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노천명 수필선집 상세페이지

노천명 수필선집작품 소개

<노천명 수필선집> ‘한국수필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수필을 대표하는 주요 수필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노천명(1911∼1957)은 섬세한 감수성과 절제미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마리 로랑생’, ‘ 앨리스 메이넬’에 비견되는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 시인이다. 이화 여전 시절부터 다수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시원≫ 창간호에 <내 청춘의 배는>이라는 작품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정식 데뷔했다. 특히 1938년 ≪산호림≫이라는 시집을 첫 출간, 경성 호텔에서 김상용, 정지용, 변영로 등 은사들을 비롯한 문단 주요 인사들과 출간회를 하는 등 당대 여성 엘리트 시인으로 주목받았다. 당대 문단에서 노천명에게 보인 이례적인 찬사들은 기실 20세기 초부터 진행된 신여성 담론의 문맥을 살필 때 조금 더 분명해질 수 있다.
우리 문학 담론 속에서 여성 작가의 위치는 시의성을 띠고 변화해 왔다. 나혜석, 김일엽을 비롯한 1세대 여성 작가들이 이른바 ‘신여성’으로 명명되며 사회 개조의 중축으로 호명되었다면, 이들이 일으킨 사회적 파장이 현실적인 괴리로 좌절되자 개조의 파격성은 경조부박(輕?浮薄)한 ‘모던 걸’의 세태로 폄하된다. 1930년대 본격적인 활동을 한 노천명을 비롯한 2세대 여성 작가들은 앞 세대에 대한 부담감 속에 작품 활동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여전히 희소성을 지닌 지식인 여성에 대한 사회적 호기심 및 역할 기대의 측면이 있는 한편, 신여성의 행태는 철저히 비판된다.
1910년대 출생하여 진명여고보를 거쳐 이화여전을 졸업하고 1935년 문단에 진출, 조선 중앙일보 기자가 된 노천명은 여성의 근대 교육, 엘리트 코스를 밟은 신여성으로 근대 초기부터 진행된 여성 담론의 중심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호림≫ 등 그녀의 시에 대한 이례적인 찬사 및 화려한 출간 기념회 등은 노천명에 대한 문단적 관심을 보여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노천명은 여성적인 섬세한 감각을 지니면서도 감상적이지 않은 절제미의 시학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다.
나혜석, 김일엽 등 1세대 여성 작가들이 보여 준 선각자로서의 면면이 긍정/부정의 측면에서 거론되었다면, 노천명은 모윤숙, 최정희와 더불어 여성 시인(작가)의 내면을 작품으로 실체화함으로써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문단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했다. 노천명은 시뿐 아니라 다수의 수필을 발표했는데, 그녀의 시가 문학사적 맥락 속에서 평가되었다면 수필은 시대사적 맥락 속에서 곤고히 진행된 그녀의 삶의 단편들을 살펴볼 수 있는 기제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노천명 시에서 보이는 섬세한 감각과 절제미는 수필로도 이어지는바 대상에 대한 세밀한 접근과 정갈한 문체가 바로 그것이다. 노천명은 생전에 ≪산딸기≫(1948)와 ≪나의 생활백서≫(1954) 두 권의 수필집을 낸 바 있다. 이 수필집에는 풍요로웠던 유년에서부터 시대적 격랑을 통해 부박하게 되는 말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들이 노천명만의 군더더기 없는 담박함 속에 그려진다. 이 작품집 속에 ‘여성’은 다양한 삶의 양태로 제시되는데, 일상적인 아름다움뿐 아니라 역사적 격랑 속에서도 본원적인 활력을 잃지 않는 역사적 실체로서 의미화된다. 또한 여성적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전통미의 오라를 지닌 심미 기제로서 작동되기도 한다.
노천명의 수필 세계 속에서 여성적인 심미안은 가장 일상적인 생활의 문제에서 예술성의 감각으로 역사적 어젠다의 차원으로까지 전방위적으로 펼쳐진다. 시대가 부여한 곤고한 삶을 여성적 활력으로 답하는 생명력 넘치는 여러 삶을 조명하는 한편, 전통적 심미 속에서 여성 고유의 아름다움을 부각하고자 하는 노천명의 시선은 남성적 젠더 규범 속에서 ‘예술가?여성’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이 투영된 것이다. 노천명이 여성 담론의 한 중심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오직 여성 작가로서의 자의식 속에 가다듬었던 점, 시대적 격랑 속에서도 문학적 자기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구현하고자 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노천명이 보여 주는 여성적인 심미안은 전통성과 여성성의 관계 국면 속에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신여성 담론에서 가장 문제적인 지점이 신(근대)/구(전통) 여성의 갈등 국면이며, 서구적 이상을 바탕으로 한 1세대 신여성들이 보여 준 자기 개조의 문제가 구여성 문제를 포섭하지 못함으로써 결국 제 역량을 발휘하지 못한 것이라면, 노천명 작품 속에 드러나는 여성성/예술성/전통성의 문제는 그러한 경계 지점에서 새로운 논의를 가능케 한다.


