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파이의 시학 상세페이지

파이의 시학작품 소개

<파이의 시학> 수학처럼 정교하고, 시처럼 아름다운…
끝나지 않는 비평의 언어!
정끝별 9년 만의 시 평론집


시인이자 평론가인 정끝별이 9년 만에 새 평론집을 펴냈다.
제목은 ‘파이의 시학’. 언뜻 시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 듯한 수학기호 π가 돌연 문학평론집에 등장한 이유는 무엇일까? 또 수학과 시학이 만난 이 오묘한 제목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파이(π)’는 우리가 익히 아는바 3.14159265358979…… 끝나지 않는 네버엔딩 숫자이자, 원주율, ‘변하지 않는 상수(常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시를 ‘우리 삶의 둘레나 넓이나 깊이를 가늠하기 위해 필요한 삶의 좌표 혹은 기준’으로 보고, 더불어 우리 삶에 3.14배를 더해주는 그 ‘무엇’으로 간주하면서, 과거와 오늘의 한국과 한국인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한국시의 증후(證候)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마치 수학의 ‘파이’처럼 우리 시의 둘레와 넓이와 깊이를 가늠하는 ‘불변의 상수’를 찾아내기 위하여, 지난 9년간 시인으로, 또 문학평론가로 부단히 집필을 계속해온 정끝별. 그 지난한 9년간의 연구와 비평의 정수가 이 책에 담겨 있다.

먼저 1부에서는 김소월과 서정주 등 우리 시단에 한 획을 그은 시인과 시동인들의 작품과 역사를 살펴보면서, 아브젝시옹, 알레고리, 패러디, 병렬과 같은 중요한 시적 개념들의 성격을 정리한다. 1부 첫 글인 소월시론에서는 민요조 리듬에 기대 흔히 ‘민족적 정한의 언어’로 수사되는 소월시를 ‘지극히 주관적이고 내면적인 정한의 언어’로 감지해내는 그만의 남다른 독법을 펼친다. 원본 시집에 쓰인 시어를 정치하게 분석한 저자의 비평과 함께 한 편 한 편 소월시를 곱씹다보면 “가장 소월다운 시의 진경은 단독자의 내면으로 체험되는 갇힌 풍경 속에서 웅숭깊게 펼쳐진다”는 저자의 말에 새삼 고개가 끄덕여진다. 또한 서정주의 시집 가운데서도 단연 절창으로 꼽히는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빼어난 ‘사회사가(社會史家)’이자 ‘방언 마술사’의 솜씨를 뽐내는 미당시의 미학을 ‘아브젝시옹’의 관점에서 풀어낸 평문, 그리고 한국 현대시단의 걸출한 패러디스트들인 유하, 박정대, 이성복, 성기완, 서정학 등의 패러디 기법을 꼼꼼하게 분석한 글도 흥미롭다.

2부에서는 사랑, 일상, 디지털, 신화, 여성성 등 단일한 키워드로, 고운기, 이대흠, 함민복, 이진명 등 여러 시인들의 시를 논한다. 그중에서도 현대 사랑시에 등장하는 사랑과 열망의 풍경을 ‘갈망’ ‘접촉과 황홀’ ‘위로와 권력’ 등의 키워드로 나누어 분석한 ‘사랑의 권력, 사랑의 언어’는 평론이라기보다 차라리 시를 통해 ‘사랑’의 심리와 철학을 분석한 심오한 사랑론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난, / 너의 가장 뛰어난 감식가야 / 그게 사랑이지”(박용하, 「감식안에 관하여」)라는 시구를 인용하며 최고의 ‘그대’를 감식해내는 능력이야말로 ‘사랑에 대한 가장 시적인 정의’라고 말하는 그의 사랑시론은 현학적인 비평글에서는 느끼기 힘든 공감과 카타르시스마저 자아낸다.
한편, ‘서정과 일상의 변주, 그 불완전의 시학’이라는 제목하에 1990년대 시동인 활동의 위상을 연구한 글도 주목할 만하다. 80년대 중반에 이미 절정을 이룬 시동인 활동은 90년대에 접어들며 탈중심, 탈이데올로기적인 분위기로 재정비되었고, 장석남, 김기택, 김중식, 유하, 이윤학, 나희덕 등은 시운동 제2세대, 시힘, 21세기 전망, 슬픈 시학 등을 결성하며 문학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해나갔다. 80년대 이후로 우리 시단의 최전방에 서 있었던 시동인 활동이 단일한 목적과 선언으로 응집했던 80년대형 동인에서 어떤 방식으로 탈바꿈해 그 생명력을 이어갔는지 가늠해볼 수 있다.

