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고아, 족보 없는 자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정치/사회

고아, 족보 없는 자

RICH 트랜스내셔널인문학총서 1
소장종이책 정가15,000
전자책 정가30%10,500
판매가10,500
고아, 족보 없는 자 표지 이미지

고아, 족보 없는 자작품 소개

<고아, 족보 없는 자> 기획 의도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RICH)에서 내셔널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사유를 탈학제적 시각으로 추구하는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총서를 기획하였다. 트랜스내셔널 인문학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여러 이론적 과제들을 정리한 'RICH 트랜스내셔널인문학총서' ≪고아, 족보 없는 자-근대, 국민국가, 개인≫, ≪이중언어 작가-근현대문학의 트랜스내셔널한 기원을 찾아서≫를 출간하였고, 이어서 ≪어린이·청소년 역사책, 길을 묻다≫, ≪‘식민주의 역사학’과 제국≫을 출간할 예정이다.
‘고아’는 가족 내러티브(family narrative) 밖에 놓여 있는 존재로, 규범적이고 정상적인 자아와의 대조를 이루는 정체성이다. 가족 내러티브 안에 자리 잡은 규범적인 자아가 바람직한 ‘시민/국민’의 이상적인 모델로 기능하면서 근대국민국가의 사회적, 역사적, 정치윤리적 비전뿐 아니라 ‘인간’이라는 존재론적 범주를 정의하는 지표가 되어온 데 반해, ‘고아’는 그렇게 구성된 규범적 자아의 바깥(외연)을 구성하는 존재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고아’는 또한 역사, 가문, 전통 등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자족적인 존재로서 근대적 의미에서의 ‘인간’의 원형이기도 하며, 거침없이 떠돌고 방랑하며 새로운 역사를 쓰고자 하는 이산과 디아스포라의 가장 강력한 상징(메타포)으로 기능하고 있다. ‘고아’는 가족 내러티브 밖에 존재하지만 ‘돌아온 탕아(prodigal son)’, ‘입양아(foster child)’, ‘상속자’ 등의 형태로 가족 내러티브로 다시 돌아오기도 하며 그 과정에서 이 내러티브의 규범성을 균열내기도, 강화하기도, 혹은 변화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아’ 혹은 ‘족보 없는 자’는 경계적인 개념으로, ‘자아(self)’와 ‘반자아(self-to-be)’, ‘시민’과 ‘무국적자’, ‘인간’과 ‘비인간’ 등의 범주를 문제화하고 그 범주들이 구성되고 해체되는 다양한 방식을 조명하는 데 유용한 지점이 될 수 있다. ≪고아, 족보 없는 자≫는 ‘고아’가 역사적 사실로서, 혹은 추상적인 메타포로서, 가족 내러티브, 규범적 자아(시민, 국민, 인간), 근대국민국가의 인식적, 정치적 체제 등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들을 탐구한 책이다.
≪이중언어 작가≫는 다중적 언어정체성을 지닌 이중언어 작가들을 국가별로 검토하여 근현대문학의 ‘트랜스내셔널한 기원’을 추적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근대문학’은 흔히 자국어로 쓰인 ‘민족문학’으로 자리매김되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식민지 시기 한국 작가들이 쓴 일본어 문학을 위시하여 국적을 넘어 모국어 이외의 다른 언어로 작업해온 이중언어 작가들은 민족문학의 그늘에서 충분히 조명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책은, 근대문학 속에서 다양한 국가와 민족의 접경지에서 이중언어로 작업한 작가들에 대한 연구를 한자리에 모아 그 속에서 이들의 위치를 점검하고 근대문학 자체가 민족문학이기보다는 일종의 트랜스내셔널한 과정에서 형성된 것임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앞서 이중언어 작가에 대한 개별적 연구가 진행되기는 했지만, 여러 국제적 이중언어 작가의 상황을 한자리에 모아서 일별하고 그 역사적 기원에서 현재까지를 검토해서 책으로 묶는 기획은 이 책이 처음이다. 향후 더욱 진척된 상호비교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좋은 시발점이 될 것이다.

소개

≪고아, 족보 없는 자-근대, 국민국가, 개인≫
고아라는 비유를 통해 이 책에 모인 글들이 집합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불가능한 비교, 혹은 최소한 비대칭적 비교이다. 이 책은 고아라는 주제에 담긴 표면적인 공통성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다름’이 어떻게 고아라는 비유 안에서 다양한 층위로 쌓이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오이디푸스와 프랑켄슈타인은 특정한 의미망 안에서만 고아이지만, 고아라는 명사의 유적(類的) 특성은 이들의 다름을 보여주기보다는 은폐한다. ‘환과고독(鰥寡孤獨)’이라는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고아 의식과 그 몇 세대 후 이광수의 의식 세계에 자리한 뿌리 깊은 고아 의식은 같은 용어로 표현되는 ‘다름’의 전형적인 예이다. 더구나 공통성에 기반을 둔 비교는 결국 위계를 확인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조선 전기의 ‘고아’ 정책이 비슷한 시기의 프랑스 ‘고아’ 정책보다 선진적이거나 후진적이었다는 언명은 공통성의 비교가 지닌 위험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이 책에 실린 글들이 병치되어 배열되어 있다고 해서, 식민지 조선의 사생아와 미국의 일본인 수용소 수감자들을, 혹은 프랑켄슈타인과 19세기 파리의 고아들을 ‘비교’하려는 의도를 지녔다고 보아서는 곤란하다. 오히려 각각의 고아는 그들을 만들어내는 세계의 다름을 표출한다. 이 다름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까닭은 공통성의 비교가 결국 특정한 형태의 세계의 이해―아마도 우리가 근대성이라고 명명하는 무엇―의 반복일 뿐이라는 저자들 공통의 인식 때문이다.


