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안씨가훈 상세페이지

안씨가훈작품 소개

<안씨가훈> 북제 황문시랑 안지추가 편찬한 것으로, 남조 말 양나라 말기 서위의 침입으로 북방으로 옮아가 오랜 세월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면서 깨달은 여러 가지 교훈을 담고 있다. 자식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고 형제끼리는 어떻게 지내야 하며, 후처에 관한 문제를 비롯해 자기 집안의 크고 작은 일들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에 대해서 아주 자세하게 알려준다.



저자 소개

저자 - 안지추(顔之推, 531∼591)
안지추는 양(梁) 무제(武帝) 중대통(中大通) 3년(531) 강릉[江陵, 현 후베이성(湖北省) 장링현(江陵縣)]에서 태어나, 수(隋) 문제(文帝) 개황(開皇) 11년(591) 6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낭야임기[琅琊臨沂, 현 산둥성(山東省) 린이시(臨沂市)]의 명문대가의 자제로서, 9세 때 부친을 여의었으나 두 형의 애틋한 보살핌과 엄한 가풍 속에서 자라났다. 공자(孔子)의 애제자인 안회(顔回)가 그의 먼 조상이라 할 수 있으며, 9대조 안함(顔含) 때 사마씨(司馬氏) 정권을 따라 강남(江南)으로 내려왔다. 조부 안견원(顔見遠)은 박학다식해 제(齊)나라의 주요 관직을 지내다가, 제·양 교체기에 소연(蕭衍)의 반역을 반대하고 제나라에 대한 절의를 주장하며 단식하다가 사망했다. 부친 안협(顔勰)은 양나라 상동왕(湘東王) 소역(蕭繹)의 진서부자의참군(鎭西府諮議參軍)을 지냈으며, 여러 서적을 두루 섭렵하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에 뛰어나 형초(荊楚) 지역의 비문 가운데 그가 쓴 것이 많다. 부친의 뛰어난 서예 재능을 물려받아서인지 안지추 역시 어릴 때부터 서예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으나 잡예에 지나치게 몰두해 세상의 부름을 받는 것을 그다지 중시하지 않고 유학에 힘써 정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안지추는 오랜 가학을 이어받아, ≪주관(周官)≫, ≪좌씨전(左氏傳)≫에 정통했다. 12세에 일찍이 소역의 문도가 되기도 했지만, 노장(老莊)의 현담(玄談)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 바로 돌아와 다시 가학에 깊이 몰두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박식했으며, 특히 문자학에 밝아서 여러 서적을 교감(校勘)하는 데에도 상당히 조예가 깊었다. ≪안씨가훈≫의 제17장 <서증(書證)> 편은 교감학(校勘學)에 대한 그의 이런 집념을 보여 준다. 그 외 음훈학(音訓學)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 각종 기물(器物)에 대한 이름 및 발음 등을 세심하게 고증했다. 그의 성격은 대체로 호탕하고 거리낌이 없으면서도 절도가 있었던 듯하다. 술을 좋아했지만 흐트러짐이 없었으며, 20세가 되기 전에는 용모에도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았다 하니 소탈하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안지추는 처음 양나라에 벼슬해 상동왕 소역의 좌국상시(左國常侍)를 시작으로 진서묵조참군(鎭西墨曹參軍)을 지내고 산기시랑(散騎侍郞)의 관직에까지 올랐다. 후경(侯景)의 난 때는 약 4년간 포로 생활을 하다가 풀려났으며, 승성(承聖) 3년(554) 서위(西魏)가 침공하자 다시 포로가 되어 북방으로 이송되었다. 그 후 양나라가 멸망했다는 소식을 접하고서는 북제에서 벼슬해 중서사인(中書舍人), 황문시랑(黃門侍郞) 등의 주요 관직에 올랐다. 그러나 북제는 다시 북주(北周)에 의해 멸망했고, 그는 또 한 번의 포로 생활을 겪은 뒤 북조의 정권에서 어사상사(御史上士)의 벼슬을 지냈다. 이러한 그의 끊임없는 정치적 부침은 수나라 양견(楊堅)이 북조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하면서 일단락되고, 그는 태자의 학사(學士)로 부름을 받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생을 마감했다. 이렇게 그는 일생 동안 세 차례의 포로 생활과 세 차례의 망국을 경험하면서 무려 네 왕조에 나아가 벼슬했다. 그는 어지럽고 혼란한 시대를 살면서도 원망하거나 불평하지 않고 그 속에서 올바른 옛 도리를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의 이러한 고된 경험은 수나라의 전국 통일 이후 남북의 서로 다른 문풍을 융합해 발전시키는 데에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안지추는 생전에 ≪문집(文集)≫ 30권을 남겼으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현존하는 것으로는 ≪가훈≫ 20편 외에 ≪환원지(還寃志)≫ 3권이 있으며, ≪북제서(北齊書)≫와 ≪북사(北史)≫에 그의 전기가 기록되어 있다. 송대 무월(繆鉞)의 ≪안지추 연보(顔之推年譜)≫에 따르면, 안지추는 사로(思魯), 민초(敏楚), 유진(游秦)이라는 세 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이들에게 근본을 잊지 말고 학업에 힘쓸 것을 일깨우고자 ≪안씨가훈≫을 남겼다. 사로의 아들이자 안지추의 손자 안사고(顔師古)는 당나라 초기의 이름난 학자로 문자학과 경학에 두루 정통해 ≪오경정의(五經正義)≫ 편찬에 참여했다. 당나라 중기의 저명한 서예가 안진경(顔眞卿)은 그의 5대손이다.

역자 - 박정숙
1977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중국어문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중국 난징대학(南京大學) 문학원(文學院)에서 고대문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모교인 계명대학교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주로 동아시아 한문 문학에 폭넓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문화의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고전의 새로운 읽기 및 중국 현대 작품 속에 묘사되어 있는 고전적 원형의 탐구에도 관심이 많다. 주요 업적으로는 ≪하나 둘 풀어 보는 중국어 속어의 세계≫(역서, 출간 예정), ≪동양 고전의 이해≫(공편, 중문, 2010),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중국의 고전목록학≫(역서, 한국학술정보, 2009) 및 <육조 ‘공연시(公宴詩)’와 문인 집회, 그리고 세시절기>, <상해와 도시농민공의 이주와 삶, 그리고 공생; 왕안이 ≪푸핑≫에 관한 소고>, <축복받지 못한 ‘축복’과 구원받지 못한 성황 신앙; 루쉰 ≪축복≫의 심층적 주제>, <중국 성황신의 원형에 관한 고찰>, <남조악부 ‘신현가(神弦歌)’와 성황신앙>, <중국 고대의 ‘막수(莫愁)’에 관한 일 고찰> 등이 있다.

목차

해설
지은이에 대해

서치
교자
형제
후취
치가
풍조
모현
면학
문장
섭무
성사
지족
게병
양생
귀심
서중
음사
잡예
종제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고전선집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