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공공정보의 자율적 개방확산을 위한제도도입및적용방안연구 상세페이지

공공정보의 자율적 개방확산을 위한제도도입및적용방안연구작품 소개

<공공정보의 자율적 개방확산을 위한제도도입및적용방안연구>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공공정보의 자율적 개방을 확산할 수 있는 제도 도입 및 실행 방안 마련
- 국내 행정?공공기관에서 공공정보의 개방을 결정하는 중요요인 및 기준 도출
- 검토된 기준에 의거 공공정보의 자율적 개방을 확산할 수 있는 제도적 조치 방안 마련
- 자율적 개방 확산을 위한 제도 도입시 필요한 추진체계 구축 방안(기술적?관리적 조치 등)
- 자율적 개방 확산을 위한 제도의 인증절차 및 공공정보 전달체계 마련

자율적 개방이 가능한 공공정보 대상을 도출하고 단계별 적용 방안 마련
- 공공정보의 다양성과 민간 수요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여 대상 도출을 위한 기준 마련
- 개발된 기준에 따라 자율적 개방 가능한 공공정보 대상을 우선순위별로 도출
- 특히, 적용이 용이하고 파급효과가 큰 공공정보를 목록화하는 등 시범적용 가능한 영역 발굴
- 제도의 적용이 까다로운 영역(grey area)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

연구결과

본 연구가 종국적으로 도출하고자 하는 결과물의 주요 골자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가능
- 먼저 공공정보 자율적 개방을 위한 자유이용 약관(라이선스)의 개발이며, 다음으로 공공정보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개방을 위한 공공기관 지원체계에 마련에 대한 검토

연구결과의 구성
- 서론을 시작으로 제2장에서는 공공정보의 학문적?실무적 의의와 쓰임새를 파악
- 이후 우리 실정에 적합한 공공정보 자유이용 약관을 활용하는데 있어 법적인 쟁점을 검토하고(제3장)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제4장) 시범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 초안을 제시(제5장)
- 공공정보 개방을 위해 필요한 추진 체계와 단계적 적용하는 방안과 관련해서는 주무부처와 지원기관의 역할 등 추진체계에 대해 검토하고(제6장), 단계별로 라이선스의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가는데 고려할 사항에 대해 분석하였음(제7장)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저자 - 한국정보화진흥원
국내, 외 정보격차 해소의 종합적인 지원과 국가지식정보자원의 생산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글로벌 지식정보격차해소 전문기관으로 장애인과 노인, 저소득층, 농어촌 지역주민 등 정보취약계층에게 정보통신서비스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정보이용을 보장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균형 있는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접근 환경조성, 정보격차해소 관련 기술 및 콘텐츠 개발, 지원, 정보이용능력 배양을 위한 국민정보화교육,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인식 확산 및 홍보, 국민의 생산적 정보활용 촉진 및 오, 남용 예방, 정보격차해소 정책개발 지원 및 조사연구, 국가간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국제협력, 국가지식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 등 8대 핵심과제를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동안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통신 국가로 자리매김한 위상을 디지털 복지국가 u-korea 로 더 한층 높여가고, 계층간, 지역간, 국가간 정보격차해소를 종합적 지원하여 모든 국민이 정보화의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구축해 나아가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표
제2절 연구의 범위, 대상, 방법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 연구의 방법 및 차별성

제2장 공공정보 개방의 장애 요소
제1절 개요
1. 법제도 미비와 공공정보 개념의 모호
2. 제공 실무상의 어려움
제2절 법제도의 미비
1. 부족한 법적 근거
2. 공공정보 제공관련 법제 현황
3. 공공정보제공지침
4. 공공데이터베이스 제공 및 이용에 관한 법률(안)
제3절 공공정보 개념의 혼란
1. 개념에 대한 다양한 의견
2. 유사 개념과의 구분
3. 개념에 대한 잠정적 제안
제4절 실무에서의 어려움
1. 현장 의견의 수렴
2. 권리처리, 공개대상 판단의 어려움
3. 시스템 구축, 담당 인력 신규 채용 등 경제적 부담
4. 이용자의 이용편의성
제5절 소결

제3장 오픈 라이선스의 활용과 법적 쟁점
제1절 오픈 라이선스의 의의와 효과
1. 오픈 라이선스의 의의 및 필요성
2. 오픈 라이선스의 활용의 효과
제2절 오픈 라이선스의 법적 과제
1. 개요
2. 허락 가능한 권리의 파악
3. 오픈 라이선스의 유효성
4. 사후 관리
제3절 소결

제4장 오픈 라이선스 사례 분석
제1절 개요
제2절 영국의 OGL과 NCGL
1. 왕실저작권?의회 저작권의 개념과 이용허락 개요
2. OGL?NCGL의 주요 내용
제3절 호주의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3.0 Australia
1. 연방 저작권
2. 공공기관의 CCL 활용
3. 주요내용
제4절 일본 자유이용마크 제도
1. 자유이용마크제도의 개념
2. 유형
3. 특징
제5절 문화체육관광부의 KOGL(안)
1. 논의경과
2. 내용
제6절 소결

제5장 오픈 라이선스(안)의 제안
제1절 개발 방향과 고려 사항
1. 개발 방향
2. KOGL(안)과의 관계
3. 기타 제언 - 라이선스 명칭과 마크 개발
제2절 (가)공공정보개방라이선스(안)과 주요내용
1. 적용범위 및 유형
2. 유형구분의 실익
3. PIOL(안)의 제안
제3절 소결

제6장 추진체계
제1절 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1. 개요
2. 영국
3. 프랑스
4. 호주
5. 일본
6. 시사점
제2절 추진 체계 제안 및 역할
1. 지향점과 현실을 고려한 추진체계 제언
2. 주관부처의 역할
3. 지원 기관의 필요성과 역할
4. PIOL(안)운영과 관련한 추진체계 업무흐름

제7장 활용방안 및 발전방안
제1절 국가DB사업
1. 국가DB사업에서의 활용
2. 적용 대상의 선정과 고려 사항
제2절 우선 적용 대상
1. 시범 운영의 기대 효과
2. 우선 적용 대상 선정 기준
3. 소결
제3절 중장기 발전방안: 법제도 개정과 연계
1. 개방의 근거 마련
2. 자율적 개방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정책적 사항
3. PIOL(안)의 이용확대 방안

제8장 결론
제1절 공공정보의 자율적 개방을 확산할 수 있는 제도 도입 및 실행 방안 마련
제2절 자율적 개방이 가능한 공공정보 대상 도출 및 단계별 적용 방안
제3절 기대 효과
제4절 향후 연구 대상 및 고려 사항
1. 내용의 구체화 및 적용 범위의 확대
2. 권리 관계에 대한 전면적 재조사
3. 부처간 협의 및 세부 시책 수립

[부록-1] 영국 열린정부라이선스(Open Government License)
[부록-2] PIOL(안) 해설
[부록-3] 기관의 제공 의지가 있는 공공정보 목록 예시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