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 상세페이지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작품 소개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 빅데이터가 지배하는 시대, 한국 언론학의 나아갈 바를 제안한다
언론학 제반의 연구 환경은 컴퓨터에 기반하는 데이터 활용과 알고리즘 분석을 포섭하며 학제 간 융합 영역으로의 진화하고 있다. 이론과 방법론 양 측면에서 새로운 학문적 도전이 언론학 앞에 놓여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런 변화를 반영해서 언론학 관점에서 그 진로를 모색하고 진단한 학술서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한국언론학회는 데이터 중심 시대에 학제 간 연구를 선도하고 촉진하기 위해 연구기획위원회를 구성해서 이 책을 발간한다. 언론학이 앞으로 추구해야 하는 새로운 학문적 도전과 목표를 담아내고자 하는 미래지향적인 시도다. 동시에 이와 같은 주제에 대해 미디어 관련 학과 및 언론 협업 등에서 참조할 만한 제대로 된 교재가 없는 상황에서 이론과 방법론을 포괄하는 종합적 집필 작업이라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도전이라 할 수 있겠다.


저자 프로필

황용석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1999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
    1995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
    1993년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 경력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2014년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원장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위원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2013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전문위원
    2011년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2009년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2005년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2003년 과학기술부 국가기술지도작성비전위원회 위원
    2003년 한국언론재단 정책연구팀 연구위원

2014.12.0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황용석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방송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온라인 이용자 행동 분석과 온라인 저널리즘, 인터넷 정책 연구다. 주요 저서로 『온라인저널리즘』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Structural change in search engine news service” 등이 있다.

이준웅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다중 매체 이용자 연구, 미디어 정책론 등이다. 주요 저서로 『말과 권력』이 있고, 논문으로는 “Reconsidering ‘virtuous circle’ and ‘media malaise’ theories of the media: An 11 nation study” 등이 있다

손동영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교수다. 텍사스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미디어심리, 소셜네크워크와 집합행동, 시뮬레이션 연구 방법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Collective dynamics of the spiral of silence”, “Anatomy of interaction experience”, “A structural solution to communication dilemmas in a virtual community” 등이 있다.

김상민
서울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강사다.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문화연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뉴미디어 미학, 대중예술, 청년 문화 등이다. 저서로는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데이터 사회의 명암』(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신체, 어펙트, 뉴미디어” 등이 있다.

유경한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조교수다.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정보와 결합된 엔터테인먼트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이며, 저서 『혼종 엔터테인먼트』 등과 논문 “Why do we use different types of websites and assign them different levels of credibility?”(공저), “Participatory, or Deliberative Democracy?”(공저) 등이 있다.

최세정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다.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매스미디어(광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광고와 뉴미디어이며, 현재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 『미디어 경영론』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Predicting selfie-posting behavior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 extens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y we post selfies: Understanding motivations for posting pictures of oneself” 등을 공동 저술하였다.

김익현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 “뉴미디어 텍스트 읽기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프랑코 모레티의 꼼꼼히 읽기와 원거리 읽기 논쟁을 중심으로”를 비롯해 저서 『웹 2.0과 저널리즘 혁명』, 『인터넷신문과 온라인 스토리텔링』 등이 있으며 『비욘드뉴스?? 등을 번역했다.

김대원
카카오 정책지원파트장이다. 고려대학교에서 언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AI와 O2O 등 신기술과 미디어 산업 간의 융합, 디지털 저널리즘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Newspaper companies’ determinants in adopting robot journalism”(공저), “드론 저널리즘의 효과와 문제에 대한 인식 연구”, “O2O 사업모델이 접목된 택시 서비스의 소비자 후생 효과” 등이 있다.

박령주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서강대학교에서 디지털 콘텐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복잡계, 미디어 경제, 인터넷 매개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콘텐츠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집합행동의 발생과 확산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놀이이론 기반의 인터넷 루머의 집합적 확산자에 관한 연구”(공저) 등이 있다.