3부는 1995년에 출간된 윤종대의 『소금은 바다로 가고 싶다』에서부터 2009년 황동규의 『겨울밤 0시 5분』까지 해당 시집에 실렸던 해설들을 모아 엮었다. 저자가 “반세기의 시력(詩歷)에도 불구하고 그 팽팽한 시적 긴장이 벼려낸 새로운 진경”이라 평한 황동규의 근작, “바닥이 닿지 않는 꽃의 깊이, 그 꽃그늘을 노래하는” 오세영의 시집, 다분히 ‘강박적’이고 그렇기에 더욱 ‘독창적’인 조말선의 시편들과 더불어, 읽는 내내 “덧나기 위한 상처, 잃기 위한 사랑, 버리기 위한 희망으로 일그러진 삶 속에서 그 상처를 감싸 안고 사는 피에로”를 떠올리게 하는, 그래서 조르주 루오의 그림 <다친 어릿광대>를 평문 끝에 슬며시 얹을 수밖에 없게 하는 김추인의 시집에 이르기까지―저자는 더없이 신선한 감각과 형식으로 우리 시단의 이단아와 원로작가 들 사이를 부드럽게 오간다.

삶의 둘레와 넓이와 깊이를 더하는
최고의 시를 감식하다!


지금까지 정끝별은 우리 시대의 삶과 인간의 증거가 되는 시와 시학을 꿈꾸며 시인으로, 또 문학평론가로 대중들에게 우리 시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리는 데 힘써왔다. 새 평론집『파이의 시학』에서 그는 다시금, 온갖 휘황한 영상과 서사의 물결 속에서도 우리가 필히 우리의 언어로 쓰인 시 한 자락에 시선과 마음을 돌려야만 하는 이유를 섬세하게 묘파하고 있다. 그 자신 시인으로서 시를 짓고 또 동업자들의 작품을 읽고 비평하며, 끊임없이 우리 시의 존재 이유와 가치를 증명해온 저자 정끝별.
수학처럼 정교하고, 시처럼 아름다운 그만의 비평 언어는 계속된다.


저자 프로필

정끝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1996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박사
    1989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석사
    1987년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 학사
  •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 교수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데뷔 1988년 문학사상 시 〈칼레의 바다〉
  • 수상 2008년 제23회 소월시문학상 대상
    2004년 만해사상실천선양회 유심작품상

2014.12.23.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자 - 정끝별
1964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국문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88년 ‘문학사상’ 시 부문에, 19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각각 당선돼 시 쓰기와 평론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시집 『자작나무 내 인생』 『흰 책』 『삼천갑자 복사빛』 『와락』과 시론/평론집 『패러디 시학』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 『오룩의 노래』, 시선해설집 『시가 말을 걸어요』 『밥』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 등이 있다. 유심작품상, 소월시문학상 대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명지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시학의 깊이=(비유의 넓이×2)+(구조×상상력의 높이×π)


소월시의 애매성과 모호성
아브젝시옹(abjection)의 상상력—서정주의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패러디 시학의 향방—1990년대 이후의 시를 중심으로
병렬(parallelism)과 병렬의 시적 구조
알레고리의 유형과 변모 양상
모더니티와 은유—‘신시론’ 동인의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중심으로

제2부
서정과 현실의 넓이=일상의 반지름×2×π


사랑의 권력, 사랑의 언어—우리 사랑시의 갈래와 욕망
서정과 일상의 변주, 그 불완전의 시학—1990년대 시동인 활동의 위상
일상, 신화, 디지털의 경계와 그늘—고운기, 이대흠, 이원의 시
‘자본주의의 약속’으로부터 추방당한 시인—함민복의 시
여성성의 귀환 혹은 비상(飛上)—이진명, 노혜봉의 시
‘광장’을 향해 다시 부르는 노래—임동확, 박해석의 시
세 개의 시선과 세 개의 단평—박정대, 강윤후, 이기철의 시

제3부
해설의 둘레들=시집의 지름×π


황홀(恍惚)과 수순(隨順)의 시학—황동규, 『겨울밤 0시 5분』(현대문학, 2009)
꽃들의 아라비아—오세영, 『꽃피는 처녀들의 그늘 아래서』(고요아침, 2005)
모종컵 속 빨간 토마토—조말선, 『매우 가벼운 담론』(문학세계사, 2002)
시간의 나뭇잎 뒤에는—이사라, 『시간이 지나간 시간』(문학동네, 2002)
중력의 사랑을 맛본다는 것—한영옥, 『비천한 빠름이여』(문학동네, 2001)
물질적 욕망에 걸린 생(生)—주창윤, 『옷걸이에 걸린 양羊』(문학과지성사, 1998)
도망중인 푸른 어릿광대—김추인, 『모든 하루는 낯설다』(세계사, 1997)
아이러니의 경쾌한 균형—박의상, 『라·라·라』(고려원, 1995)
(나)와 (무) 사이에 (나무)가 있었다—윤종대, 『소금은 바다로 가고 싶다』(고려원, 1995)

초고가 실렸던 발표 지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