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국사를 바로 쓴 역사서 (민족주의 사관) 상세페이지

한국사를 바로 쓴 역사서 (민족주의 사관)작품 소개

<한국사를 바로 쓴 역사서 (민족주의 사관)> 한국사를 바로 쓴 역사서 (민족주의 사관)

1. <신채호> 한국사를 다시 쓴 역사서
* 조선사연구초
* 조선상고사
* 독사신론
* 최도통전

2. <최남선> 한국사를 다시 쓴 역사서
* 계고차존
* 단군론

3. <김동인> 한국사를 다시 쓴 역사서
- 조선사온고

* 부록 : 역사서 및 논설
- 민족개조론 : 이광수
- 조선혁명선언 : 신채호
- 조선역사상 천년 제일대사건 : 신채호

민족사학(民族史學)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일제강점기 한민족의 우수성과 자율 주체적인 발전을 강조하고 민족사의 기원을 밝힌 국사학의 한 이념을 말한다. 역사관으로서의 성격과 함께 재야사학과 연결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근대적인 국민(nation) 개념에 입각한 역사관으로 단재 신채호 이래 독립운동기의 학자들과 20세기 중반 군사정권의 조국근대화 시기에 국민만들기(nation-building)에 동원된 학자들로 양분할 수 있다.

한국사를 태생에서부터 고대 중국의 식민지배에서 출발했다는 관점에 보는 식민사학을 일제가 강조하였을때, 민족사학자들이 내세운 사학으로, 그 바탕은 실학자에게서부터 시작한다.

초기의 민족사학은 위대한 왕과 용맹한 장수 등의 영웅으로 역사가 발전하였다는 전근대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었으나, 사학자 박은식의 근대 이후 일제의 침략과정을 서술한 《한국통사》와 독립운동 사서인 《한국독립운동지혈사》으로써 민족사학을 정립하였다.

독립운동을 직접 전개하기도 하였던 신채호는 《조선사연구초》, 《조선상고사》등을 펴냄으로써 '고구려를 비롯한 고대국가에는 민족적 패기가 있었으나 중세로 오면서 사대주의가 깊어졌다'고 하는 혁명적 역사관을 내세웠다. 신채호는 묘청의 서경 천도운동을 '조선역사 1천년래 제1대사건'이라 평가하였다.

박은식, 신채호를 통해 정립된 민족사학은 정인보, 장도빈, 안재홍, 문일평 등에 의해 계승되어 식민사관에 맞섰다. <출처 및 인용: 위키백과>


저자 프로필

신채호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880년 11월 7일 - 1936년 2월 21일
  • 경력 무정부주의동방연맹
    1926년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
    1919년 대한독립청년단 단장
  • 수상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2014.11.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 저자 : 신채호, 최남선, 김동인 외 1명

* 작가 : 신채호
독립 운동가이자, 언론인, 역사학자, 소설가이다.

호는 단재(丹齋), 일편단생(一片丹生), 단생(丹生)이다. 필명은 금협산인(錦頰山人), 무애생(無涯生), 열혈생(熱血生), 한놈, 검심(劍心), 적심(赤心), 연시몽인(燕市夢人)이다. 가명은 유맹원(劉孟源)이다.

* 작가 :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며 대한제국의 국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유학을 갔으나 중퇴와 복학을 반복하다가 1907년 와세다대학교 재학 중 동맹휴학 사건으로 퇴학당하고 귀국했다.

이후 1907년 이광수와 함께 소년지를 창간했으나 한일 합방 후 일제의 압력으로 폐간당했고, 1912년 이광수의 도움으로 《붉은 저고리》, 1913년《아이들 보이》,《새별》등의 잡지을 발간하였으나 조선 총독부의 '신문지법' 명령으로 모두 강제 폐간되었다. 1914년에는 잡지 《청춘》을 발간했으나 1918년 일본의 압력으로 폐간당했다.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또는 민족대표 49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고, 기미독립선언서를 작성, 낭독하였다. 3.1 운동을 사주한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투옥, 1921년에 석방되었다.

