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식탁 위의 논어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인문

식탁 위의 논어

춘추시대 공자와 제자들이 현대의 식탁으로 찾아왔다!
소장종이책 정가14,800
전자책 정가40%8,880
판매가8,880
식탁 위의 논어 표지 이미지

식탁 위의 논어작품 소개

<식탁 위의 논어> 『논어』는 어떻게 식탁에 오르게 되었는가

송용준 교수와 가족들의 ‘논어’ 공부를 팟캐스트를 통해 일반에 공개하여 화제를 모았던 팟캐스트 [식탁 위의 논어]가 책으로 묶여 나왔다. 지난 봄 팟캐스트 인문학 분야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던 [식탁 위의 논어]의 탄생 배경은 소박했다. 장성한 두 딸과 일주일에 한번 얼굴을 보기도 힘든 처지에서 그래도 일요일 한 끼는 함께 밥을 먹으며 논어 공부를 하기로 한 것이 출발점이었다. 그런데 둘째 딸이 평소 회사에서 중요한 미팅을 녹음해 다시 들어보던 습관대로 녹음을 해 두었는데, 들어보니 너무 재미있었다.

“백성 자가 남자 노예의 눈을 외눈박이로 만들던 전통을 반영하는 상형문자였다니, 의 자리에 있는 ‘재상 가장 믿음이 가는 사람에게 부엌의 요리와 잠자리를 지키는 자리를 맡겼던 노예라는 것에서 비롯되었다니, 신선하지 않은가. 이런 강의를 우리 가족만 듣기는 아깝다는 생각에 스무 명 정도라도 함께 들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팟캐스트 방송을 시작하게 되었다.”
(가족 후기 중에서)

송용준 교수와 가족들의 논어 강독은 2,500년 전의 공자가 제자들과 공부를 할 때 사용하던 ‘대화와 토론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는 듯하다. 전반적인 교안과 진행은 아버지인 송용준 교수가 맡고 있지만, 어머니의 재치있는 지적과 젊은 두 딸이 덧붙이는 현대적 해석 및 질문은 듣는 이의 흥미를 더욱 불러일으킨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강조한 ‘예’는 사실 ‘실무교육’이라 할 수 있다는 송용준 교수의 말에 두 딸은 ‘결국 공무원 고시 패스를 위한 스펙 쌓기였구나!’라고 답하기도 하고, 공자가 단순한 실무교육에만 치중하지 않고 인문교육을 병행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추앙받을 수 있었다는 내용에는 어머니가 ‘요새 대학이 나아가야 할 길’이라며 시사점을 찾아낸다. 이렇게 온 가족이 참여한 ‘식탁 위의 논어’는 젊은 세대에서 기성세대까지 모두가 교감하며 즐길 수 있는 따뜻하고 깊이 있는 강의로 거듭나게 되었다.
책으로 발간된 『식탁 위의 논어』는 기본적으로 팟캐스트와는 매체의 차별화를 꾀해 강의의 핵심을 추려 정확하고 완결성 있는 『논어』의 한글 주해와 해설을 담았다. 그동안 팟캐스트 강의를 들으며 원문을 일일이 찾아보기 힘들어 아쉬워하던 청취자들에게는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고, 처음 책을 접하는 이들에게는 생생한 『논어』를 접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스마트한 고전, 국내 최초 팟캐스트 매치북!

그간 중국 고전의 번역에 상당한 업적을 쌓아온 송용준 교수는 금번 논어 번역에서도 단지 흥미로운 논어 해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논어"에 대한 충실한 번역과 해설을 부기했다. 그리하여 번역과 그 이면의 의미를 알 수 있게끔 했다.

