으로 받아들일 때 그에게 준 편지글에다 다른 유사한 내용을 보충한 것이었다. 그가 그다음으로 쓴 저작물은 ≪상용(常用)서간문≫이었는데, 이 책을 쓰던 중에 ≪패멀라 ≫를 착상해 그것을 먼저 써서 출판한 다음에 완성해 출판한 것이다. 그다음 작품 ≪클러리사 할로≫는 3회에 나누어 1·2권은 1747년 12월 1일에, 3·4권은 1748년 4월 28일에, 그리고 5∼7권은 1748년 12월 6일에 출판되었다. ≪조지프 앤드루스(Joseph Andrews)≫로써 ≪패멀라≫를 통렬하게 풍자했던 필딩은 ≪클러리사 할로≫가 나오자마자 그 작품을 ≪톰 존스(Tom Jones)≫(1749. 2)로 또다시 암암리에 풍자했다. 그러자 리처드슨은 곧바로 그의 마지막 작품인 ≪찰스 그랜디슨 경≫을 써서 1∼4권은 1753년 11월 13일에, 5·6권은 12월 11일에, 그리고 마지막 7권은 1754년 3월 14일에 발표했다.
새뮤얼 리처드슨은 32세였던 1721년 11월 23일에, 그가 처음 견습공으로 들어갔던 인쇄소 주인의 딸인 아홉 살 연하 마사 와일(Martha Wile)과 결혼했다. 10년 후 첫 부인이 죽고 나서(1731. 1. 25) 2년 후에 그는 여덟 살 연하 엘리자베스 리크(Elizabeth Leake)와 재혼했다(1732. 2. 3). 그의 첫 부인은 아들 다섯과 딸 하나를, 둘째 부인은 딸 다섯과 아들 하나를 낳았다. 그러나 첫 부인의 아이들은 전부 어려서 죽었고, 둘째 부인의 여섯 자녀 중에서도 딸 넷만 살아서, 그는 결국 여섯 아들과 두 딸을 잃었다. 생존한 네 딸들 중 큰 딸 메리(Mary)만 필립 디처(Philip Ditcher)라는 내과 의사와 1757년에 결혼했고, 나머지 세 딸은 리처드슨이 살아 있는 동안 미혼으로 지냈다.
그는 견습공을 시작한 10대 때부터 일생 동안 런던에서 인쇄업을 하면서 근면 성실한 생활로 자수성가했고, 자기 사업에 성공했으며, 50세가 지나서 첫 작품 ≪패멀라≫를 두 권(제1·2권)으로 발표했다. 그는 ≪패멀라≫의 인기가 높아지자 누군가가 ≪패멀라≫의 속편을 쓴다는 소문을 듣고 자신이 직접 속편(제3·4권)을 써서 1년여 만인 1741년 12월 7일에 발표했다. 그는 1740년 11월에 ≪패멀라≫를 발표한 후 1754년까지 ≪클러리사 할로≫(7권, 제3판은 8권), ≪찰스 그랜디슨 경≫(7권)을 더 써서 세 작품, 18(19)권을 내었다. 그의 모든 작품은 전부 편지 형식으로 쓰였는데, 그는 실제 생활에서도 지인들이나 그의 작품 애호자들과 수없이 많은 편지를 주고받았다. 그는 항상 편지를 써서, 심지어 집에 함께 있는 가족에게도 글로 자기의 생각을 전했다. 그는 자기가 쓴 모든 편지를 베껴두었고, 받는 편지들도 간직했다. 그의 편지들은 애나 바불드(Anna L. Barbould)가 수집해 간추려 여섯 권으로 출판했으며, 이때 많은 편지가 제외되었다.
리처드슨은 ≪찰스 그랜디슨 경≫ 출판 후에도 많은 인기를 누렸다. 국내에서는 세커(Secker) 대주교(1693∼1768)나 다른 정치적 거물들과 문필가들이 그를 방문했고, 1756년에는 당시 문학계의 거물 새뮤얼 존슨이 채무에 시달려 그에게 돈을 빌려달라고 했을 때 리처드슨은 부탁한 것 이상으로 빌려주었다고 한다. 특히 유럽 대륙에서 그의 작품은 프랑스어로, 네덜란드어로,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1758년에는 스위스의 지질학자 기욤 앙투안 드 뤼크(Guillaume Antoine de Luc)는 그를 만나기 위해 영국을 방문했다. 그는 1754년에는 런던 교외 고급 주거지의 저택 파슨스 그린(Parson's Green)으로 이사해서 거기서 많은 방문객을 맞았다. 그의 사업은 번창해서 ≪찰스 그랜디슨 경≫을 출판할 때는 그의 인쇄소에 30명의 직원을 두었으며 1754∼1755년에는 출판협회 회장직을 맡았다. 그가 일생 동안 인쇄한 책은 2349권에 이른다.
그는 일생 실내에서 작업한 탓으로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찰스 그랜디슨 경≫을 쓰고 난 다음부터는 특히 건강이 악화되었다. 그는 죽기 3년 전(1758)부터는 불면증에 시달렸고, 걷기 힘들어했으며, 펜을 쥘 힘이 없어 딸에게 글을 대필시키기도 했다. 그는 1761년 7월 4일에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그의 집 가까이에 있는 성 브라이드(St. Bride's) 교회당, 그의 첫 부인과 자식들의 곁에 묻혔으며 그의 둘째 부인도 후에 그곳에 묻혔다.

