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발이 없는 나의 여인은 노래한다 상세페이지

에세이/시

발이 없는 나의 여인은 노래한다

문학동네시인선 156
소장전자책 정가7,000
판매가7,000

발이 없는 나의 여인은 노래한다작품 소개

<발이 없는 나의 여인은 노래한다> “그는 내게 시 안으로 들어가라 했다. 나는 그렇게 했다.”
앞선 발자국에 내 발자국을 새로이 내며 걷는 일,
‘쓰다’와 ‘기억하다’를 양손에 가만히 쥔 채

장혜령 시인의 첫 시집을 문학동네시인선 156번으로 펴낸다. 작가는 2017년 문학동네신인상 시 부문에 선정돼 등단했으며, 이후 산문집과 소설을 먼저 펴냈다. “앞으로도 특정 장르에 속하기보다 새로운 공간을 개척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라는 작가 프로필의 마지막 문장을 독자에게, 작가 스스로에게 하는 약속처럼 되새기며 마침내 첫 시집을 선보인다. 40편의 시를 5부로 나누어 묶었으며, 각 부 제목에서 시인이 깊이 천착한 지점을 엿볼 수 있다.

“무수한 생들이 무한히 손을 맞잡은 실루엣”(「후쿠시마에서 인간은 기차처럼 긴 심연 모를 그림자다」)을 돌아보는 일, 자신이 그 역사의 매개자가 되어 묵묵히 써내려가는 일이 그 존재들에 대한, 삶에 대한, 벌어진 일과 흘러버린 시간에 대한 애정과 연민을 드러내는 하나의 방식이며, 그 작업을 통해 사적 감각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의미를 창안해내고자 하는 노력임을, 시인은 이렇게 40편의 시편으로 또 한번 두고두고 남긴다.


출판사 서평

장혜령 시인의 첫 시집을 문학동네시인선 156번으로 펴낸다. 작가는 2017년 문학동네신인상 시 부문에 선정돼 등단했으며, 이후 산문집과 소설을 먼저 펴냈다. 산문집 『사랑의 잔상들』은 십 년에 걸쳐 혼자 묵묵히 써온 글들을 묶은 것으로, 소설가 김연수는 이 작품집에 대해 “이로써 그녀는 사랑의 글들을 소유하게 됐다. (…) 회복기에 맞는 바람처럼 은은하고 낯설고 서늘한 책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진주』는 민주화운동가였던 아버지의 흔적을 찾아가는 자전적 소설이자, 그러한 아버지들을 담은 시대의 기록이었다. “지금의 르포이고, 지금의 시이고, 지금의 신화”(김혜순 시인)인 이야기였다. “앞으로도 특정 장르에 속하기보다 새로운 공간을 개척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라는 작가 프로필의 마지막 문장을 독자에게, 작가 스스로에게 하는 약속처럼 되새기며 마침내 첫 시집을 선보인다.

어젯밤 꿈속에서 있었던 일이다. 나는 시를 읽고 있었는데 그것의 마지막 행에는 ‘답설무흔(踏雪無痕)’이라 적혀 있었다. ‘그대는 발자국 없이 눈길을 가는가, 그대는 지워지기 위해 걸어가는가.’ 내 문학 선생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그는 내게 시 안으로 들어가라 했다. 나는 그렇게 했다.
_「백」에서