저자 프로필

노천명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12년 9월 2일 - 1957년 12월 10일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 경력 서라벌예술대학교 강사
    조선중앙일보 기자

2015.02.1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노천명은 1911년 9월 1일 황해도(黃海道) 장연군(長淵郡) 전택면(專澤面) 비석리(碑石里)에서 출생한다. 본래 이름은 항렬자를 따른 기선(基善)이었으나, 여섯 살 때 홍역을 심하게 앓고 소생한 후 하늘의 명(天命)으로 살았다는 의미로 이름을 고쳐 올렸다고 한다. 아버지 노계일(盧啓一)은 무역업을 통해 상당한 재산을 모은 소지주였으며, 어머니 김홍기(金鴻基)는 서울 태생의 양반 가문 규수로 교양 있는 여성이었다.
1917년 일곱 살 때 장연에 있는 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다음 해 아버지의 죽음으로 어머니의 친정인 서울로 이주한다. 아버지의 죽음과 낯선 환경으로의 변화는 이후 노천명 문학에서 드러나는 ‘향수’의 근원이 된다. 1920년에 비로소 서울 생활의 근거지(창신동 81번지 2호)를 정하고 진명보통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5학년 때 검정고시에 합격해 1926년 진명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4월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한다. 4년간의 여고보 생활 동안 항상 상위권의 성적을 유지했고 이미 이 시절부터 시작(詩作)에 능했으며, 몸이 약한데도 달리기 선수로 활약했다. 성격은 예민한 편으로 특히 자존심이 강했으나, 평생 지우 이용희와는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1930년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전 영문과에 입학하게 되는데, 이 겨울 모친이 57세로 죽는다. 이화여전 재학 중에 김상용, 정지용, 변영로의 가르침 속에 시작(詩作)에 집중해 교지를 비롯해서 ≪신동아≫ 등 여러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한다.
1934년 이화여전을 졸업한 노천명은 ≪조선중앙일보≫ 학예부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한편, ≪시원≫ 창간호(1935. 2. 10)에 <내 청춘의 배는>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단에 데뷔한다.
1937년 조선 중앙일보사를 사직하고 북간도의 용정, 연길 등을 여행했으며, 1938년 49편의 시를 수록한 ≪산호림(珊瑚林)≫을 자비 출판함으로써 시인으로서의 자리를 공고히 한다. 이화여전 은사들인 김상용, 정지용, 변영로 등과 남산의 경성 호텔에서 화려한 출판 기념회를 열었으며, 진달래빛 옷을 곱게 입고 참석한 노천명은 ‘한국의 마리 로랑생’, ‘앨리스 메이넬’로 불린다. 이후, 다시 조선일보사에서 운영하는 ≪여성≫지의 편집 기자 생활을 하면서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벌인다. 그러나 1942년부터 총독부 정책에 호응하는 친일시를 창작하고 ‘조선문인협회’에 모윤숙, 최정희 등과 함께 간사로 참여한다. 1945년 29편의 시를 수록한 두 번째 시집 ≪창변(窓邊)≫이 매일신보 출판부에서 간행된다.
