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신이경 상세페이지

신이경작품 소개

<신이경> 한대(漢代) 동방삭(東方朔)이 편찬하고 진대(晉代) 장화(張華)가 주를 단 소설. 변방의 기괴한 신이나 짐승, 신기한 사물들에 대한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 보임으로써 중국 소설의 상상력의 원동력이 되었다. ≪신이경≫의 풍자와 해학에서 회해미(?諧美)의 진수를 볼 수 있다.

≪신이경(神異經)≫은 한대(漢代) 동방삭(東方朔)이 편찬하고 진대(晉代) 장화(張華)가 주를 단 한대(漢代) 소설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전혀 전해지지 않아 우리는 여러 가설과 추측으로 접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신이경≫을 비롯한 ≪십주기(十洲記)≫, ≪한무내전(漢武內傳)≫, ≪한무고사(漢武故事)≫, ≪동명기(洞冥記)≫ 등 한대에 지어졌다고 전해지는 소설들은 진대(晉代) 이후의 방사(方士)들이 자신들의 종교를 신비화하기 위해 저술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신이경≫ 도처에서 발견되는 신선사상(神仙思想), 방술(方術),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팔괘(八卦)에 입각한 체재 등은 저자가 방사 출신이었음을 증명해 준다. 예컨대 <동황경>에는 열한 개 조목 중 나무에 관계된 조목이 일곱 개나 나오며 그 밖에 <남황경>에서 여름과 불을 상징하는 ‘화서(火鼠)’와 ‘한발(旱魃)’, <서황경>에서 금속성의 메마르고 거친 땅의 이미지가 묘사된 ‘금산(金山)’, <북황경>에서 겨울과 물을 상징하는 ‘계서(磎蹊)’와 ‘횡공어(橫公魚)’ 등은 ≪신이경≫의 서사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조목들이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신이경≫의 팔방(八方) 개념은 ≪주역(周易)≫ 팔괘와의 상관성을 연상시킨다. 아마도 <동남황경(東南荒經)>의 ‘지호(地戶)’와 <서북황경(西北荒經)>의 ‘천문(天門)’ 등이 그 예가 될 것인데, ≪신이경≫에서의 방위 개념은 후천팔괘도(後天八卦圖)의 팔괘 방위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주례(周禮)≫ <대사도(大司徒)> ‘소(疏)’에 인용된 <하도괄지상(河圖括地象)>에 ‘하늘은 서북쪽으로 꺼지고 땅은 동남쪽으로 꺼졌다. 서북쪽은 천문이 되고 동남쪽은 지호가 된다(天不足西北, 地不足東南. 西北爲天門, 東南爲地戶)’라고 되어 있다. 또 ≪역위건착도(易緯乾鑿度)≫에 ‘건(乾)이 천문이 되고 손(巽)이 지호가 된다(乾爲天門, 巽爲地戶)’라고 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신이경≫의 체재는 건(乾)이 동북쪽에 위치하고 손(巽)이 동남쪽에 위치한 후천팔괘도의 팔괘의 방위에 근거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이 다른 지리박물지(地理博物志) 형식의 작품들, 즉 ≪산해경≫이나 ≪십주기(十洲記)≫, ≪박물지(博物志)≫ 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신이경≫만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신이경≫은 크게 <동황경(東荒經)>, <동남황경(東南荒經)>, <남황경(南荒經)>, <서남황경(西南荒經)>, <서황경(西荒經)>, <서북황경(西北荒經)>, <북황경(北荒經)>, <동북황경(東北荒經)>, <중황경(中荒經)> 아홉 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상(地上)을 중앙, 정사방(正四方)과 사간방(四間方)으로 9등분한 뒤 일정한 방위 개념에 입각해 변경의 기이한 사물들을 서술해 나가는 것이 ≪신이경≫ 체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중국 신화서인 ≪산해경(山海經)≫과 유사하나 ≪산해경≫이 중앙과 동서남북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에 비해 ≪신이경≫은 중앙과 팔방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방위 개념은 음양오행설과 팔괘와 결합되어 ≪신이경≫ 체재의 특징들을 만들어내는 토대가 된다.
≪신이경≫은 지리서적 외형(外形)을 빌려와 각 변방의 사물에 대해 기록한 서술 방식부터 ≪산해경≫과 매우 유사하며 ≪수서≫ <경적지>나 ≪구당서≫ <경적지>, ≪숭문총목≫ 등에서 ≪산해경≫과 나란히 지리류(地理類)로 분류되기도 했다. ≪신이경≫은 분명 ≪산해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작품임에 틀림없지만 도교 설화(道敎說話)의 색채가 더욱 가미된 모티프들은 새로운 의경(意境)을 창출해 내고 있어 중국 소설의 상상력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이경≫은 변방에 있는 기괴한 신이나 짐승, 신기한 사물들에 대한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 보이면서도 동시에 ≪신이경≫만의 독특한 개성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특히 괴걸(怪傑) 동방삭의 명성에 힘입어 위상을 지켜왔던 ≪신이경≫의 풍자와 해학은 ≪십주기(十洲記)≫나 ≪한무내전(漢武內傳)≫, ≪동명기(洞冥記)≫ 등의 지괴소설(志怪小說)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회해미(?諧美)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본 편역은 ≪사고전서(四庫全書)≫를 저본(底本)으로 하되 주를 달거나 교감을 하는 과정에서 대만(臺灣) 왕궈량(王國良)의 ≪신이경 연구(神異經硏究)≫[문사철출판사(文史哲出版社), 1985]와 저우츠지(周次吉)의 ≪신이경 연구(神異經硏究)≫[문진출판사(文津出版社), 1986]를 참조했다. 현재 ≪신이경≫ 판본은 송(宋), 원(元)대까지 산발적으로 흩어져 전해지다가 명대(明代)에 와서야 단행본으로 정리된 것이다. 이 때문에 각 유서(類書)들에 전해지는 판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편역 과정에서 다양한 서적들을 참조해 가능한 가장 완전한 문장의 형태를 갖추도록 교감하려고 노력했다. 주(注)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어려운 한자들의 뜻을 풀이했고, 원문을 고증하고 교감한 내력에 대해 비교적 꼼꼼하게 제시했다. 내용이 중복되어 전해지는 조목을 제외하고 ≪신이경≫의 거의 모든 원문에 대해 역주를 시도했고, 현재 전해지는 ≪신이경≫ 판본에는 남아 있지 않으나 다른 서적들에 흩어져 전해지는 일문(佚文)까지 수록했다. 이에 본 편역은 일반 독자들의 교양을 위한 서적이 될 뿐 아니라 학술적인 가치까지 갖추었다고 할 수 있겠다.