40편의 시를 5부로 나누어 묶었다. 부 제목에서 시인이 깊이 천착한 지점을 엿볼 수 있으리라. 우선 1부 ‘받아쓰다, 눈의 언어’와 2부 ‘번역하다, 새의 울음’, 3부 ‘바라보다, 늙은 숲의 심장’에 실린 시들을 통해 쓰는 자의 의무, 기록하는 의미에 대한 시인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시집의 서시인 「눈의 손등」을 살펴보자. 이 시는 발을 다친 ‘나’에게 무릎을 다친 ‘남자’가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으로 시작한다. ‘남자’의 친구의 이야기로, 그 친구에게는 병으로 죽은, ‘유키’라는 이름의 딸이 있었다. 유키는 눈(雪)을 뜻하는 일본어이지만 그에게 유키는 ‘Snow’가 아닌 ‘죽음과 아름다움 사이의 것’으로 각인되었을 터. 친구 부부에게는 몇 년 뒤 또다른 딸이 생겼고 그 딸아이가 일본어를 배우며 ‘유’로 시작하는 첫 단어인 ‘유키’를 알게 된 장면은 읽는 이로 하여금 묘한 탄성과 탄식 사이의 한숨을 내뱉게 한다. 그것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 『설국』으로 이어져 백 년 전으로 우리를 이동시키는데…… ‘눈의 고장-백지-흰 손의 손등-흰 꽃잎’의 이미지는 꿈속에서 딸을 본 유키의 아버지가 술잔에서 건져낸 ‘꽃잎’이라는 글자를 거쳐, 명동으로 가는 4호선 전철 안, 엄마의 무릎을 베고 잠든 아이의 얼굴에 떠오른 투명한 ‘흰빛’으로 이어지며 마무리된다. 박상수 시인이 해설에서 언급한 것처럼 “장혜령의 시쓰기야말로 잃어버린 존재의 귀환을 위해 바쳐진 것으로 보인다. 장혜령이 글을 쓰기 시작하는 순간 과거의 존재가 문을 두드리고 이쪽으로 건너온다. (…) 두고두고 떠오르면서, 끝내 사라지지 않는 방식으로 점점 더 아름다워진다.” 시공간을 과감히 넘나들며 섬세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직조해낸 풍경들은 읽는 이를 가만히 사로잡는다. 찢고 해체함으로써 생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이가 있는 반면, 이렇듯 오래 바라보고 신중히 모은 부서진 조각들을 자기만의 문장으로 이음으로써 생의 숭고함을 드러내는 이가 있다.

검은 돌은 검은 돌. 검은 돌은 다만 검은 돌이었고, 검은 돌은 아주 작고 가벼운 검은 돌일 뿐이었을 뿐이지만, 검은 돌은 걸어가고자 했고, 걸어가고자 하는 하나의 정신이었으므로, 걸어가고자 하는 것만이 그의 정신이며 또 마음이었으므로, 걸어가고자 하는 돌은 영원히 걸어가고 있었다.
_「검은 돌은 걷는다」에서

4부 ‘꿈을 꾸다, 아버지를 토하는’ 그리고 5부 ‘노래하다, 발이 없는 나의 여인’으로 이어지며 중심 축은 ‘쓰는 일’에서 ‘기억하는 일’로 이동한다. 잊지 않는 일, 두고두고 기억하는 일에 대한 시인의 몰두는 앞선 산문집과 소설에서도 드러난 바 있다. 보이지 않고 기록되지 않았으나 그렇다고 없는 것은 아닌 존재들의 역사, ‘대문자 역사가 아닌 소문자 역사’를 쓰는 것이 시인의 삶에 비중 있게 자리한 과제임이 여실히 드러나는 시편들이 담겨 있다.

부서지는 골목이 있다
영원히 부서지고 있는 나의 골목, 골목 끝에는
이곳이 미로임을 알아볼 수 없도록
희고 높고 빛나는 교회가 있고

그 속에
신을 가두고 찬송하는
사람들의 밤

아직도 눈감으면
인어의 운명을 지닌 여인이 부르는 노래를 들을 수 있다

비가 내리고
모든 것이 꿈처럼 흐른다 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그러니 나의 전부를 껴안아다오

발이 없는
나의 벌거벗은 여인은 노래한다
_「세이렌의 노래」에서

“무수한 생들이 무한히 손을 맞잡은 실루엣”(「후쿠시마에서 인간은 기차처럼 긴 심연 모를 그림자다」)을 돌아보는 일, 자신이 그 역사의 매개자가 되어 묵묵히 써내려가는 일이 그 존재들에 대한, 삶에 대한, 벌어진 일과 흘러버린 시간에 대한 애정과 연민을 드러내는 하나의 방식이며, 그 작업을 통해 사적 감각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의미를 창안해내고자 하는 노력임을, 시인은 이렇게 40편의 시편으로 또 한번 두고두고 남긴다.