해방 후 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가 서울신문으로 이어지면서 노천명은 문화부에 근무한다. 1947년 노천명의 형부 최두환이 갑자기 세상을 떠난 것에 이어 극진히 사랑하던 조카딸 최용자마저 맹장 수술 후 스물두 살 젊은 나이에 죽게 된다. 연이은 가족의 죽음, 특히 각별한 사이였던 최용자의 죽음은 깊은 슬픔과 허망함을 주는 사건이 된다. 이러한 면면들은 여러 편의 수필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1948년 10월 38편의 수필이 수록된 첫 번째 수필집 ≪산딸기≫가 정음사에서 간행된다. 또한 같은 해 3월에는 동지사에서 출간한 ≪현대 시인 전집≫ 제2권에 55편의 <노천명집>이 수록된다.
한국 전쟁기는 노천명에게 큰 시련이었다. 미처 피난을 떠나지 못한 노천명의 부역 행위는 부역자 처벌 특별법에 의해 20년 형이 선고되어 노천명은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부산으로 이감된다. 김광섭 등의 구출 운동으로 1951년 4월 출옥하게 되며, 가톨릭에 귀의하고 공보실 중앙 방송국 촉탁으로 일하게 된다. 이러한 시련은 노천명에게 일생의 굴욕으로 다가왔으며 옥중의 심정은 여러 시편으로 형상화된다. 1953년 3월 세 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가 간행된다.
1954년 7월 두 번째 수필집 ≪나의 생활백서≫를 출간하고, 1955년 12월 ≪여성 서간문 독본≫을 출간한다. 서라벌 예술대학에 강사로 출강하는 한편, 1956년 5월 ≪이화 70년사≫를 간행하는데, 이 일에 몰두했던 노천명은 건강에 무리가 온다. 결국 1957년 3월 7일 오후 3시 거리에서 쓰러진 노천명은 청량리 위생병원 1호실에 입원한다. 재생 불능성 뇌빈혈 판정을 받고, 요양과 입원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병세가 악화되어 1957년 6월 16일 새벽 1시 30분에 종로구 누하동 225번지의 1호 자택에서 운명을 다한다. 노천명의 장례는 6월 18일 천주교 문화회관에서 최초의 문인장으로 치러졌다. 이헌구가 식사를, 오상순, 박종화, 이은상, 김말봉이 조사를, 최정희가 약력을 소개하고, 전숙희는 유작을 낭독했으며, 중곡동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었다. 후에 천주교 묘지 이전으로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으로 이장되었는데, 묘비는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하고, 서예가 김충현이 시 <고별>의 일부를 새겼다.
사후 1년에 42편이 수록된 유고 시집 ≪사슴의 노래≫가 한림사에서 간행되고, 1960년 12월 김광섭, 김활란, 모윤숙, 변영로, 이희승 등의 발행으로 노천명의 3주기를 기념한 ≪노천명 전집 시편≫이 간행된다. 또한 1973년 3월 시인의 유족이 주선하고 박화성이 서문을 쓴 수필집 ≪사슴과 고독의 대화≫가 서문당에서 간행되며, 1997년 7월 이화여자대학교 문인 동창회와 시인의 유족, 솔 출판사가 힘을 합해 노천명의 시와 산문(유고 포함)을 수록한 ≪노천명 전집≫1, 2권이 간행된다.

목차

?道 春暈
木蓮
나비
大同江 邊
시골띠기
寒食
山日記
여름밤 얘기
松田抄
香山 紀行
旅中記
집 얘기
秋日 詞藻
沈淸傳의 鑑賞
落葉
鄕土 有情記
雪夜 散策
눈 오는 밤
南行
겨울밤의 얘기
五月의 構想
신세 진 釜山
나와 松?이
山나물
서울 滯留記
산다는 일
아름다운 女人
원두막
待春
서울에 와서
自動車
술의 生理
이기는 사람들의 얼굴
서울은 이러난다
骨董
가야금
나의 生活白書
作別은 아름다운 것
젊은 詩人에게
바다를 바라보며
어느 日曜日
피해야 했던 男性
女聲
시의 素材에 대하여
나의 二十代
어떤 친구에게
西海 바다의 밤
海邊 斷想
≪詩文學≫ 時節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한국수필문학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