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력비판 (Kant's Critique of Judgement) <칸트> 계몽주의 및 관념철학 : 세계 문학 BEST 영어 원서 540
작품 정보
판단력 비판
(Kant's Critique of Judgement)
<칸트> 계몽주의 및 관념철학
: 세계 문학 BEST 영어 원서 540
칸트의 철학이 비판철학이라 불리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의 세 가지 저서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에서 연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책의 제목 끝에 붙인 '비판'이라는 개념은 칸트가 과거의 철학을 비판적 연구 분석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칸트는 이러한 측면에서 스스로의 철학을 '비판철학' 이라고 불렀다. 칸트가 이러한 비판 철학을 펼치게 된 데에는, 뉴턴의 자연과학과 루소의 철학, 그리고 인간의 인식능력에 대한 흄의 회의를 받아들인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출처 및 인용 : 위키백과>
권의 저서 내용을 요약한 질문과 각 책이 다룬 영역은 다음과 같다.
*《순수이성비판》(1781년): 나는 무엇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인식론
*《실천이성비판》(1788년): 나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윤리학
*《판단력비판》(1790년): 나는 무엇을 바랄 수 있나?-미학
=== ebook 특징===
1. 제목 : 판단력비판 (判斷力批判)
2. 영어 원제 : Kant's Critique of Judgement
독일어 원제 : Kritik der Urteilskraft
3. 영어 원서 "텍스트" 제공
4. 추가 영어원서 수록: <그림형제 동화 62편> 모음집 (오디오북 포함)
==========
<판단력비판> 이란?
判斷力批判 (1790) 칸트의 대표적 저술 가운데 하나. '제3비판'이라고도 한다.
이론이성에 의한 자연과 실천이성이 관계되는 도덕은 전혀 별종의 것이었다. 그러나 두 세계는 관계가 없지도 않다. 도덕은 자연 속에서 실현되어야만 한다. 그렇다면 인과율에 의한 자연이 도덕의 목적을 가능케 하고 도덕에 적합하며 도덕과 조화하는 것이어야 한다.
과연 자연은 도덕과 조화하여 도덕의 목적을 실현하게 되어 있는가. 우리는 그것을 이론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 할 수 있다면 결국 낡은 형이상학의 독단적인 과오를 되풀이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자연 속에서 도덕의 목적에 맞는 것처럼 여겨지는 모습을 발견할 수는 있다(그러한 힘을 칸트는 반성적 판단력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모습이 미(美)나 숭고(崇高)라고 불리는 것이며 유기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