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홍성욱

    홍성욱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61년 11월 22일
  • 학력 199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박사
    198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석사
    198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학 학사
  • 경력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MIT Dibner 연구소 연구원
    2003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과학기술사철학과 부교수
  • 수상 1996년 IEEE 종신회원상
    1992년 슈만상

2024.03.11.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 이강영(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
세상을 이해하는 데 물리학이 기초가 된다고 생각하는 평범한 입자물리학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 카이스트에서 입자물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불멸의 원자》,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 등이 있다.

저자 : 김상욱(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
고등학생 때 양자물리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후, 카이스트 물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포스텍, 카이스트, 독일 막스-플랑크 복잡계 연구소 연구원, 서울대 BK조교수를 거쳤다. 저서로는 《김상욱의 과학공부》, 《과학하고 앉아있네 3,4》(공저) 등이 있다.

저자 : 김범준(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웨덴 우메오대학교와 아주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우리 사회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살펴보는 연구에 관심이 많은 통계물리학자다. 저서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 56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저자 : 송기원(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학에서 생화학 및 분자유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생명과학 연구 외에 생명과학과 연관된 사회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있으며 저서로 《생명》, 《생명과학, 신에게 도전하다》 등이 있다.

저자 : 홍성욱(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학부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뒤에 대학원에서 과학사로 전공을 바꿔, 현재 과학기술사와 과학기술과사회(STS)를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21세기 교양, 과학기술과 사회》 등이 있다.

저자 : 이중원(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인문대학 학장 및 교육대학원장, 교육인증원장을 역임하였고, 한국과학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인문학으로 과학 읽기》, 《양자, 정보, 생》 (공저) 등이 있다.

저자 : 이상욱(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이학사 및 이학석사를 마친 후 영국 런던정경대학 (LSE)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현대 과학기술이 제기하는 다양한 철학적, 윤리적 쟁점을 폭넓은 과학기술과사회(STS)적 시각과 접목하여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뉴턴과 아인슈타인》, 《과학으로 생각한다》 등이 있다.

저자 : 장대익(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영국 런던정경대학교에서 생물철학과 진화심리학을 공부했다. 최근에는 도덕성과 문화의 진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10년에 걸쳐 다윈 3부작 《다윈의 식탁》, 《다윈의 서재》, 《다윈의 정원》  을 집필했으며, 제11회 대한민국과학문화상을 받았다.

저자 : 이명현
과학 저술가이자 천문학자.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 천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형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SETI KOREA) 프로젝트를 맡아서 진행했다. 《빅히스토리 1: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와 《이명현의 별헤는 밤》, 《과학하고 앉아 있네 2: 이명현의 외계인과 UFO》를 저술했다.

저자 : 재단법인 카오스
우리는 과학이 세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과학적 사고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더 많은 사람과 기초과학에 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지식을 대중 강연 콘서트, 출판 등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나누고자 합니다.
카오스재단의 강연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며 지난 강연은 홈페이지와 네이버 TV캐스트를 통해 다시 볼 수 있습니다.

<과학은 논쟁이다> 저자 소개

홍성욱 작품 총 23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