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 상세페이지

종교 불교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

소장종이책 정가28,000
전자책 정가30%19,600
판매가19,600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작품 소개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 붓다의 후신(後身)으로 존숭받은
지공과 나옹

4개의 박사학위를 소지한 조계종 교육아사리 자현 스님이 여말선초 붓다의 후신(後身)으로 존숭받은 지공 선사와 나옹 화상에 대한 시리즈 논문 13편을 엮어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이 책은 지공과 나옹에 대한 입체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 선불교의 원류를 재조명하며 조계종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큰 목적을 갖는다.

『태종실록』 권30에 의하면, 조선 태종 이방원은 불교를 배척했음에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지공과 나옹 이후로, 내가 보고 아는 바로는 한 승려도 도에 정통한 이가 없다(我國自指空 懶翁之後 予所見知者 無一僧精於其道者).” 이는 당시 지공과 나옹의 위상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라고 할 것이다.

지공과 나옹은 현대의 불교의식에서도 빠지지 않고 증명삼화상(證明三和尙: 지공·나옹·무학)으로 모셔진다. 지공과 나옹이 없었다면, 지금의 한국불교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한국 선불교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지공과 나옹에 대한 연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한국 선불교에는 인도불교의 피가 흐른다. 인도의 왕자 출신으로 고려에 머문 지공 선사의 막대한 영향력 때문이다. 그리고 지공의 수제자 나옹은 임제종의 제18대 법손 평산처림의 법맥도 계승한다. 즉 인도의 선과 중국선종을 모두 계승한 것이다. 또 나옹은 현 조계종의 법맥과 관련해서도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법맥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조계종의 시원은 보우가 아닌 나옹으로 뒤바뀔 수 있다는 주장이다.


출판사 서평

인도의 고승 지공,
고려불교를 깨우다

지공은 인도불교가 이슬람의 공격으로 사라진 후, 대승불교의 잔존문화 속에서 출가한 왕자 출신의 승려다. 지공은 1300년 중인도 마가다국의 국왕인 만(滿)과 남인도 향지국의 공주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는 그의 기록에 따르면 부계로는 붓다, 모계로는 달마 대사의 혈통이다. 8세에 인도불교의 3대 사찰 중 한 곳인 나란타사로 출가해, 10여 년간 반야학과 계율을 수학한다. 이후 스리랑카에서 선불교를 수행한 후 티베트를 거쳐서, 차마고도를 따라 운남을 경유해 원의 수도인 대도(현 북경)에 도착한다. 그리고 원나라 제6대 황제인 진종의 어향사(御香使) 신분으로, 1326년 금강산의 법기보살에게 향공양을 올리기 위해 고려를 찾는다.

당시 고려불교는 원 간섭기에 따른 티베트불교의 영향으로 대처승이 절반이나 되는 등 극히 세속화되어 있었다. 지공은 1328년 9월까지의 총 2년 7개월을 머물면서, 하루는 선禪을 설하고 하루는 계戒를 설하며 고려의 풍속을 일신시키고 선불교의 기상을 중흥하게 된다. 지공은 대승불교의 계율관을 가지고 있었던 선승이다. 지공은 대승의 무생계(無生戒)를 통해서 고려불교를 교화하는데, 이는 이후 고려불교의 계율관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공민왕에 의해서 원 간섭기가 끝나는 시기부터 고려불교는 신속하게 청정성을 회복하는 저력을 발휘한다. 즉 지공의 계율 강조가 고려불교의 청정성 회복에 초석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지공이 원의 대도로 돌아간 이후에도, 고려에서 유학 가는 선승들의 다수는 지공을 참배하고 가르침을 받게 된다. 이러한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수제자였던 공민왕의 왕사 나옹과 『직지』로 유명한 백운경한, 그리고 태조 이성계의 왕사인 무학자초와 정지국사 축원지천이다. 지공과 이들 선승들의 노력에 의해서, 고려불교는 티베트불교의 그늘을 벗어나 신속하게 청정성을 회복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지공이 고려불교에 남긴 유산은 실로 엄청나다고 하겠다.

한국 선불교의 완성자, 나옹

나옹은 20세에 친구의 죽음을 계기로 문경 대승사 묘적암의 요연 선사의 문하로 출가한 후, 25세까지 각지를 두루 유력하며 수행하다가 양주 회암사에 이르러 4년간의 장좌불와를 통한 용맹정진 끝에 28세의 나이로 깨달음을 얻게 된다.

나옹은 깨달음을 증득한 직후 원나라로 유학을 떠나, 대도의 법원사에서 지공을 참배하고 문하에서 수학한다. 이후 중국의 불교유적과 선승들을 참례하는 과정에서, 임제종의 18대가 되는 평산처림의 인가를 받게 된다. 그리고 계속 성적순례를 하다가 수도로 되돌아와서 지공에게도 인가를 받는다. 즉 나옹은 인도선과 중국선의 양측에서 모두 인가를 증득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나옹은 한국 선불교의 집대성자인 동시에 완성자라고 이를 만하다.

고려로 돌아온 나옹은 공민왕 말기에 불교계의 중심인물로 대두된다. 공민왕의 불교개혁에 발맞춰 고려불교 최대의 초승과(超僧科)인 공부선(功夫選)을 주도하고, 왕사가 되어 고려불교의 발전과 변혁을 도모한다.