“『논어』는 대체로 공자가 제자들과 대화를 나누며 한 말을 제자들이 그때그때 기록해둔 것이어서 앞뒤로 생략된 것이 많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는 『논어』의 단편적인 기록들을 읽으며 공자와 제자들의 대화 장면을 나름대로 재구성해보아야 한다. 이것은 매우 어렵고 불가능에 가까운 작업임에 틀림없지만 재구성해본 다음에 공자가 만약 그 당시의 한어가 아니라 현대 한국어로 말을 한다면 어떻게 말했을까를 염두에 두고 번역을 해야 오늘날의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이 될 것이다. 모험이 뒤따르는 작업이지만 역자는 그렇게 번역하려고 노력했다.”(머리말에서)

무엇보다도 다른 책들과 뚜렷이 구분되는 이 책의 특성은 오디오 강의와 연계한 ‘팟캐스트 매치북’ 이라는 점에 있을 것이다. 『식탁 위의 논어』각 편에는 오디오 강의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를 삽입하여 귀로 듣고 눈으로 읽는 원격 독서가 가능하도록 했다. 스마트폰으로 저자의 강의를 들으며 흥미와 의문점을 품은 후에 책을 통해 정리를 해도 되고, 책을 먼저 접하고 나서 강의를 들으며 현대적인 해석과 시사점을 고민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지금 왜 공자인가?

‘춘추시대’라는 명칭은 공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노나라의 역사책인 『춘추』가 기원전 722년부터 481년까지를 기록하고 있는데, 그 시기가 춘추시대와 거의 같아서 붙여진 것이다. 춘추시대에 이르러 각국의 제후들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유능한 관료의 등용이 절실해졌다. 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이상사회의 재건에 힘쓸 관료를 양성할 목적으로 인재의 교육에 임한 사람이 공자이다.

공자의 언행록인 『논어』는 그의 진면목을 담고 있는 책임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따라 해석과 평가가 달라지곤 한다. 위정자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공자의 사상이 이용되면서 공자가 권력자 편에 서서 민중을 억압한 것으로 오해를 사기도 했다. 그리하여 중화민국(1912-1949) 초기에 북경대학을 중심으로 사상혁명이 일어났을 때 진독수, 호적 등이 유교 타도를 부르짖게 되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는 공자를 배척하는 ‘비림비공’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공자의 가르침이 구체제를 유지하는 반사회적 교리라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나 최근 공자를 대하는 중국의 태도는 사뭇 다르다. 사회가 나름대로 안정기에 접어들자 공자에 대한 재평가가 활기를 띠기 시작한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북경사범대학 교수인 우단의 저서 『논어심득』이 중국에서 600만부가 넘게 팔리며 베스트셀러에 오른 바 있다. 우단은 이 책을 통해 현대사회에 만연한 파편화된 인간관계의 회복을 강조했고, 공자의 가르침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맞아떨어지는 고전으로 새롭게 부활하였다.

인과 예를 중시하고 타인의 관점이 되어 배려하는 삶을 강조한 공자. 어지러운 춘추시대를 안정시키고자 정치에 뜻을 두었음에도, 방랑을 거듭한 끝에 노나라로 돌아와야만 했던 그는 시대를 잘못 만나 뜻을 이루지 못한 실패자인 것 같다. 실패한 출사였음에도 돌아와 좌절하지 않고 여생의 대부분을 교육과 고대 문헌 정리에 힘을 쏟아 자신이 가르친 제자들뿐만 아니라 중국과 전 인류사회에 거대한 족적을 남겼다. 『논어』의 「위정편」 4장에서 공자는 50세가 되었을 때 ‘지천명’을 깨달았다고 했다. 스스로가 아무리 노력해도 이룰 수 없는 일이 있으며, 그것이 하늘의 힘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하지만 공자에게 이러한 깨달음은 운명에 대한 굴복이 아니었다. 세속적인 성공과 실패를 떠나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야말로 공자가 강조한 삶의 태도였다.

