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대승기신론 강해 상세페이지

대승기신론 강해작품 소개

<대승기신론 강해> 『대승기신론 강해』는 진제의 한역본을 저본으로 하고 여기에 원효와 법장의 소를 비교·분석하며 일심(一心) 이문(二門)의 대의(大義)를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도록 240여 개의 내용 설명 도표를 사용하며 상세하고 논리정연하게 해설하고 있다.


출판사 서평

치밀한 구성, 정확하고 간결한 문체, 독창적인 사상체계로
중관, 유식, 여래장 등 대승불교의 모든 사상을 회통하며
대승(大乘)의 대의를 논하는 대승불교 최고의 논서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강해(講解)하다!

1∼2세기경 인도의 마명(馬鳴)이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이론과 실천의 양면에서 대승불교의 중심 사상을 종합한 대승불교 최고의 논서로 평가 받고 있다. 산스크리트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한역은 진제(眞諦)가 번역한 1권본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2권본이 있으며 이 중에서 진제의 한역본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대승기신론의 내용은 예로부터 일심(一心), 이문(二門), 삼대(三大), 사신(四信), 오행(五行)으로 요약해 왔다. 가장 핵심인 일심을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의 이문으로 설명하고, 또한 일심의 특성을 체(體), 상(相), 용(用)의 삼대로 전개하여, 궁극적으로 대승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며 나아가 실천적 행을 닦도록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대승기신론은 대승불교의 모든 사상을 종합적으로 회통(會通)하며 체계적인 논리를 세워 대승의 본질을 밝히고 있다. 중관사상과 유식사상의 일부가 조화를 이루고 있고 여래장사상까지 원숙하게 표출되어 있다. 또한 치밀한 구성과 정확하고 간결한 문체, 독창적인 사상체계로 대승(大乘)의 대의(大義)를 종합적으로 논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 영향도 대단해서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주요 종파, 즉 화엄, 천태, 선, 정토, 진언 등에 골고루 미치고 있다. 대승기신론이 사상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주석서도 많이 저술되어 근대이전까지 약 190여 종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수나라 혜원의 『대승기신론의소』, 신라 원효의 『대승기신론소』, 당나라 현수법장의 『대승기신론의기』를 3대 소라고 한다.

원효와 법장의 소(疏)를 비교·분석하며
일심(一心) 이문(二門)의 참뜻을 다시 펼쳐
불이법문과 동체대비의 보살사상을 다시 강조

본 책 『대승기신론 강해』는 진제의 한역본을 저본으로 하고 여기에 원효와 법장의 소를 비교·분석하며 일심(一心) 이문(二門)의 대의(大義)를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도록 240여 개의 내용 설명 도표를 사용하며 상세하고 논리정연하게 해설하고 있다.
유식사상에서 개체적 유근신과 공통적 기세간을 형성하는 아뢰야식은 단지 생멸의 특징만 갖는 염오식(染汚識)이지만, 대승기신론에서는 그 자체 불생불멸의 진여성을 갖는 염정(染淨) 화합의 식이 된다. 대승기신론에서 아뢰야식은 유위와 무위, 생멸과 불생불멸의 화합식이 되어, 진여와 생멸이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현상세계를 형성하는 중생의 생멸심 안에 불생불멸의 진여심이 있으며, 이 진여심이 곧 여래법신이며 그 안에서 일체 중생은 모두 하나, 즉 모두 일심(一心)이 된다.
우리가 모두 함께 어우러져 사는 이 현상 세계 일체 경계가 모두 하나의 마음, 즉 일심의 표현이라는 것은 곧 우리 각자의 중생심이 표층에서는 각각 별개의 존재처럼 보여도 심층에서는 결국 하나라는 것, 우리 각자의 마음 바탕이 각각의 체(體)가 아니라 하나의 체라는 것, 하나의 일심이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일심의 법, 즉 중생심(衆生心)이 곧 진여심(眞如心)이고, 중생이 곧 부처이며, 일체 중생이 모두 일심의 존재임을 믿는 것이 바로 대승기신론이 우리에게 불러일으키고자 하는 대승적 믿음이다. 즉, 중생 각자가 자신 안의 불생불멸의 진여법신을 자각하여 일체 중생이 진여로서 모두 하나라는 대자대비의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대승기신론은 이와 같이 독창적인 일심 이문의 사상체계로 대승의 불이법문(不二法門)을 완성하고 동체대비(同體大悲)의 보살사상을 전개하고 있음을 저자 한자경 교수는 논증하며, 대승기신론의 참 정신을 오늘에 되살릴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 프로필

한자경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철학 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석사
    프라이부르크대학교 대학원 칸트철학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학사
  •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부 철학전공 교수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
  • 수상 2012년 제3회 원효학술상 교수부문 우수상

2014.12.0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자 한자경은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박사학위(칸트철학 전공)를 받았으며,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철학으로 박사학위(유식불교 전공)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칸트와 초월철학』, 『자아의 탐색』, 『자아의 연구』, 『유식무경』, 『동서양의 인간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칸트 철학에의 초대』, 『불교의 무아론』, 『21자(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등이 있다.