아름다움의 추구는 윤리를 추동하고 진리를 향한 시도를 고양시킨다. 장혜령의 심미주의는 우리에게 그렇게 말하는 것 같다. (…) 장혜령은 ‘답설무흔(踏雪無痕)’, 즉 앞서 찍힌 희미한 발자국에 자신의 발자국을 잇대어 길을 내려고 한다. 원래 ‘답설무흔’은 무협소설에 나오는 경공술의 일종으로, 눈 위에 발자국을 남기지 않듯이 발이 땅에 닿지 않은 채로 공중을 날아가는 기예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장혜령에게는 자신의 존재론이자 예술론을 비유적으로 암시하는 말이 된다. “눈이 다 녹기 전에 나는 이 길을 걸어가야만 한다. 당신 발자국에 내 발자국을 포개며 걸었다. 당신은 없고 당신은 보이지 않고 오직 이것만이 길이라는 듯”(「새벽의 창은 얇은 얼음처럼 투명해서 1」)과 같은 문장은 그래서 처연하고 한없이 애틋하다. 눈 위에 찍힌 발자국은 쉽게 녹아버릴 테지만 이 무용하고 허무한 걸음이 아니라면 무엇이 당신과 나를 잇고, 무엇이 사랑을 가능케 할까. 당신 발자국에 내 발자국을 겹치며, 우리는 그렇게 장혜령의 시를 읽고 빛을 향해 천천히 걸어간다.
─박상수 해설, 「당신 발자국에 내 발자국을 내며 걸었다」에서


"이사한 첫 밤이었다.
어둠 속 나는 창밖을 바라보았다.

응답처럼
누군가 먼 곳에서 불을 켰고
문득, 만난 적 없는 그이를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난 적 없지만
같은 시간을 사는 사람,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
어쩌면 미래에 있을 사람의 언어를
나는 받아쓰고 있는지도 모른다.

한 번도 느껴본 적 없는 감정을 마주할 때
그 감정은 내가 모르는 그이에게서 온 것인지도 모른다.

시를 쓰며, 알 것 같다.
우리가 투명한 각주로 된 발을 단
마리오네트 인형처럼 서로를 움직이며 걸어가고 있음을.
보이지 않는 그 힘으로 이 세계가 나아가고 있음을."

2021년 제주에서 봄을 지나
장혜령


저자 프로필

장혜령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 연출 학사
  • 수상 2017년 『문학동네』 시 부문 신인상

2019.01.1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1984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 연출을 공부했다. 2017년 『문학동네』를 통해 등단했다. 산문집 『사랑의 잔상들』과 소설 『진주』를 펴냈다. 앞으로도 특정 장르에 속하기보다 새로운 공간을 개척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

목차

시인의 말

1부 받아쓰다, 눈의 언어
눈의 손등 / 백 / 백지는 구두점의 무덤이다 / 눈 한 송이와 눈 한 송이 사이 / 검은 돌은 걷는다 / 모래의 책 / 천 하룻밤의 꿈 / 토성의 고리

2부 번역하다, 새의 울음
번역자 / 비유는 흐르지 않는다 / 새벽의 창은 얇은 얼음처럼 투명해서 1 / 새벽의 창은 얇은 얼음처럼 투명해서 2 / 휘파람새 / 앵무 / 불법승 / 이별하는 정오

3부 바라보다, 늙은 숲의 심장
물의 언어 / 물결의 말 / 정원사 / 흰 불 / 청량리 / 쥐불놀이 / 교향시 / 불새의 춤

4부 꿈을 꾸다, 아버지를 토하는
이방인 / 폴림니아 성시 / 파도가 묻다 / 낙하하는 온점 / 어두운 숲의 서커스 / 고해(呱咳) / 겨울밤의 연인 / 은영에게

5부 노래하다, 발이 없는 나의 여인
기도하는 저 손을 / 사과를 그리는 법 / 죽은 꽃이 우리를 지켜본다 / 시리아의 유령들 / 후쿠시마에서 인간은 기차처럼 긴 심연 모를 그림자다 / 나라 없는 사람 / 버려진 여자들이 박쥐가 되어 다시 태어났다 / 세이렌의 노래

해설_당신 발자국에 내 발자국을 내며 걸었다
박상수(시인, 문학평론가)


리뷰

구매자 별점

5.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1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문학동네 시인선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