송용준 교수는『논어』를 지배 이데올로기에 물들어 있는 상태로 읽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타임머신을 타고 공자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직접 공자와 대면할 각오로 "논어"와 마주해야 한다고 한다. 실현 불가능한 상상임에 틀림없지만 적어도 그런 희망을 갖고 이 명저를 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면서 세계가 파편화된 지금, 탈근대의 전망을 선취하기 위해서라도 "논어"는 적극적으로 읽혀져야 할 것이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저자 - 공자
공자(孔子)는 춘추시대 말기인 B.C.551년, 현재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 지방인 노(魯)나라의 작은 마을인 추읍( 邑)에서 태어났다. 이 때는 인도의 석가모니가 태어난지 10여년 뒤이고, 소크라테스가 태어나기 얼마 전 시기에 해당한다. 공자는 은(殷)나라 왕족의 몰락한 후예의 집안에서 출생했다고 전해지는데, 그의 아버지는 급무사였던 숙량흘(叔梁紇)이었고,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훨씬 나이가 어린 안징재(顔徵在)였다. 아버지는 제(齊)나라와의 싸움에서 군공(軍功)을 세운 부장(部將)이었다. 공자의 어머니 안징재는 이구산(尼丘山)에 남몰래 치성을 드려 공자를 낳았고 공자의 머리가 움푹 들어갔기 때문에 공자의 이름을 구(丘), 자를 중니()라고 하였다고 한다. 공자가 태어날 때 그의 집안은 불우하였고 세 살 때에 아버지를 여의었기 때문에 매우 가난하고 외롭게 자랐다. 아버지가 돌아갔을 때 장례식마저 제대로 치르지 못할 정도였던 모양이다. 당시 공자의 집안은 몰락하여 겨우 벼슬을 할 수 있는 계급인 사(士)에 속해 있었다. 사계급은 위로는 귀족과 대부, 아래로는 서민의 중간에 있어서 벼슬살이를 하지 않으면 매우 가난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존재였다.
공자 나이 24살 되던 기원전 528년에 공자의 어머니는 40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어머니를 방(防) 땅에 아버지와 합장하여 묻고 삼년상을 지낸 뒤 또 2, 3년 지나서야 다시 배우고 가르치는 일을 계속했다. 공자가 꿈꾸던 세상은 예(禮)와 덕(德)과 문(文)이 지배하는 사회였다. 그래서 공자는 그러한 이상을 실현한 주(周)나라를 동경하였고, 그 반대로 당시의 권세 있는 대부(大夫)들이 제후(諸侯)들을 무시하고 권력을 농단하던 사태를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다. 노나라의 창시자로 주왕조(周王朝) 건국의 공신이기도 했던 주공(周公)을 흠모하여 그 전통적 문화습득에 노력하게 된 공자가 정치에 관여하게 된 것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공자가 살던 당시 춘추시대에는 국가간이나 나라안이나 간에 약육강식의 힘의 논리가 횡행하여 온갖 명목의 전쟁과 난리가 연이어 일어나 민중들은 피폐할 대로 피폐해지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인(仁)의 실천, 곧 백성을 사랑하는 것을 자기의 임무로 생각했던 공자로서는 그러한 현실을 목도하고서도 책이나 읽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만매달려 있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그는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다. 당시의 정치가들에게 자기의 덕치주의(德治主義)를 설파하기 위해 수레를 타고 여러 나라를 주유하기도 하였고, 직접 벼슬을 맡아서 자기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노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실정치의 벽은 그의 꿈을 실현하기엔 너무나 두터웠고, 많은 좌절과 오해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합리적인 도덕정치철학은 시대를 넘어 후대에 계승되어 한(漢)나라에서 국정이념으로 채택된 이래 동양의 역사상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렇게 위대한 교육자와 뛰어난 정치철학자로서의 일생을 보낸 공자도 인간적으로는 매우 불행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것 같이 어려서 어버이를 여의었을 뿐만 아니라 자기의 아들 리(鯉)와 가장 아끼던 제자 안연(顔淵)을 먼저 보내는 슬픔을 겪었으며, 여러 나라를 떠도는 가운데 양식이 떨어지기도 하고 테러의 위협을 받기도 하였다. 그래서 노년에는 이런 모든 것을 잊고 『시경(詩經)』, 『서경(書經)』 , 『춘추(春秋)』같은 책을 엮고 『역경(易經)』에 재미를 붙여 책을 묶은 끈이 세 번이나 떨어질 정도로 공부하는 한편, 고향의 이상이 큰 젊은이들을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다가 기원전 479년 7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공자는 위정자는 덕이 있어야 하며 도덕과 예의에 의한 교화가 가장 이상적인 지배방법이라고 생각하였고, 그 사상의 중심을 인(仁)에 두었다. 최고의 덕을 인으로 본 공자는, 인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의 대표작품인 『논어』는 유가(儒家)의 성전(聖典)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공자의 사상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책이다.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이기도 하다. 공자의 혼잣말을 기록해 놓은 것과 제자의 물음에 공자가 대답한 것, 제자들끼리 나눈 이야기, 당대의 정치가들이나 평범한 마을사람들과 나눈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책의 제목이 『논어』가 되었다고 한다.