목차

서분序分

귀경게(歸敬偈)
1. 불보(佛寶)
2. 법보(法寶)
3. 승보(僧寶)

정종분正宗分

I. 인연분(因緣分)
1. 기신론 저술의 동기
2. 기신론의 특징

II. 입의분(立義分)
1. 입법장(立法章)
2. 입의장(立義章)

III. 해석분(解釋分)

III-1. 현시정의(顯示正義)
1. 심진여문(心眞如門)
1) 이언진여(離言眞如)
(1) 진여의 체
(2) ‘진여’라는 이름
2) 의언진여(依言眞如)
(1) 공(空)
(2) 불공(不空)
2. 생멸심의 각(覺)과 불각(不覺)
1) 아뢰야식의 양면: 각과 불각
2) 각(覺)
(1) 시각(始覺)
(2) 본각(本覺)
3) 불각(不覺)
(1) 불각(不覺)의 3세상(細相)
(2) 불각(不覺)의 6추상(??相)
4)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
3. 생멸의 인연(因緣)
1) 의(意)와 의식(意識)으로의 전변(轉變)
(1) 다섯 가지 의(意)
(2) 삼계유심(三界唯心)
(3) 의식(意識)
2) 생멸의 인연
(1) 인연의 깊은 의미
(2) 여섯 가지 염심(染心)
(3) 상응(相應)과 불상응(不相應)
(4) 무명(無明)과 염심(染心)
3) 생멸상(生滅相)
(1) 생멸상의 차이
(2) 생멸상의 인과 연
(3) 심체(心體)과 심상(心相)
4. 염정훈습(染淨熏習)
1) 훈습의 4법
2) 염법훈습(染法熏習)
(1) 세 가지 염법훈습
(2) 각 염법훈습의 두 단계
3) 정법훈습(淨法熏習)
(1) 두 가지 정법훈습
(2) 각 정법훈습의 두 단계
5. 삼대(三大)
1) 체대(體大)
2) 상대(相大)
3) 용대(用大)
(1) 진여(眞如)의 작용
(2) 진여(眞如)의 두 가지 용(用)
(3) 진여(眞如) 현시(顯示)의 단계
(4) 색(色)과 심(心)의 관계
(5) 생멸문(生滅門)에서 진여문(眞如門)으로

III-2. 대치사집(對治邪執)
1. 인아견(人我見)에 의한 범부의 사집(邪執)
1) 인아견(人我見) 1: 허공이 곧 여래성이다.
2) 인아견(人我見) 2: 진여 열반이 곧 공이다.
3) 인아견(人我見) 3: 여래장에 색(色)?심(心)이 따로 있다.
4) 인아견(人我見) 4: 여래장에 세간 생사법이 포함된다.
5) 인아견(人我見) 5: 중생에 시작이 있고, 열반에 끝이 있다.
2. 법아견(法我見)에 의한 이승(二乘)의 사집

III-3. 분별발취도상(分別發趣道相)
1.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1) 신성취발심의 길
2) 신성취발심과 수행방편
3) 신성취발심의 공덕
2. 해행발심(解行發心)
3. 증발심(證發心)
1) 증발심의 지위(地位)와 경계(境界)
2) 증발심의 공덕(功德)

IV.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1. 4신심(信心)과 5수행(修行)
1) 네 가지 믿음
2) 수행의 5문(門)
(1) 시문(施門)
(2) 계문(戒門)
(3) 인문(忍門)
(4) 진문(進門)
(5) 지관문(止觀門)
2. 지관의 수행
1) 지(止)
(1) 9심주(心住)
(2) 삼매(三昧)의 수승한 능력
(3) 삼매에서 만나게 되는 마구니
(4) 외도(外道)의 삼매와 진여삼매의 차이
(5) 지의 수행으로부터 얻는 이익
2) 관(觀)
(1) 법상관(法相觀)
(2) 자비관(慈悲觀)
(3) 서원관(誓願觀)
(4) 정진관(精進觀)
3) 지관(止觀) 병행의 필요성
3. 염불(念佛) 수행

V.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1. 바른 믿음의 이익
1) 문혜(聞慧)
2) 사혜(思慧)
3) 수혜(修慧)
2. 믿음 비방의 죄
3. 수행의 권면

유통분流通分

회향송(?向頌)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