저자 프로필

권은혜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대학원 박사
  • 경력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2014.12.03.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자 - 권은혜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인종민족젠더가 20세기 아시아계 미국인 역사에서 교차적으로 드러나는 방식 연구. 논문으로는 “Interracial Marriages Among Asian Americans in the U. S. West, 1880~1954”(박사학위논문), [인종간 결혼에 대한 법적 규제와 사회적 금기를 넘어서: 1880년에서 1945년까지 미국 서부에서 아시아계 남성과 결혼한 백인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저자 - 김아람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재 한국현대사회사 연구. 논문으로 [5.16군정기 사회정책―아동복지와 ‘부랑아’ 대책의 성격], [1970년대 주택정책의 성격과 개발의 유산] 등이 있다.

저자 - 김청강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논문으로 [현대 한국의 영화 재건 논리와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함의(1945~60)], [악극, 헐리우드를 만나다―195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혼종성에 드러나는 식민성과 탈식민적 근대성의 문제들], 공저로 ≪딱지본 대중소설의 발견≫ 등이 있다.

저자 - 박선주
인하대학교 조교수. 미국 메사추... 세츠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트랜스내셔널 문학, 현대 영미문학 전공. 논문으로 [트랜스내셔널 문학: (국민)문학의 보편문법에 대한 문제제기], [피의 역사와 기억의 주체: 카릴 필립스의 ‘피의 본성’에 나타나는 ‘우리’의 산재성], [(부)적절한 만남: 번역의 젠더, 젠더의 번역] 등이 있다.

저자 - 오경환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근대유럽사 전공. 논문으로 [Republican Duties: Depopulation, the social question and the rise of the welfare state in France, 1880~1914], [근대 사회과학의 아포리아] 등이 있다.

저자 - 허병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졸업. 식민지 시기의 문화와 문학지리학 연구. 논문으로 [식민지의 접경, 식민주의의 공백], [장소로서의 동경] 등이 있고, 공저로 고도의 근대, 이동의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 등이 있다.

저자 - 홍양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 취득. 식민지 가족사/여성사 전공. 논문으로 [식민지시기 가족 관습법과 젠더 질서], [식민지 조선의 ‘본부 살해’ 사건과 재현의 정치학], [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편저로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역서로 제국의 경찰이 본 조선풍속: 조선풍속집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_불가능한 비교: ‘고아’라는 비유

고아와 혼혈, 근대의 잔여들_허병식
1. 고아와 혼혈, 근대의 가족로망스
2. 고아 청년들의 등장
3. 혼혈의 정치
4. 귀환하는 아이들
5. 타인의 얼굴

인조인간, ‘벌거벗은 생명’, 포스트휴머니즘_박선주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고아와 인간
1. 시작하며
2. ‘인간’의 근원에 놓인 부정, 고아
3. ≪프랑켄슈타인≫: 고아아버지아들과 ‘근대 시민’의 모순
4. ≪나를 보내지 마≫: 국가권력의 글로벌한 재편과 포스트휴먼
5. 마치며

1950년대 한국 사회의 혼혈인 인식과 해외 입양_김아람
1. 한국 현대사의 중심에 있는 혼혈인
2. 한국전쟁이 낳은 자녀들
3. 혼혈인을 둘러싼 겹겹의 모순들
4. 민간의 혼혈인 해외 입양: ‘ 다다익선’의 대리 입양
5. 더 복원될 이야기들

2차 세계대전 일본계 미국인 강제수용 시기 일본계 미국인 고아 및 혼혈아의 인종 정체성_권은혜
1. 시작하며
2. ‘모든 일본인 후손’이라는 문구의 모호함
3. 혼종결혼정책이 규정하는 일본계 미국인 고아 및 혼혈아의 인종정체성
4. 마치며

보이지 않는 혼혈인_김청강
[내가 낳은 검둥이]로 본 대한민국 ‘검은 피부’의 정치학
1. 흑인 혼혈 한국인, 그들은 누구인가
2. 대한민국 흑인의 표상
3. ‘구별된다’는 것, 그 폭력적 인식
4. ‘위험한 교차’의 법적 장치
5. 혼혈인들이 속할 땅, 미국
6. 마치며

‘애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_홍양희
식민지 시기 ‘사생아’ 문제의 법적 구조
1. 시작하며
2. ‘사생아’의 탄생
3. 애비 없는 자식이라는 ‘낙인’
4. 사생아 낙인의 정치학
5. 마치며: 식민지적 인식론을 넘어

‘다른 이름으로 불리지 않은 자’_오경환
근대 프랑스 고아 개념의 변천
1. 시작하며
2. 드러난 아이들
3. 버려진 아이들
4. 돌봄을 받는 아이들
5. 마치며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