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훈의 시대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정치/사회

훈의 시대

우리의 몸을 지배해 온 시대의 언어들
소장종이책 정가15,000
전자책 정가30%10,500
판매가10,500

훈의 시대작품 소개

<훈의 시대>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대리사회> 작가의 신작
학교, 회사, 아파트에서 욕망을 마주하다

1990년대 이전에 학창시절을 보냈던 세대라면 애국조회를 선명하게 기억할 것이다. 매주 월요일이면 전교생이 운동장에 모여 ‘국기에 대한 맹세’를 하고, 교장 선생님의 ‘훈화’를 들은 뒤 ‘교가’를 부르고, ‘교훈’과 ‘급훈’이 칠판 옆 높은 곳에 내걸린 교실로 들어가곤 했다. 그때 학교에서 익힌 것은 국영수 같은 교과 지식뿐만이 아니었다. 온갖 형식의 ‘가르침’, 요란한 구호, 기념일 노래 등을 영혼 없이 부르고 외치면서 부지불식중에 그것에 내포된 은밀한 함의에 젖어들곤 했다. 이러한 무감각한 의례는 학교를 졸업한 뒤에도 끝나지 않고 군대는 물론 회사 등 사회에 진출해서도 계속 이어진다. 이 과정을 거치며 개인은 점차 비판적인 사유 없이 온갖 ‘가르침의 말씀’을 받아들일 만큼 수동적인 인간으로 변한다.
전작《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대리사회》등으로 출판계의 주목을 받았던 김민섭 작가는 와이즈베리 신작《훈의 시대》에서 이러한 ‘가르침의 말씀’에 조요경(照妖鏡, 《서유기》에서 요괴가 아무리 변신을 해도 본모습이 드러나게 하는 거울)을 들이댔다. 작가에게 ‘가르침의 말씀’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해서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지만 어두운 곳에 숨어 개인이 주체로 서는 것을 방해하는 ‘괴물’이다. 이 괴물은 “개인을 시대에 영속시키는 동시에 끊임없이 지워왔으며 특히 사유의 범위를 그 함의의 테두리에 가두고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작가는 이 괴물을 ‘규정된 언어’라고 정의하면서 ‘훈訓’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훈’이라는 말은 우리가 흔히 받아들이듯이 ‘가르침’의 의미다. 가정(가훈), 학교(교훈), 군대(훈련), 회사(사훈), 국가(훈령)에 이르기까지, 주로 누군가를 가르치거나, 아니면 위계적으로 강요하는 ‘계몽의 언어’인 동시에 ‘자기계발의 언어’로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 존재한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훈’은 한 개인이 가정, 학교, 회사 등 생애주기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모든 공간의 언어로 전달된다. 따라서 훈이란 시대가 개인에게 품은 ‘욕망’이다. 일상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강요되는 훈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으며, 한 개인의 몸을 만드는 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본다면 훈은 결국 한 인간의 격格을 결정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뒤틀린 훈, 기괴한 훈, 법보다 가까운 훈

저자는 사회적 기제로서 ‘훈’이 작동하는 형태를 개인의 성장 과정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눈다. 첫째는 학교의 훈, 둘째는 회사의 훈, 셋째는 개인의 훈이다.

학교의 훈은 교훈이나 훈화, 훈시, 급훈, 교가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201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남녀 고등학교에서 높은 빈도로 권장된 훈은, 여고에서는 ‘순결’, ‘정숙’, ‘예절’, ‘배려’, ‘사랑’, ‘겸손’ 등이고, 남고는 ‘단결’, ‘용기’, ‘개척’, ‘책임’, ‘명예’, ‘열정’ 등이다. 여고의 교훈이 정적이고 과거 지향적이라면, 남고의 것은 역동적이고 미래 지향적이다. 이처럼 근대인을 대량생산해 왔던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모든 남자와 여자는 훈을 통해 저마다의 역할과 기대치를 암묵적으로 부여받아 왔다. 그러나 ‘참된 일꾼, 착한 딸, 어진 어머니’라는 교훈을 바꾸려다가 ‘전통’을 지켜야 한다는 일부 동문의 거센 반대로 실패한 원주여고의 사례에서 보듯이 개인이 자신을 둘러싼 언어를 전복하는 일은 쉽지 않다. 저자는 이 대목에서 자신이 없다고 고백하면서도, 교훈을 바꾸려 했던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언젠가 사회에 진출해 자신을 둘러싼 언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주체로서 살아가기를 기대한다.

우리가 회사에서 마주하는 훈은 기괴하다. “남들보다 두 배 더 열심히 일하고”, “남들보다 두 배 더 빨리 출근한다”는 식의 지킬 수 없는 공허한 외침이며, 제대로 기억하는 사람도 별로 없다. 기억한다고 해도 그저 경영진이 바뀔 때마다 취향이나 경영방침에 따라 바뀌는, TV 속 광고의 이미지처럼 존재할 뿐이다. 그럼에도 회사의 훈은 때론 ‘헌법’적 지위를 얻기도 한다. 저자는 회사의 훈이 “대한민국의 헌법보다도 가까운 일상의 헌법”이며, “개인에게 국가보다 큰 권력을 가진 실체로 존재하는 공간에서 법보다 가까운 법”이라고 말한다. 사훈은 눈에 보이는 공간은 물론 소속 임직원의 머릿속 그 어디에도 없지만, 그 어디에나 존재한다.

