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최상용

    최상용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원광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 박사
  • 경력 인문기학연구소 소장

2015.01.06.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지은이 장자(莊子)
중국 전국시대에 도가사상(道家思想)을 대성시킨 송나라 철학자이다. 본명은 장주(莊周)이고 송나라에서 태어났다. 맹자와 비슷한 시대에 활동한 그의 정확한 생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은데, 기원전 370∼369년에 태어나 기원전 300∼280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때 칠원리(漆園吏, 옻나무 밭을 관리하는 하급 관리)를 지낸 이후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초나라의 위왕(威王)이 그를 초빙하려 했으나 벼슬자리를 거부했다. 그는 위나라 혜왕(惠王)의 재상을 지낸 혜시(惠施)와 우정이 두터웠고, 그와 변론을 즐겼다. 혜시가 죽은 후에는 변론의 상대를 잃었다며 한탄했다.
그는 천지만물의 근원을 ‘도(道)’로 보았고, “인위적으로 무언가를 이루려 하지 않고(無爲), 자기에게 주어진 대로 자연스럽게 행해야 한다(自然)”고 주장했다. 장자는 말로 설명하거나 배울 수 있는 도는 진정한 도가 아니라고 보았다. 도는 시작도 끝도 없고 한계나 경계도 없다. 인생은 도의 영원한 변형에 따라 흘러가는 것이며, 도 안에서는 좋은 것, 나쁜 것, 선한 것, 악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도를 이루려는 사람은 환경, 인습, 욕망 등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져야 한다. 이러한 장자의 사상은 고금을 막론하고 중국인들의 생활철학이 되었으며, 중국 불교와 문학과 회화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장자의 사상은 그의 이름을 딴 저서 <장자(莊子)>에 담겨 있다. 10만여 자로 쓰인 <장자>는 내편(內編) 7편, 외편(外編) 15편, 잡편(雜編) 11편 등 모두 33편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외편과 잡편은 후학(後學)에 의해 저술된 것으로 추측된다.

옮긴이 최상용(崔相鎔)
언론에서 기자로 활동하다가 동양학의 깊이에 매력을 느끼고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에 입학했다. 기공학(氣功學)으로 석사학위를, 기학(氣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신비롭게만 여겨왔던 기(氣)를 체득하기 위해 참선, 명상, 도인법 등 다양한 수련을 해왔다. 더 나아가 동양학의 과학적인 접근을 위해 서울대학교 한의물리학교실에서 인체의 경락, 바이오포톤, 생체자기장, 생체에너지 등을 연구하기도 했다.
현재 인문기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면서 대학 및 대학원, 기업 및 여러 사회단체 등에서 동양학을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자의 강점인 회화적인 특징을 되살리고 글자에 담긴 역사적인 배경을 소개한 『브레인 한자』와 『브레인 급수한자app』, 『인문고사성어집1,2app』, 현대인의 삶에 맞게 하루 3분 잠자리에서 행할 수 있는 수면명상법을 담은 책 『하루 3분 수면 혁명』,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학습용어의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한자 실력이 국어 실력이다』, 『한자 실력이 수학 실력이다』, 『한자 실력이 사회 실력이다』, 『한자 실력이 과학 실력이다』 등이 있다.

<내 안의 나를 깨우는 장자> 저자 소개

최상용 작품 총 6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