* 작가 : 김동인(金東仁)
1900년 10월 2일 ~ 1951년 1월 5일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다.
1919년의 2.8 독립 선언과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설,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였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친일 전향 의혹이 있다. 해방 후에는 이광수를 제명하려는 문단과 갈등을 빚다가 1946년 우파 문인들을 규합하여 전조선문필가협회를 결성하였다. 생애 후반에는 불면증, 우울증, 중풍 등에 시달리다가 한국 전쟁 중 죽었다.

평론과 풍자에 능하였으며 한때 문인은 글만 써야된다는 신념을 갖기도 하였다.

* 대표작품
〈배따라기〉
〈감자〉
〈광화사〉
〈붉은 산〉
〈운현궁의 봄〉
〈광염소나타〉
일제 강점기부터 나타난 자유 연애와 여성 해방 운동을 반대, 비판하기도 하였다. 현대적인 문체의 단편소설을 발표하여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로 꼽힌다. 필명은 김만덕, 시어딤, 검시어딤, 금동 등을 썼다.

목차

판권 페이지
1. <신채호> 한국사를 다시 쓴 역사서
조선사연구초
가. 고사상이두문명사해석법
나. 삼국사기중동서양자상환고증
다. 삼국지 동이열전 교정
라. 평양패수고
마. 전후삼한고
바. 조선역사상일천년래제일대사건
편주
조선상고사
제1편 총론
제1장 역사의 정의(正義)와 조선사의 범위
제2장 역사의 3대 원소와 조선 구사(舊史)의 결점
제3장 구사(舊史)의 종류와 그 득실의 약평(略評)
제4장 사료의 수집과 선택
제5장 역사서의 개조에 대한 소견(所見)
제2편 수두시대
제1장 조선 고대 총론
제2장 대단군(大檀君) 왕검(王儉)의 건국
제3장 수두의 홍포(弘布)와문화의 발달
제3편 삼조선(三朝鮮) 분립시대
제1장 삼조선(三朝鮮) 총론
제2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 '신朝鮮'
제3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 '불朝鮮'
제4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 '말朝鮮'
제5장 삼조선(三朝鮮) 붕괴의 원인과 결과
제4편 열국(列國)의 쟁웅(爭雄)시대
제1장 열국(列國) 총론(總論)
제2장 열국의 분립
제3장 한 무제(漢武帝)의 침입
제4장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두 신국(新國)
제5편 고구려 전성시대
제1장 기원 1 세기초 고구려의 국력발전과 그 원인
제2장 태조(太祖)·차(次) 양 대왕의 문치(文治)
제3장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의 한족(漢族) 축출과 옛 강토 회복
제4장 차대왕(次大王)의 왕위 찬탈
제5장 차대왕(次大王)의 피살과 명림답부(明臨答夫)의 전권(專權)
제6장 을파소(乙巴素)의 업적
제6편 고구려의 쇠미(衰微)와 북부여(北扶餘)의 멸망
제1장 고구려의 대(對) 중국과의 전쟁에서의 패배
제2장 고구려 대(對) 선비(鮮卑) 전쟁
제7편 고구려, 백제 두 나라의 충돌
제1장 고구려 · 백제 두 나라 관계 유래
제2장 근구수왕(近仇首王)의 영무(英武)와 고구려의 쇠퇴(附: 백제의 해외 정벌)
제3장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의 북진정책과 선비(鮮卑) 정복