김성균
김성균은 서울에서 태어나 1958년에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해 1964년에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1년부터 연세대학교에 재직했고, 2004년 봄에 퇴임할 때까지 학부와 대학원에서 18세기 영국 소설을 강의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다.
석사 학위논문은 <그레엄 그린의 소설 연구>(1966)이고, 박사 학위논문은 영국 18세기 소설 중 가장 난해하며 최초 의식의 흐름 수법 소설이라고 하는 <“트리스트럼 섄디” 연구: 작가의 독자 의식과 소설의 구성>(1979)이다. 저서는 없고, 영국 소설 발생기의 작가들인 존 버니언, 애프라 벤, 대니얼 디포, 엘리자 헤이우드, 새뮤얼 리처드슨, 헨리 필딩, 로런스 스턴 등의 작품에 대한 논문을 한국 영어영문학회 학회지 *≪영어영문학≫과 연세대 논문집 ≪영어영문학 연구≫에 발표했다. 주석본으로 18세기 주요 소설 대니얼 디포의 ≪몰 플랜더스≫(신아사, 1991), 헨리 필딩의 ≪조지프 앤드루스≫(연세대 출판부, 1995), 새뮤얼 리처드슨의 ≪패멀라≫(연세대 출판부, 1996)를 내었고, 학부 영산문 강독을 위한 주석본 ≪Prose in English≫(연세대, 1998)를 편집했다. 역서로는 그레엄 그린의 ≪명예영사≫(한길사, 1983)가 있다.

목차

편지 1. 존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2.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3. 노턴 부인이 클러리사 할로 양에게
편지 4. 애럽 할로 양이 클러리사 할로 양에게
편지 5. 그의 사랑하는 조카딸 클러리사 할로 양에게
편지 6.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7.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8. 영원히 존경하옵는 제임스 할로 1세, 에스콰이어
편지 9. 영원히 존경하옵는 미시즈 할로
편지 10. 제임스 할로 2세, 에스콰이어
편지 11. 미스 할로
편지 12. 존·앤터니 할로, 에스콰이어
편지 13.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14.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15.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16. 모브리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17.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18. 벨퍼드 씨가 리처드 모브리 씨에게
편지 19.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20. 모든 대령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21. 모든 대령의 편지
편지 22. 모든 대령의 편지
편지 23. 모든 대령의 편지
편지 24. 모든 대령의 편지
편지 25. 벨퍼드 씨가 윌리엄 모든 씨에게
편지 26. 제임스 할로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27. 벨퍼드 씨가 제임스 할로 씨에게
편지 28. 모든 대령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29. 벨퍼드 씨가 M 경에게
편지 30. 미스 몬터규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31.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32.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33.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34.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35.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36.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37. 벨퍼드 씨가 모든 대령에게
편지 38. 사랑하는 윌리엄 모든 사촌 오빠에게
편지 39. 모든 대령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40. 모든 대령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41. 벨퍼드 씨가 하우 양에게
편지 42. 하우 양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43. 하우 양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44. 벨퍼드 씨가 하우 양에게
편지 45. M 경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46. 벨퍼드 씨가 M 경에게
편지 47. 벨퍼드 씨가 M 경에게
편지 48. 벨퍼드 씨가 M 경에게
편지 49. 하우 양이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50.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51.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52.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53. 벨퍼드 씨가 로버트 러블레이스 씨에게
편지 54.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55.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56. 러블레이스 씨가 존 벨퍼드 씨에게
편지 57. F. J. 드 라 투르가 보낸 편지의 번역문. 런던, 소호 스퀘어 인근의 존 벨퍼드 씨에게
맺는말
후기
클러리사의 저자에게 드림

참고 문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소설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