그러나 공민왕이 시해되고 우왕이 옹립되는 과정에서, 나옹 역시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당시 나옹에 대한 탄압 명분은 나옹이 중창[修造]한 회암사에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모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즉 최고 권력자를 위협할 정도로 명성이 높았던 것이 죄목이었던 셈이다. 결국 나옹은 여주 신륵사에서 돌연 열반하게 된다.
열반 이후 무수한 사리가 분신하여 증가하는 등 기이한 이적들이 속출하면서, 나옹에 대한 대대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나옹에 대한 추모열기가 전국을 휘몰아치게 되고, 마침내 조선 초에 이르러서는 붓다의 후신으로까지 평가되며 신성화되기에 이른다.

나옹은 또 한국불교의 승단 안에서도 증명삼화상이라는 신화구조를 통해 오늘날까지 모든 불교의식문(佛敎儀式文)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다. 이 외에도 모든 사찰에서 새벽예불 때 올리는 행선축원(行禪祝願) 역시 나옹의 발원문을 사용한다. 이렇게 놓고 본다면, 나옹은 한국불교에 있어서 지울 수도 지워지지도 않는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그렇게 한국불교는 오늘도 나옹과 함께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조계종과 한국선의 원류를 찾아서

흔히 현대의 조계종을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확립된 구산선문(九山禪門)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선종은 스승과 제자의 상전(相傳), 즉 법맥을 통해서 계승되는 불교다. 그러나 원 간섭기를 거치면서 고려 선종의 전승, 즉 법등은 완전히 단절되고 만다. 이 단절된 법맥과 법등을 원나라의 임제종으로 유학해서 다시금 이어오는 인물이, 바로 나옹과 보우 같은 유학승들이었다. 즉 현대의 조계종은 이들에 의해서 고려 말에 새롭게 재점화된 선종인 셈이다.

사실 현대 조계종의 열쇠를 쥐고 있는 인물은 나옹이나 보우가 아닌 보각국사 혼수다. 고려 말 다수의 승려들이 원나라로 인가(印可)유학을 떠났지만, 현재까지 계승되는 법맥은 혼수의 것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즉 ‘혼수가 과연 누구의 제자이냐?’ 하는 것이 문제의 관건인 셈이다.

나옹에게는 대표제자로 자초가 있고 보우에게는 찬영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혼수는 나옹과 보우 모두에게 가르침을 받은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여기에는 ‘나옹과 보우 중 누구를 더 중시할 것이냐?’에 대한 판단문제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 중기부터 혼수를 보우와 연결시키는 것이 일반화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하여 현대의 조계종은 보우를 시원으로 하는 가르침이 되고 만다.

그러나 혼수는 1360년 나옹이 오대산의 고운암에 주석할 때 가르침[入室]을 받은 인물이다. 또 10년 후인 1370년에는 공민왕이 발의하고 나옹이 주관한 공부선의 유일한 합격자가 된다. 사실 이후 혼수가 명성을 떨치며 국사에 오르게 되는 것은 이 공부선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이런 점에서 혼수는 보우가 아닌 나옹의 주된 사법제자(嗣法弟子, 스승의 법을 계승하는 제자)였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이렇게 된다면, 현대의 조계종은 보우가 아닌 나옹을 조정(祖庭)으로 하는 상황이 된다. 즉 나옹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혼수와의 관계 속에는 현대의 조계종을 넘어서, 한국선의 원류에 대한 모색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저자 프로필

자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수료)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 석사
    동국대학교 철학, 미술사학 석사
    동국대학교 철학, 불교학
  • 경력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대한불교조계종 월정사 교무국장
    울산 영평선원 원장
    월정사 부산포교원 원장

2015.01.0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자현 스님

동국대학교 철학과와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또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율장)와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건축) 그리고 고려대학교 철학과(선불교)와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한국 고대사)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의전담교수와 능인대학원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월정사 교무국장, 조계종 교육아사리, 불교신문 논설위원, 울산 영평선원 원장, 월정사 부산포교원 원장 등을 맡고 있다. 학진 등재지에 120여 편의 논문을 수록했으며, 『불교미술사상사론』(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찰의 상징세계』(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붓다순례』(세종도서 교양 부문) 『스님의 비밀』등 30여 권의 저서를 발간했다.

목차

서문
1장. 지공(指空)의 가계(家系) 주장에 대한 검토
2장. 지공의 나란다(N?land?) 진술에 대한 타당성과 문제점
3장. 지공의 교(敎)·선(禪) 수학(修學) 주장에 대한 검토와 문제점
4장. 지공의 계율의식과 무생계(無生戒)에 대한 고찰
5장. 지공의 계율관과 티베트불교와의 충돌양상 고찰
6장. 나옹의 부침(浮沈)과 관련된 지공의 영향
7장. 나옹 출가의 문제의식과 그 해법
8장. 고려 말 공부선(功夫選)의 시행과 의미 고찰
9장. 나옹삼구(懶翁三句)의 선사상 고찰
10장. 공부십절목(功夫十節目)의 선사상 고찰
11장. 나옹삼관의 선사상 고찰
12장. 회암사 수조(修造) 명분의 변화와 종교적 해법의 유사구조
13장. 나옹의 붓다화에 대한 고찰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