백영민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부교수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언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정량적 사회과학데이터 분석 기법이다. 저서로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등이 있으며, “Cross-cultural comparison of nonverbal cues in emoticons on Twitter: Evidence from Big Data analysis”(공저), “Cultural Values and Cross-cultural Video Consumption on YouTube” 등의 논문이 있다.

이상엽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조교수다.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미디어와 정보(Media & Information)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온라인 데이터 분석이다. 저서로는 Handbook on the Economics of the Media(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Interpersonal influence on online game choices”, “Homophily and social influence among online casual game players” 등이 있다.

성윤택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다양성팀 전문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매체 전공으로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수용자 연구, 시청률 및 통합 시청 조사이며, 논문 “미디어테크놀로지의 진화 방향”, “What to Read in the Morning?: A Niche Analysis of Free Daily Papers(FDPs) and Paid Papers in Korea”(공저) 등을 저술하였다.

목차

발간사
01 서론: 데이터 시대 컴퓨터 기반 언론학 연구
디지털화, 데이터화, 빅데이터
데이터, 언론학 연구에 어떤 함의를 던지나
이 책의 구성

1부 데이터 시대 이론 지형의 변화 탐색

02 데이터 시대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발전
빅데이터 기반 연구의 동력
빅데이터 기반 연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
빅데이터 기반 연구의 특성: 메타 방법론적 접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발전에 대한 함의

03 변동의 과학: 발생적 커뮤니케이션 과학을 향하여
미래를 조망하는 한 가지 방법
그 많던 양떼는 다 어디로 갔을까
혼돈의 가장자리
카오스의 근원을 찾아서
함수에서 복잡계로
발생적 커뮤니케이션 과학을 향하여

04 데이터와 더불어 데이터로 살아가기: 데이터 사회를 구성하는 믿음과 기술에 대한 비판적 이해
하이퍼리얼 데이터
데이터 사회
데이터화된 세계와 데이터에 대한 믿음
데이터화의 두 방향
데이터 존재로 살아가기

2부 언론학 세부 영역들에서의 접근 방식

05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지평 확대: 컴퓨터와 빅데이터 기반 정치 행동 연구들
빅데이터 시대의 정치 캠페인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상: 새로운 현상 또는 현상을 새롭게 이해하기
이론: 새로운 이론 또는 기존 이론의 정교화
방법론: 혁신과 쟁점들
남은 과제들

06 데이터 기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현재와 연구 과제
들어가며
빅데이터의 개념
빅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활용 연구
나가며

07 데이터 시대 언론 현장의 변화와 언론학 연구의 과제
워터게이트에서 데이터 저널리즘으로
데이터 혁명과 뉴스 생산 · 유통의 변화
데이터의 뉴스화, 뉴스의 데이터화
데이터시대 언론학 현장 연구의 과제

08 알고리듬 기반의 뉴스 콘텐츠 생산과 유통: 그 영향과 연구 과제
들어가며
알고리듬, 학습 그리고 인공지능
추천 서비스
로봇 저널리즘
알고리듬에 따른 뉴스 생산 · 유통 체계의 변화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과제

09 복잡계 이론의 보완적 접근 가능성: 시뮬레이션 모델링과 패턴의 추출
복잡계 이론이라는 새로운 창(窓)
빅데이터의 등장과 복잡계 이론
복잡계 연구 방법과 언론학 연구의 적용
새로운 창을 연다는 것은: 한계와 가능성
3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실제와 응용

10 전통적 내용 분석과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 토픽 모형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과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
토픽 모형
LDA 모형 실습
LDA 모형 적용 선행 연구
토픽 모형의 가능성과 한계

11 파이선을 이용한 온라인 데이터 분석 방법 소개: 텍스트 데이터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온라인 데이터 분석 소개
온라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
결론

12 N스크린 시청 행동과 소프트웨어 기반 행동 측정, 도전과 한계 미디어 이용 행태 변화와 N스크린 시청 행동 조사의 필요성
대안적 시청률 조사
국내 N스크린 시청 행태 측정 현황
디바이스별 시청 기록 측정의 한계 및 개선 방안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