제4장 장수태왕(長壽太王)의 남진정책과 백제의 천도
제8편 남방 여러 나라의 대(對) 고구려 공수동맹
제1장 네 나라 연합군의 합전(合戰)과 고구려의 퇴각
제2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 식민지 획득
제9편 삼국 혈전(血戰)의 시작
제1장 신라의 발흥(勃興)
제2장 조령과 죽령 이북의 10개 군 쟁탈 문제
제3장 동서전쟁(同壻戰爭)
제10 편 고구려의 대(對) 수(隋) 전쟁
제1장 임유관(臨愉關) 전쟁
제2장 살수(薩水) 전쟁
제3장 오열홀(烏列忽)·회원진(懷遠鎭)에서의 전쟁과 수(隋)의 멸망
제11편 고구려의 대(對) 당(唐) 전쟁
제1장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서유(西遊)와 그 혁명
제2장 요수(遼水) 전쟁
제3장 안시성(安市城) 전투
제12편 백제(百濟)의 강성과 신라(新羅)의 음모
제1장 부여성충(扶餘成忠)의 뛰어난 전략과 백제의 영토 개척
제2장 김춘추(金春秋)의 외교와 김유신(金庾信)의 음모
제3장 부여성충(扶餘成忠)의 자살
제4장 신라 · 당 두 나라 군사의 침입과 붙잡힌 백제 의자왕
제5장 백제 의병(義兵)의 봉기
제6장 고구려의 당군(唐軍) 격퇴와 백제 의병의 전성(全盛)
제7장 부여복신(扶餘福信)의 죽음과 고구려의 내란
독사신론
1. 敍論
2. 제1편 상세(上世)
최도통전
제1장 서론
제2장 최도통 이전의 우리민족과 다른민족
제3장 최도통의 전반생(前半生)
제4장 중국의 혼란과 최도통의 북벌
제5장 최도통의 북벌정책 착수와 공민왕의 번복
제6장 두 적국의 침입과 최도통의 재기
제7장 홍건적의 2차침입과 최도통
제8장 최도통의 몽고 방어책
2. <최남선> 한국사를 다시 쓴 역사서
단군론
1. 개제
2. 단군의 고전
3. 준근본 징빙
4. 신괴적 설상
5. 승도 망담설
6. 왕험성 신설
7. 성립 연대관
8. 민족적 감정설
9. 민족적 신앙설
10. 그 관학적 당안
11. 일본인 제설의 개관
12. 승도, 망담설의 검핵
13. 승주론자의 착론 범주
14. 왕험성 검핵
주석
계고차존
緖 論[서론]
第一期[제일기] 檀君時節[단군시절]
第一節[제일절] 檀君[단군]의 開國[개국]
第二節[제이절] 歷代[역대]의 治績[치적]
第三節[제삼절] 國疆[국강]의 發展[발전]
第四節[제사절] 當代[당대]의 物質的[물질적] 方面[방면]
第五節[제오절] 當代[당대]의 精神的[정신적] 方面[방면]
第六節[제육절] 漢土[한토] 方面[방면]의 交涉[교섭]
第二期[제이기] 夫餘時節[부여시절]
3. <김동인> 한국사를 다시 쓴 역사서
조선사온고
前記[전기]
1. 高句麗[고구려]-壇君[단군]겨레의 統師[통사]
2. 百濟[백제]
3. 新羅[신라]
4. 隋[수]와 唐[당]의 來侵史[내침사]
5. 三國 國號[삼국 국호]
6. 扶餘 系統[부여 계통]의 百濟 始祖[백제 시조]
7. 所謂[소위] ‘神功征韓[신공정한]’說[설]
8. 任那考[임나고]
9. 日本 紀元年代考[일본 기원년대고]
10. 卑彌呼(히메코[비미호])
11. 倭[왜]와 倭奴[왜노]
12. 婆娑尼師今[파사이사금], 于老舒弗邯[우노서불감]
13. 倭[왜]의 神話[신화]
14.日本[일본]의 神秘[신비]
15. 日本南北朝[일본남북조]
16. 천일창(天日槍)
17. 種族[종족]
* 부록 : 역사서 및 논설
- 민족개조론(이광수) : 논란이 많은 논설
* 한글 해석 : 민족개조론
- 조선혁명선언(朝鮮革命宣言) : 신채호
- 조선역사상 천년 제일대사건 : 신채호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