학교나 회사보다 훈이 더욱 직접적이고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곳은 평범한 개인의 의지가 그대로 반영된 개인의 일상 공간이다.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줍니다”라는 아파트 광고처럼, 개인이 바라보는 시선의 끝, 일상화된 공간에 저마다의 특별한 훈을 전시하고 싶어 한다. 따라서 개인의 훈만큼 욕망을 착실하게 드러내는 것도 없다. 이 욕망은 거리에, 하나의 블록에, 거주 공간에, 작은 방에, 책꽂이, SNS에서 발견된다.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실 훈은 개인의 훈 말고는 구체적으로 기억하는 경우가 드물다. 출신 학교의 교훈이나 사훈을 제대로 기억하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 하지만 훈은 그저 공허하고 추상적인 구호에 그치거나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별것 아닌 존재가 아니라 그 시대를 관통하며 구성원을 규정하고 통제한다. ‘순결’, ‘정숙’, ‘착한 딸’, ‘학도’, ‘건아’, ‘건설’, ‘우리는 남들보다 두 배 더 열심히 일한다.’ 식의 언어들이 학교에, 회사에, 개인의 일상 공간에 아직도 익숙한 방식으로 아로새겨져 있다. 우리는 훈을 잘 의식하지 못하지만, 훈은 우리를 잘 알고 있다. 이런 훈을 전복시키지 못한다면 우리를 규정하는 언어에 노골적으로 잠재해 있는 욕망에 잡아먹히고 ‘대리인간’에서 벗어나 주체의 삶을 살아가는 새로운 시대를 맞을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액체처럼 우리를 감싸고 있는 훈’을 어떻게 걷어내고 뒤집을 수 있을까? 교훈을 바꾸려다가 실패한 학교 사례에서 보듯이, 전통이라는 탈을 쓰고 여전히 우리를 옥죄는 훈의 감옥에서 탈출하기란 정말 버거운 일이 아닐까?

“이것들을 이제 폐기하고 스스로의 훈을 만들 필요가 있다. 새로운 시대의 논리가 다시 우리를 잠식하기 이전에 주변의 훈을 바꿔나가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

작가는 야만적이고 낡은 훈을 폐기하고 새로운 훈을 만드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다. 그 희망은 막연한 기대나 선언에서 끝나지 않고 실제로 시도를 한다. 작가는 SNS에서 화제가 된 ‘김민섭 찾기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경험을 담아 조심스럽게 자신의 훈을 제시한다.

“당신이 잘되면 좋겠습니다.”

이 훈은 아무에게도 강요하지 않고, 아무에게도 상처 주지 않으며, 아무에게도 무겁지 않다. 낮고 따스하고 부드러운 음성의 이 훈은 우리 사회에서 계속 대학원생, 시간강사, 대리기사 같은 철저하게 을로 살아온 작가가 우리 시대에 내놓은 작은 ‘제안’이며, 이 책을 쓰게 된 동기이기도 하다.

작가는 ‘훈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마지막으로 이렇게 당부한다.
“끊임없이 의심하고 불편해하고 물음표를 가져야 한다. (...) 큰 용기를 내거나 무언가를 포기해야 한다는 부담감 없이 ‘한번 바꿔볼까?’ 하는 말 한마디로 변화를 추동해낼 수 있다. (...) 이것은 대학생도, 회사원도, 한집안의 부모들도 모두 할 수 있는 일이다.”


저자 프로필

김민섭

  • 출생 1983년
  • 학력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인문학부
  • 경력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시간강사

2017.02.22.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 저자: 김민섭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309동1201호라는 가명으로《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를 썼고, 그 이후 대학에서 나와서 ‘김민섭’이라는 본명으로 이 사회를 거대한 타인의 운전석으로 규정한 《대리사회》를 썼다. 저자는 대학에서 교수도 아니고 학생도 아닌, 어느 중간에 위치한 경계인이었다. 그는 그러한 중심부와 주변부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들에게 보이는 어느 균열이 있다고 믿는다. 그 시선을 유지하면서 작가이자 경계인으로서 개인과 사회와 시대에 대한 물음표를 당신에게 건네려고 한다. 가볍지만 무거운, 그러나 무겁지만 가벼운 김민섭이라는 하나의 장르가 되고 싶어 한다.
기타 저서로는《아무튼, 망원동》,《고백, 손짓, 연결》 등이 있다.

목차

추천의 말

프롤로그 : 이 글은 한 개인의 ‘제안’이다

1부 욕망의 언어, ‘훈’에 대하여
훈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액체화된 근대, 대리인간이 된 개인들

2부 학교의 훈
참된 일꾼, 착한 딸, 어진 어머니
‘여학교’라는 이름의 훈
순결캔디와 겨레의 밭
공부하는 몸이 될 수 없는 존재들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애국조회와 교‘장’의 욕망들
훈을 바꾸는 어려움 : 원주여고의 사례
훈을 바꾼 학생들 : 강화여고의 사례

3부 회사의 훈
우선, 대기업이란 무엇인가
‘헌법’이 된 사훈
고객의 만족, 그리고 도전적인 회사원
창업주의 훈을 책임지는 ‘을’들
나쁜 훈, 이상한 훈, 우아한 훈

4부 개인의 훈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을 증명합니다.
폐쇄, 단절, 통제로서의 고급화
우리는 입주민을 위해 일한다
CCTV에 갇힌 건물주들
집결되는 욕망들, 기업도시와 박사마을
15,000원의 오늘의 훈
당신이 잘 되면 좋겠습니다

에필로그 -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리뷰

구매자 별점

4.6

점수비율
  • 5
  • 4
  • 3
  • 2
  • 1

9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