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삼천갑자 복사빛 상세페이지

에세이/시

삼천갑자 복사빛

민음의 시 126
소장종이책 정가7,000
전자책 정가30%4,900
판매가4,900

삼천갑자 복사빛작품 소개

<삼천갑자 복사빛> 미끄러지는 차연(次緣)의 슬픔
이번 시집에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역시 사랑 이야기다. 그렇지만 그것은 지나간,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기에 아름다웠던 만큼 더 가슴 아픈 사랑 이야기다. 시집의 첫 문을 여는 시 역시 봄에 관한 시다. 만물이 소생하는, 색색 가지 아름다운 꽃들이 피어나는 봄. 아무 이유 없이 사람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새로운 사랑이 시작될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기대를 갖게 하는 봄. 그러나 시인에게 봄은 사랑의 계절이 아니다. 바깥세상이 아름다울수록 나의 아픔 또한 더욱 커지는 것만 같고, “잠결에 잠시 돌아눕”기만 해도 꽃이 다 져버릴 것만 같고, 지는 꽃잎은 또 “제 그늘만큼 봄빛을 떼어 가”버리리라는 생각에 더욱 슬퍼지는, 그런 계절인 것이다.

내 것이라 생각했던 사랑은 어느 순간 눈앞에서 사라져버렸다. 그 후로 마음에선 “종일 공테이프가 돌아가고” 허리띠가 남아돌 정도로 봄이(몸이, 마음이) 말라간다. 시인은 “차마 무너지지 못한 마음과/ 차마 보내지 못한 마음이/ 얼마 동안은 그렇게 엉켜 있으리라/ 서로가 덫인 채/ 서로에게 걸려 있으리라”라고 말하며 미련으로 가득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다시 사랑이란 “손바닥에 잠시 모였다/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물 같은 것, “어떤 간절한 손바닥도/ 지나고 나면 다 새어 나가는 것”이라며 집착을 버리고 초연해진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음의 줄기를 타고 오르는/ 눈물의 힘을 믿겠다”며 소극적이긴 하지만 슬픔을 딛고 다시 한번 일어서려는 의지를 살며시 보여준다.

목메인 밥이 쓰다
이번 시집에는 시인의 첫 번째 시집 제목과 같은 「자작나무 내 인생」이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시에는 “명치끝에 누르스름한 멍이 배어 나왔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두 번째 시집의 주제였던 ‘농(膿)’이라는 주제가 이 시집에서도 반복되고 있음을 뜻한다. 이 ‘농’이란 것은 일상의 상처로부터 흘러나온 고름을 말한다. 그리고 그 상처는 「밥이 쓰다」라는 시에서 극대화된다. “독감에 걸려 먹는 밥이 쓰”고, “변해 가는 애인을 생각하며 먹는 밥이 쓰”고, “늘어나는 빚 걱정을 하며 먹는 밥이 쓰”기 때문이다. 이 ‘쓰다’라는 단어는 ‘쓰다(bitter)’와 ‘쓰다(use)’와 ‘쓰다(write)’라는 세 가지 의미로 변주되면서 점점 더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간다. 그리고 정끝별 특유의 숨 한번 안 쉬고 내달리는 듯한 시어들은 같은 어구의 반복을 통해 마치 노래의 후렴구와도 같은 일정한 운율을 만들어낸다.
돈을 쓰고 머리를 쓰고 손을 쓰고 말을 쓰고 수를 쓰고 몸을 쓰고 힘을 쓰고 억지를 쓰고 색을 쓰고 글을 쓰고 안경을 쓰고 모자를 쓰고 약을 쓰고 관을 쓰고 쓰고 싶어 별루무 짓을 다 쓰고 쓰다

그러나 시인은 끝까지, 끈질기게, 검은 타이어처럼 굴러 갈 것이다. “길바닥에/ 제 속의 바람을 굴리면서/ 제 몸 깊이/ 길의 상처를 받아내며 굴러” 갈 것이다. 왜냐하면 그에게는 “받아들이면서 나아가는 둥근 힘”이 있기 때문이다.

이불 속이 온통 둥그렇다
정끝별의 시에서 가족은 또 하나의 중요한 주제다. 가족은 애틋한 어린 시절의 추억 속에 옛집과 함께 사진처럼 박혀 있는 그리움의 대상이기도 하고(「동백 한 그루」), 나이를 먹고 자식을 둔 부모가 되고 보니 그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된 부모님이기도 하고(「헝큰머리엄마」), 어느새 아이처럼 투정 부리는 노인이 되어버린 아버지이기도 하다(「눈이 감길 때마다」). 하지만 마냥 따듯하기만 할 것 같은 이 가족이라는 단어는 한낮의 악몽과도 같은 수천의 개미 떼에 의해 습격을 당하기도 하고(「개미와 앨범」), 빈 낮 내내 엄마를 부둥켜안고 싶어 하던 딸애처럼 내 칫솔을 부둥켜안고 있는 딸애의 칫솔에 의해 ‘일하는 엄마’의 죄책감과 그로 인한 공포로 탈바꿈되기도 한다(「밤의 소독」). 한밤중에 칫솔을 끓는 물에 팔팔 삶는 소독은 일면 그로테스크해 보이기도 하지만, 어쨌든 “소독된 두 마음은 서로를 부둥켜안는다”. 가족이란 여성에게 굴레와 속박인 동시에 사랑의 근원이기도 한 것이다.



저자 프로필

정끝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1996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박사
    1989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석사
    1987년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 학사
  •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 교수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데뷔 1988년 문학사상 시 〈칼레의 바다〉
  • 수상 2008년 제23회 소월시문학상 대상
    2004년 만해사상실천선양회 유심작품상

2014.12.23.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자 - 정끝별
나주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했다. 1988년 《문학사상》에 시가, 19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시집으로 『자작나무 내 인생』과 『흰 책』, 시론 평론집으로 『패러디 시학』,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 『오룩의 노래』, 산문집으로 『행복』, 『여운』, 『시가 말을 걸어요』 등이 있다. 명지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1
춘수
어떤 자리
주름을 엿보다
늦도록 꽃
가지에 가지가 걸릴 때
까치집과 까치머리
십자가나무꽃
자작나무 내 인생
허공의 나무
검은 타이어가 굴러간다
뒤돌아보는 눈
미라보는 어디 있는가
밥이 쓰다
동백 한 그루
푸른 수염 고래
먼눈
 
2
또 하나의 나무
가지에 걸린 공
사과 껍질을 보며
물을 뜨는 손
대추나무 한 그루
눈물의 힘
눈이 감길 때마다
구름詩
향에 고인 물
봄의 화단에서
모래장미
풋여름
산사춘
이 자두 가지 끝을
소금 호수
그만 파라, 뱀 나온다
 
3
겨울바람은
가지가 담을 넘을 때
바람을 피우다
천생연분
한 속꽃
여름 능소화
돌의 사랑
살구꽃이 지는 자리
공전
요요
개미와 꿀병
가을비
가을 편지
헝큰 머리엄마
단팥빵1
단팥빵2
 
4
연리지
춘풍낙엽
서귀포 돌담
봄 꿈
봄 늦바람
봄 속 몸
개미와 앨범
능소꽃이
밤의 소독
흡반
먼 눈
상강
입동
오래된 장마
정거장에 걸린 정육점
바람을 기다리는 일


리뷰

구매자 별점

4.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1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민음의 시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