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용준 수필선집 상세페이지

김용준 수필선집작품 소개

<김용준 수필선집> ‘한국수필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수필을 대표하는 주요 수필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근원(近園) 김용준(金瑢俊, 1904∼1967)은 한국 미술사에서 서양화와 동양 수묵화 화가로, 그리고 미술 평론가이자 미술사학자로 평가되어 왔다. 그는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나 일본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유학을 했고, 이후 1930년대 중반에는 서양화-유화를 그리던 화가에서 문인화를 그리는 수묵화가로 전필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북한에 머물면서 고구려 벽화 연구와 회화사 등의 연구를 통해 조선 미술사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둔, 대단히 활력적이고 개성적인 이력을 가진 예술가다.
한편 화가와 미술 연구자로서의 성과 못지않게 높은 평가를 받아 온 것이 바로 수필가로서의 글쓰기 실력이었다. 그의 문장력은 당대는 물론 그 이후에도 높게 평가되어 왔는데, 수필집 ≪근원수필≫(을유문화사, 1948)은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의 ≪무서록≫과 함께 한국 현대 수필의 근원으로 일컬어지며, 수필 문장의 진정한 맛이 무엇인가를 보여 준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김용준 자신은 수필을 ‘다방면의 책을 읽고 인생으로서 쓴맛 단맛을 다 맛본 뒤에 저도 모르게 우러나오는 글’이라고 ≪근원수필≫의 ‘발문’ 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그의 수필 역시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 위에서 동서고금의 문·사·철(文史哲)의 사상과 철학이 자연스럽게 언어와 사유 속에 녹아 있는 글들이다. 이에 한국 수필 문학사에서 그의 글은 ‘문학과 비(非)문학의 장르 구분을 넘어 광복 전후 남겨진 문장 가운데 가장 순도 높은 글’, ‘한국 수필 문학의 백미’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김용준은 예술가들이란, ‘자유스러운 심경을 잃고 살아갈 수 없’는 존재임을 수필집 발문에서 역시 이야기했는데, 수필이란 그의 자유로운 기질과 성격을 잘 담아낼 수 있는 글쓰기 양식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수필의 소재를 일람해 보면 세태의 인정과 변화, 친구들과의 추억, 자기 삶에 대한 성찰, 미술 화단(?壇)과 비평, 그리고 한 사물에 대한 세심하고 깊이 있는 관찰 등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이 모든 다양한 소재들을 관통하는 문제의식은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가, 그리고 당대 우리?조선이 잃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며, 나아가 이런 생각들을 풀어 나가기 위해 예술가로서 치열한 정신성을 강조하고, 전통과 민족 문화에 대한 애정, 그리고 근대 지식에 대한 해박함과 개성적인 시각을 견지한다. 수필에서 읽을 수 있는 이런 관점과 내용은 김용준의 그림과 미술 평론, 그리고 미술사학자로서의 연구 활동 전반을 관통하는 주제라 할 수 있다.


저자 프로필

김용준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04년 - 1967년
  • 학력 일본 동경미술학교 서양화과
  • 경력 평양미술대학 조선화 강좌장
    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연구원
    조선건축가동맹 중앙위원
    조선미술가동맹 조선화분과 위원장
    평양미술대학 교수
    동국대학교 사학과 미술사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학부 동양화과 교수
    중앙고보, 보성고보 미술교사