저자 소개

저자 - 동방삭 (東方朔, BC 154∼BC 93)
동방삭의 자는 만천(曼倩)이고 평원(平原) 염차[厭次, 지금 산둥성(山東省) 양신현(陽信縣) 동남쪽에 해당되는 지역] 사람이다. 서한(西漢) 무제(武帝) 시기 태중대부(太中大夫)까지 지냈으며 걸출한 외모, 익살스러운 언변과 거침없는 행동 때문에 생존할 당시부터 이미 무성한 소문을 만들어냈다. 사람들은 특히 동방삭의 해학과 말재주를 좋아했다고 전해지는데, 동방삭에 관련된 설화는 한국에서도 널리 유행했다. 저술로 <답객난(答客難)>, <비유선생(非有先生)>, <봉태산(封泰山)>, <책화씨벽(責和氏璧)>, <황태자생매(皇太子生禖)>, <병풍(屛風)>, <전상백주(殿上柏柱)>, <평락관부렵(平樂觀賦獵)>, <팔언칠언(八言七言)>, <종공손홍차거(從公孫弘借車)> 등이 있다. 이 외 ≪신이경≫과 ≪십주기(十洲記)≫ 등의 지괴소설을 지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모두 가탁된 것으로 추정된다.
먼 변방의 진기한 사물, 인간과 귀신 간의 자유로운 왕래, 신선들의 화려한 낙원, 서왕모(西王母)와 동왕공(東王公)의 아름다운 만남−이것이 바로 ≪신이경≫의 상상력 세계가 만들어내는 황홀경들이다. ≪신이경≫은 인간이 직접 갈 수 없는 먼 변방의 이야기들을 들려주면서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기도 하고, 때로는 상상력과 환상의 힘을 빌려 인간 사회를 넌지시 풍자하기도 한다. ≪신이경≫의 상상력이 가지는 힘은 아마도 여기에 있으리라. 유학자들은 ≪신이경≫을 두고 ‘정도(正道)에 위배되는 허망한 이야기’라고 비난해 왔지만, 사람들은 ≪신이경≫을 통해 유가경전에서 표현할 수 없었던 환상과 상상력을 마음껏 표출할 수 있었다. 공식 담론에서 무시해 왔던 소외된 지식들, 인간의 정서나 감성, 다양한 생활상 등 ‘황당무계한 이야기’의 이면에 담긴 상징과 의미들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로 하여금 무한한 정신적 해방감을 만끽하게 해줄 것이다.

역자 - 김지선
김지선은 이화여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고려대 중문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 천진(天津) 남개대학(南開大學)에서 고급진수생(高級進修生)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전임강사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신이경(神異經) 시론(試論) 및 역주(譯註)>(석사학위 논문, 1994),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지괴(志怪)의 서사성(敍事性) 연구(硏究)>가 있고, 저서로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이화여대출판부, 2002), ≪공자, 현대 중국을 가로지르다≫(새물결, 2006)가 있으며, 역서로 ≪목천자전(穆天子傳)·신이경(神異經)≫(살림, 1997)이 있다.

목차

동황경(東荒經)
동왕공(東王公)
선인(善人)
예장수(豫章樹)
부상(扶桑)
이수(梨樹)
도수(桃樹)
초염산(焦炎山)
옥계(玉鷄)
강목(彊木)
건춘감귤(建春甘橘)

동남황경(東南荒經)
척곽(尺郭)
야목(邪木)
박보(樸父)
온호(溫湖)
지호(地戶)

남황경(南荒經)
환두(鴅兜)
한발(旱魃)
화서(火鼠)
사가닐수(?稼樹)
여하수(如何樹)
체죽(涕竹)
감저
세멸(細?)
무손수(無損獸)
은산(銀山)

서남황경(西南荒經)
성인(聖人)
도철(饕餮)
와수(訛獸)

서황경(西荒經)
혼돈(渾沌)
도올(檮杌)
묘민(苗民)
모휘
금산(金山)
산조(山臊)
하백사자(河伯使者)
곡국인(鵠國人)
솔연사(率然蛇)

서북황경(西北荒經)
궁기(窮奇)
공공(共工)
옥궤(玉饋)와 추복(追復)
천문(天門)
주의소인(朱衣小人)
무로지인(無路之人)

북황경(北荒經)
조림(棗林)
횡공어(橫公魚)
계서(磎鼠)
천계(天鷄)

동북황경(東北荒經)
율목(栗木)

중황경(中荒經)
곤륜천주(崑崙天柱)
천지지궁(天地之宮)
산중궁장(山中宮墻)
귀문(鬼門)
설철수(齧鐵獸)
대완마(大宛馬)
양수(㺊獸)
주수(綢獸)
불효조(不孝鳥)

일문(佚文)
위모관(委貌冠)
광인(狂人)
악물수(惡物獸)
해치수(獬豸獸)
염공(髥公)
석고(石鼓)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