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역사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

소장종이책 정가16,000
전자책 정가40%9,600
판매가9,600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작품 소개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 백정, 그 낯선 이름에 대한 기록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엔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과연 그 많은 인물들이 모두 왕족이나 양반, 평민들이었을까? 우리가 흔히 천하다 여기고, 실제로 당시만 해도 비천하며 험한 일을 도맡았던 이들이 다수 등장한다. 비록 극중이지만 그들은 실재했으며, 그 기록 또한 유효하다. 이렇게 도축을 하고, 사냥을 하며, 광대짓을 했던 이들을 역사는 ‘백정’이라 불렀다.
바로 이 '백정‘에 관한 이야기가 여기 있다. 누군가에겐 새로울 수 있고, 다른 누군가에겐 명백하게 와 닿을 만한 백정이야기를 한 권의 책에 담았다. 도서출판 책밭의 신간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이다. 이 책은 오랫동안 백정 연구에 몰두해 온 저자의 연구기록이자 가려져 있던 역사의 장막을 거두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이는 그림자로만 살아왔던 백정이란 존재를 한 줄기 ’진실‘이라는 이름의 빛으로 밝힐 수 있는 계기이자 큰 의미일 것이다.
이 책은 ‘신분’이라는 편견으로 백정을 천대하고 모욕했던 우리 역사 앞에 내미는 도전장이다. 기록과 증언으로 써내려간 진짜 백정의 역사다. 이젠 단일민족이라는 말이 사라지고 그 의미도 퇴색했다. 조선 500년을 살았던 수많은 백정의 피는 지금 우리 혈관 속에 그대로 흐르고 있다.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은 우리 몸에 흐르는 백정의 그 핏줄기를 따라가며 천대와 핍박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살아남아 한반도의 어엿한 구성원으로 성장한 백정의 진면목을 살피는 기회를 제공한다.

백정은 천대와 멸시의 대명사다. 그러나 알고 보면 꼭 그렇지도 않았다. 조선이 평민 이하의 백성 중 30%에 육박하는 백정을 어떻게든 왕조의 인구로 거두고 정착시키기 위해 안간힘을 썼던 점을 보면 그렇다. 산악이 발달한 서울과 인근 지역, 그리고 지리산이 버티고 있던 남원 일대의 거주 인구 대다수가 백정이었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은 백정에 관해 우리가 입담 수준에서 올리던 이런저런 스토리들을 차분한 지식으로 정착시키는 힘을 발휘한다. 조선 왕조의 통치 그룹 안에서 벌어졌던 국정에 관한 대화, 즉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차분한 사실(史實)과 관련 기록들을 바탕으로 ‘백정의 이야기’를 펼쳐낸다.
결론적으로 보면 조선시대 백정으로 분류했던 다른 혈통의 사람들은 대개가 한반도 재래의 인구가 아닌, 외래 거주민이다. 특히 고려시대 만주와 중원 지역에서 벌어졌던 왕조의 힘겨루기에 따라 패망한 거란족의 다수가 한반도로 넘어와 조선시대 백정으로 정착했다는 책 속의 주장이 눈에 띈다.
화척(禾尺)과 재인(才人), 달단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던 외래 거주민이 조선에 들어와서는 백정으로 불린 사실, 소나 돼지를 잡는 도축 전문가인 이들로 인해 조선시대 한때 쇠고기 구워먹기가 큰 유행을 이뤘다는 점, 산악이 발달한 곳에 호랑이나 표범 등 맹수 사냥업이 거의 유목민에 가까웠던 이들 외래 거주민의 전문 직종이었다는 점들이 다 새겨볼 만한 내용이다.
이 책의 중심 주제는 한반도가 결코 배달이라는 단일계의 종족적 구성으로 이뤄져 있지 않다는 점에 맞춰져 있다. 북방이나 남방으로부터 새로운 종족들이 유입해 정착함으로써 한반도의 다양한 핏줄을 형성했다는 것인데,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존재가 바로 조선시대의 백정이라는 얘기다.
외래의 정착민은 요즘 말로 표현하자면 ‘다문화 가정’이다. 다양한 핏줄의 섞임은 요즘의 다문화 가정에 앞서 500여 년 훨씬 전 한반도에서 대량으로 벌어진 현상이었다. 꽤 오래전의 그런 외래 거주민 후예들은 결국 조선의 황혼녘에 총을 들고 바다에 나선다. 병인양요의 프랑스군 침입에 이 땅을 지키고자 왕조가 동원한 사냥꾼들이었다.
첨단무기를 손에 쥔 프랑스군에 맞서 신기(神技)에 가까운 사격술로 끝까지 저항하다 숨진 백정의 후예들은 구한말 조선에 들어온 한 미국인의 눈에 ‘빨간 머리털과 수염에 180㎝가 넘는 거구’로 비쳤다. 그 인종의 다양성을 생각하며 슬쩍 거울로 얼굴을 들여다보도록 만드는 게 이 책의 매력이다. 다양성 속의 조화, 나아가 한반도에 사는 ‘우리’를 곰곰이 되새기게끔 만드는 것도 책이 지닌 장점이다.



저자 프로필

이희근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단국대학교 사학과 학사
  • 경력 겨레문화유산 연구원 전문위원

2014.12.0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자 - 이희근
이희근은 단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1-2권, 『한국사, 그 끝나지 않은 의문』, 『한국사는 없다』, 『우리 안의 그들, 역사의 이방인』, 『처음 한국사』1-10권 등이 있다.

목차

저자의 말 우리는 과연 단일민족인가?
1.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의 이방인
샌즈의 눈에 비친 조선인의 인종적 다양성
조선의 이방인, 백정

2. 백정의 탄생
여러 부류: 재인, 화척 그리고 달단
백정의 전신, 양수척
백정의 출현
사회적 차별의 대상

3. 백정의 조상
고려에 온 거란인
고려의 당당한 구성원이 된 거란족
한반도에 정착한 몽골족

4. 육식문화 보급의 주역
소고기 열풍이 불다
도축 금지령
가격폭등과 밀도살의 성행

5. 백정, 호랑이 사냥을 주도하다
공공의 적 1호, 호랑이
타고난 사냥꾼

6. 착호(捉虎)제도, 강무 및 타위 정비
호랑이부대 창설
착호의 주역, 백정

7. 농민 되기를 강요당한 백정
정착생활자만 왕국의 신민
공존의 부정
허락을 받고 여행하라

8. 백정의 저항
범죄로 내몰린 백정
범죄의 온상
의적? 임꺽정의 출현
의적인가 도적인가?

9. 호랑이 사냥꾼의 프랑스군 및 미군 격퇴
전공으로 고관이 된 백정
백정 출신 사냥꾼 동원
프랑스군을 물리치다
미국 함대가 몰려오다.
사냥꾼 부대에 경의를 표한 미군

10. 지난한 해방의 여정
제대로 정착하는 백정
천민 중의 천민
깨어나는 백정


리뷰

구매자 별점

3.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1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