2015.01.2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근원(近園) 김용준(金瑢俊)은 1904년 2월 3일 경북 선산(善山)에서 농사를 지으며, 한약방을 운영하던 아버지 김이도(金以燾)와 어머니 김옥순(金玉順) 사이에 2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유아 시절부터 그림에 소질이 있어서 세 살 때 개울에서 본 송사리를 그렸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1915년, 충북 영동에 있는 황간 공립보통학교에 입학했으며, 그 전까지는 부친에게서 천자문을 배웠다.
1920년 4월에 김용준은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1923년, 20세 되던 해에 전통 화가와 양화가들이 운영하는 고려미술원(高麗美術院)의 청소년 대상 연구생 지도 수업에서 이마동(李馬銅), 구본웅(具本雄), 길진섭(吉鎭燮), 김주경(金周經) 등과 함께 미술 학습을 시작했다. 1924년에는 이종우가 운영하는 도화 교실에서 미술 수업을 받았는데, 같은 해 학생 신분으로 제 3회 ‘조선 미술 전람회’에서 <동십자각(東十子閣)>(원제 <건설이냐 파괴냐>) 가 입선되어 화제가 되었다.
1925년에 중앙고보를 졸업하고, 이듬해 재학 시절 만났던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출신 진숙경(秦淑卿)과 결혼했다. 같은 해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해 김주경, 길진섭, 이마동과 동기가 되었다. 김용준은 표현파를 추구하는 유학생들의 모임인 백치사(百痴社)를 조직하기도 했으며, 여기서 소설가 이태준(李泰俊)을 만나 평생의 지기가 되었다. 1927년에는 당대 프로 예맹 이론가들을 비판하는 <화단 개조>, <프롤레타리아 미술 비판>을 발표해 임화 등의 반격을 받았으며, 이때 미술 비평가로서 국내 화단에 등단하기 시작했다.
1930년에는 도쿄미술학교 동문들과 함께 동미회(東美會)를 조직하고 대표가 되었고, 향토회를 조직하고 창립전에 <정물>, <풍경>, <꽃> 등을 출품했다. 또한 동문인 길진섭, 이마동 등과 백만양화회(白蠻洋畵會)를 조직하고 주도해 나갔으며, <백만양화회를 만들고>, <제9회 미전과 조선 화단> 등의 평문을 발표했다.
1931년 2월, 도쿄미술학교 졸업 작품으로 ‘달리는 기차가 전복되는 그림’을 그려 제출했으나 자본주의 사회의 부패상과 멸망상을 보여 주었다 해서 압수당하고, 이후 <여인상>으로 대체해 제출하고 졸업했다. 귀국해 중앙고보 미술교사로 재직하면서 ‘제2회 향토회 전람회’, ‘제2회 서화협전(書?協展)’, ‘동미전(東美展)’ 등에 작품을 출품했으며, 미술 평론 <동미전과 녹향전(錄鄕展)>, <서화협전의 인상>, <미술에 나타난 곡선(曲線) 표징(表徵)>, <화단 일 년의 회고> 등의 글을 발표했다. 당시 한국 화단의 주요 논제였던 ‘조선 향토색론’을 앞장서서 이끌어 나갔는데, 민족 정서를 조선 향토색의 핵심으로 내세웠다. 특히 <회화로 나타나는 향토색의 음미>는 향토색과 관련된 대표적 글이라 할 수 있다.
1934년 도쿄미술학교 출신들과 함께 목일회(牧日會)를 조직하고, ‘제1회 목일회 전람회’에 <자화상>, <풍경> 등을 출품했다. 같은 해부터 보성고보 미술 교사로 재직하기 시작했다. ‘목일회전’의 후신인 ‘목시회(牧時會) 전람회’에 <오월>, <정물>, <소품> 등을 출품했다. 1930년대 중반 이후부터 소설가이자 지기였던 이태준과 더불어 골동 취미에 빠지기 시작해 전통 미술에 대한 애정을 평론에 담아냈다. 또 수필 <서울 사람 시골 사람>, <백치사(白痴舍)와 백귀제(白鬼祭)>를 발표하는 등 미술과 삶에 대한 수필을 이때부터 꾸준히 발표했고,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론>, <김만형(金晩炯) 군의 예술>(1942)과 같이 당대 화가들의 작품에 대한 비평도 썼다. 1939년 3월에는 딸 석란을 입양했다. 같은 해 2월, 월간 문예지 ≪문장≫이 창간되면서, 길진섭과 함께 ≪문장≫의 표지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1940년에 발표한 미술 평론 <전통에의 재음미>를 통해 조선 고전 전통의 부활을 제창했다. 1944년에는 결핵을 앓게 되어 성북동 자택인 ‘노시산방(老枾山房, 당시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성북리 65-2)’을 수화(樹話) 김환기(金煥基)에게 넘겨주고 의정부로 이주했다.
해방 후 총 186명의 미술가들을 총괄한 최대 미술가 조직이었던 ‘조선 미술 건설 본부’에 참가해 동양화부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1946년 보성중학교 교사를 퇴직하고 서울대 회화과 교수로 취임했으며, 미술애호회에 참가했고 미술 평론 <명일의 조선 미술>을 발표했다. 1947년에는 <민족 문화 문제>, <광채 나는 전통> 등의 평문을 통해 식민 잔재 청산을 주장했다. 1948년 이후 잡지 ≪학풍(學風)≫에 다수의 수필을 기고하기 시작했고 표지화를 그렸다. 같은 해, 국대안 파동의 여파로 서울대 교수직을 사퇴하고 동국대학교 교수로 취임했으며, 1949년 동국대학교 강당에서 ≪근원수필≫ 출판 기념회를 가졌고, 6월에는 ≪조선 미술 대요≫를 출간했다. 그리고 연이어 <고미술 계몽의 의의>, <국전의 인상>, <신사실파의 미>를 발표하는 등 전통 미술과 현대 미술뿐만 아니라 국전이라는 새로운 전시 체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었음을 드러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김용준은 석 달 후인 1950년 9월에 부인 진숙경과 딸 석란을 데리고 월북했다. 월북하자마자 그는 평양미술대학 교수에 취임했으며, 1951년에는 조선 미술가 동맹 조선화 분과 위원장과 조선 건축가 동맹 중앙위원을 지냈다. 1953에는 평양미술대학 교수를 사퇴하고 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취임했다. 이 무렵 미술사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하는 등 미술사학자로 활약했다. 1956년부터 고구려 고분 벽화 현지 조사 및 문헌 연구를 시작했고, 1957년 과학원 창립 5주년 기념 학술 보고회에서 이 연구를 발표해 조선 미술사학의 수준을 높인다는 평가를 받았다. 같은 해 소련에서 개최된 ‘세계 청년 학생 축전’에 수묵 채색화 <춤>을 출품해서 금메달을 수상했는데, 조선화의 고전으로 평가되었다. 1958년에 연구서 ≪고구려 고분 벽화 연구≫를 출간했다. 1962년에는 평양미술대학 예술학 부교수로 복직해 <조선화의 채색법> 등을 발표했고, ≪조선미술사≫와 ≪단원 김홍도≫를 출간하는 등 월북 이후에도 전통 미술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다. 1967년 향년 64세로 작고했다.

목차

梅花
게[蟹] 黔驢之技
釣魚三昧
구와꽃
두꺼비 硯滴을 산 이야기
머리
秋史 글씨
답답한 이야기
移動 飮食店
新型 住宅
老?山房記
?莊後記
생각나는 畵友들
詩와 畵
藝術에 對한 小感
東海로 가던 날
骨董說
去俗
吾園?事
답답할손 X 先生
八 年 된 조끼
眼鏡
銀行이라는 곳
袁隨園과 鄭板橋와 憑虛와 나와
畵家의 눈(一)
스리?의 道德 (上)
孤獨
翰墨餘談
繪畵的 苦悶과 藝術的 良心
善夫 自畵像
十三級 碁人 散筆
말과 소
畵家와 怪癖
表情과 衣裳
白痴舍와 白鬼祭
서울 사람·싀골 사람
≪康熙字典≫과 감투
털보
碁道 講義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한국수필문학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