편자 - 송용준
가족들과의 논어 공부를 팟캐스트를 통해 일반에게 공개해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송용준은 1952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중어중문학과에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군사관학교 중국어교관,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과 중국사회과학원 등에서 연구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장과 HK문명연구사업단장을 맡고 있다. 송시사(宋詩史)](공저), [송시선(宋詩選)](공편), [중국시율학(中國詩律學)], [소순흠시역주(蘇舜欽詩譯註)], [구북시화역해( 北詩話譯解)], [도연명시선(陶淵明詩選)], [진자앙시선(陳子昻詩選)], [고계시선(高啓詩選)], [진관사연구(秦觀詞硏究)], [당송사사(唐宋詞史)](공역), [유영사선(柳永詞選)], [도화선(桃花扇)](공역), [중국어어법발전사](공역), [현대중국어문법의 제문제]등의 저역서와 "당시형성과정연구", "송시형성과정연구", "북송사론연구", "이색(李穡)시의 송시 수용과 그 극복"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머리말 [논어]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논어]를 읽기 전에 공자의 [논어], 왜 고전인가?

1. 학이편(學而篇)
너무도 당연한 가르침, 예(禮) / 배움을 청하는 귀한 손님, 붕(朋) / 각양각색, 군자(君子)의 의미 / 공자의 ‘인(仁)’이 가리키는 숨은 뜻 / 영주제의 기반, 효제(孝悌) 사상
의문에 싸인 “현현이색(賢賢易色)”의 의미 / 법(法)보다 효(孝), 가부장제 확립의 의지
동전의 양면, 예(禮)와 화(和) / ‘절차탁마(切磋琢磨)’의 진정한 뜻

2. 위정편(爲政篇)
북극성, 덕망 있는 군주의 상징 /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힘을 아는 분투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아는 앎

3. 팔일편(八佾篇)
군주 없는 중원을 근심하다 / 태산의 제례는 가볍지 않다 / 천하가 놓인 손바닥의 암시
왕손가의 속담을 물리친 공자 / 예를 물을 줄 아는 예 / “사부주피(射不主皮)”의 뜻
인신공양을 요구하는 무서운 토지신, 사(社)

4. 이인편(里仁篇)
인심 좋은 마을을 택하는 지혜 / 춘추시대 관용적 표현의 한 단면
백성을 떠나게 하는 정치 / 모호한 소인(小人)의 의미 / 부모의 곁을 지키는 도리

5. 공야장편(公冶長篇)
딸과 질녀, 서로 다른 사위의 조건 / “모른다”는 말의 속뜻
공자의 총애를 나타내는 “무소취재(無所取材)” / 공자의 제자 추천 전략
잠이 오면 잠을 자는 재여 / 내가 남이 될 수 있는가? / [논어]에 쓰인 성(性)의 뜻
자로의 걱정 / 공자의 맞춤형 교육 / 공자가 본 백이와 숙제
미생고(尾生高)의 ‘직(直)’에 대한 새로운 해석

6. 옹야편(雍也篇)
안회의 불천노(不遷怒) / 출신과 배경을 초월한 염옹
공자의 제자 사랑 / 송조의 아름다움이 불행을 가져온다?
아는 것, 좋아하는 것, 즐기는 것 / 인자(仁者)의 수명 / 노나라에 개혁이 이루어지면?
명실상부(名實相符)의 중요성

7. 술이편(述而篇)
“술이부작(述而不作)”, 공자의 신념 / 계발(啓發)의 주체는 누구인가?
제자를 훈도하는 공자의 독특한 방식 / 자공의 유도심문
[역경]은 언제 유가의 경전이 되었을까? / 교양 있는 춘추시대 사람들이 두루 쓰던 말
공자에게 스승이 있었을까? / 자로의 꼼수

8. 태백편(泰伯篇)
천하를 양보한 태백(泰伯) / 악(樂), 인격의 최종 단계
공자는 왜 우임금에 대한 평가에 소극적이었을까?

9. 자한편(子罕篇)
공자가 이(利)를 말하는 방식 / 공자가 마부를 택한 이유
공자의 호언장담 / 유가와 장례식 / ‘묘(苗)’와 ‘수(秀)’와 ‘실(實)’의 관계
겨울이 되어야 알 수 있는 것 / 근심은 어디서 오는가?
그리운 그대는 멀리 있지 않다

10. 향당편(鄕黨篇)
공자가 식사 때 침묵한 이유 / 자리에 앉을 때의 법도
사람과 말에 대한 공자의 태도 / 불사가행(不俟駕行), 신속히 부름에 응하다
공자의 암시적 교육 방법

11. 선진편(先進篇)
‘불급문(不及門)’에 대한 해석 / 공자의 안회(顔回) 사랑
질녀의 배우자감, 남용(南容) / 공자는 왜 안회를 자식처럼 대하지 못했다고 했을까?
공자에게 ‘섬김’이란 무슨 의미였을까? / 자로를 위한 공자의 변명
공자는 왜 증삼을 아둔하다고 했을까? / 공자의 제자 배려
공자가 “말 잘하는 사람이 싫다”고 말한 이유

12. 안연편(顔淵篇)
공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에 숨은 뜻 / 신뢰, 국가 존립의 근거
자로의 결단과 실천

13. 자로편(子路篇)
인재를 알아보는 눈 / 위정자는 다만 덕을 쌓을 뿐 / 교육, 사회의 초석
도둑질을 한 아비도 아비다

14. 헌문편(憲問篇)
덕(德)의 함의 / 어떤 사람이 결국 천하를 얻었을까?
신중을 기한 외교문서 작성 / 가신의 그릇과 대부의 그릇
대부 장손흘의 요구는 정당한 것인가? / 관중에 대한 공자의 평가 / 명분을 위한 청
신뢰하되, 맹신은 말라 / 천리마의 덕(德)은 혈통에서 오지 않는다
[논어]에 엿보이는 도가사상 / 뜻이 좌절된 공자의 탄식
깊은 강을 건널 때는 옷을 벗고

15. 위영공편(衛靈公篇)
전쟁을 묻는 위나라를 떠나다 / 하나의 참된 이치로 세상을 꿰뚫다, 일이관지(一以貫之)
‘유(由)’와 ‘유야(由也)’의 차이 / 시대와 함께 성장한 [논어]
실인(失人)도 말고 실언(失言)도 말라 / 후세에 부끄럼 없는 삶
군이부당(群而不黨), 어우러지되 엉기지 않는다 / 평생을 두고 남의 입장을 헤아리다
배움과 사색 / 모두에게 열린 가르침

16. 계씨편(季氏篇)
공자가 본 천하의 흥망성쇠 / 물러날 때를 모르는 노욕

17. 양화편(陽貨篇)
‘흥(興), 관(觀), 군(群), 원(怨)’에 대한 풀이 / [시경]의 효용
예(禮)와 악(樂)의 본질 / 옛사람을 거론해 현시대를 비판하다
가르침을 거절하는 가르침 / 청개구리 제자, 재아
공자가 칭한 ‘여자(女子)’와 ‘소인(小人)’의 뜻

18. 미자편(微子篇)
공자의 출사(出仕)와 대우

19. 자장편(子張篇)
자하와 자장의 견해는 과연 달랐는가? / 규범에 대한 집착을 경계하다
격식과 근본 / 학문은 출사(出仕)의 유력한 무기
자장에 대한 증자의 평가 / 겉잡을 수 없는 악평의 파급효과

20. 요왈편(堯曰篇)

가족 후기 [논어] 공부를 마치며
찾아보기


리뷰

구매자 별점

3.5

점수비율
  • 5
  • 4
  • 3
  • 2
  • 1

2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