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 : 스티븐 허프의 음악에 관한 짧은 생각들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예술/문화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 : 스티븐 허프의 음악에 관한 짧은 생각들

소장종이책 정가24,000
전자책 정가30%16,800
판매가16,800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 : 스티븐 허프의 음악에 관한 짧은 생각들 표지 이미지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 : 스티븐 허프의 음악에 관한 짧은 생각들작품 소개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 : 스티븐 허프의 음악에 관한 짧은 생각들> 세계적인 콘서트 피아니스트 스티븐 허프가 선율처럼 써 내려간 문장들
음악가의 삶을 들려주는 가장 솔직한 언어가 되다

파이낸셜 타임스 선정 ‘올해의 책’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스티븐 허프가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를 통해 한국 독자들과 만난다. 60장 이상의 음반을 발표하고 세계 곳곳을 누비며 연주를 이어가고 있는 ‘콘서트 피아니스트’인 그는 줄리어드 음악대학에서 피아노를 가르치고 있으며 연주와 강의 사이에 틈틈이 글을 써 책을 내는 작가이기도 하다. [이코노미스트]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지식인 20인’에 움베르트 에코, 재레드 다이아몬드, 올리버 색스와 함께 꼽힌 스티븐 허프는 세계적인 오케스트라가 사랑하는 현역 연주자로서 잘츠부르크, 모스틀리 모차르트, 에든버러, BBC 프롬스 등의 페스티벌에 25회 이상 초청받았고,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뉴욕 카네기 홀, 링컨 센터, 케네디 센터 등에서 연주하였다. 디아파종 황금상과 그래미 상(최우수 실내악 퍼포먼스)을 수상했으며 그라모폰 상에서 올해의 음반과 골드 디스크를 비롯해 8개 부문에서 수상한 그는 우리 시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임윤찬이 금메달을 차지한 반 클라이번 콩쿠르 심사위원이자 참가자 필수곡 ‘팡파레 토카타’의 작곡가로 잘 알려져 있다.

젠체하지 않으며 쉬운 말들로 쓰인 그의 글에는 음악관, 교육관, 종교관이 가감 없이 드러나 놀라움을 안긴다. 공연 중의 에피소드, 콘서트 피아니스트로서의 (화려하지 않은) 생활, 음악과 음악가에 대한 독특하고도 솔직한 소회, 학생들과 후배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종교인으로서의 고민 등 자신의 삶과 가치관을 망라한 이야기들은 하나의 장르로 규정할 수 없는 독특한 모습으로 세상에 나왔다. 음악에 대한 솔직한 언어로 이루어진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는 연주와 협연, 투어를 꿈꾸며 음악가가 되려는 사람들에게 악보와도 같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 클래식 애호가들에게는 전문가가 들려주는 읽을거리 가득한 음악책으로 다가가고 새로운 에세이 독자들에게는 음악가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는 수필집으로 찾아갈 것이다.


출판사 서평

음악의 존재 이유를 찾는 여정
클래식, 어쩌면 온전히 듣는 자의 것

거장 스티븐 허프는 최고의 자리에 있음에도 음악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생각, 누가 듣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되돌아가 책을 시작한다. 그는 오디션을 봤던 위그모어 홀과 교회를 연주 공간으로서 재조명하며 책을 열고 이어서 관객을 돌아본다. 클래식 음악이 모두에게 평등해야 함을 말하기 위해서다. “클래식 음악은 세대를 넘나든다. 시대를 초월하고, 만인 공통이며, 영원히 늙지 않는다.” 그러고는 사실 클래식 음악이 모두를 위한 것이 아님을 밝힌다. 사회적, 경제적 배제의 논리가 존재하며 쉽게 즐길 수 없는 “노력이 필요한” 감상 활동이라는 것이다. 이는 클래식 음악을 즐기지 않는 사람의 탓도 어려운 곡의 탓도 아니다. 그저 시차가 있을 뿐이다. 글에 그치지 않고 그 시차를 줄이기 위해 몸소 시차를 이겨내 가며 꾸준히 투어를 이어가는 저자의 실천은 잔잔한 감동을 준다. 허프는 관객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하며 클래식 연주회에 가는 것이 수동적인 경험이 아니며 관객이 공연의 필수 요소임을 강조한다. 팬데믹으로 인한 잇단 공연 취소에 좌절하지 않고 앨범 작업을 멈추지 않은 그의 노력은 음악의 존재 이유인 청자에게 응답하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다.

음악과 인간에 대한 무한한 애정에서 비롯된 이야기
글 쓰는 음악가 스티븐 허프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를 통해 저자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애정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올 8월 한국에서 선보인 차이콥스키, 라흐마니노프에 대한 애틋한 감정에서 시작해 엘가와 종교, 베토벤과 카덴차, 디킨스를 떠올리게 하는 브람스의 음악, 슈베르트의 인간미 가득한 천재성, 보웬의 고집, 자유도 높은 몸푸의 음악, 바흐에 대한 기호, 쇼팽과 리스트가 불을 지핀 연주 기법의 영역, 재즈와 아시아 음악에 영향을 준 드뷔시, 글렌 굴드와 현대적 녹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주제를 타고 글로 연주를 계속한다. 책을 읽어나가면 스티븐 허프와 시즌 투어를 내내 함께하고 있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쉽고 명확한 단어 사용으로 솔직하고 소탈하며 매력 넘치는 그의 수많은 글들은 [월스트리트 저널]이 왜 그를 “뛰어난 클래식 통역가”로 평가했는지 알게 해준다.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는 팬데믹에도 굴하지 않고 꾸준한 녹음과 기고를 통해 음악에 대한 사랑을 보여준 그의 의지를 강조한 제목으로 원제 ‘Rough Ideas’에서 저자의 허락을 얻어 변주한 것이다. 음악의 존재 이유를 관객이라 말하며 음악의 가치를 인간성의 회복, 평등의 실현, 종교적 선과의 만남으로 보는 관점을 통해 우리는 연주뿐 아니라 글로도 유려하게 말하는 전혀 새로운 피아니스트와 만나게 된다.

한국을 사랑한 피아니스트
임윤찬과 한국 관객들에게 보내는 응원

친절한 태도와 주제를 망라하는 글쓰기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려 하는 스티븐 허프는 2007년 첫 내한 이후 꾸준히 한국을 찾았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에도 내한해 연주를 이어갔으며 통역이나 매니저 없이 활동하는 등 한국과 인연이 깊다. 올 8월에는 대전시향, 창원시향과 협연을 통해 한국 팬들에게 자신의 연주를 선보였다. 그런 그가 서면 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독자들에게 따뜻한 답신을 보내왔다. 멋진 관객을 가진 한국에 큰 감사와 부러움을 전하는 내용이다.

“난 그냥 한국을 방문하는 게 좋다! 한국은 젊고 열정적으로 집중하며 훌륭한 음악을 듣고 싶어 하는 최고의 관객들을 가지고 있다. 고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음악을 통해서는 이 관객들과 함께 있는 것이 매우 행복하다. 내가 연주할 때, 공연장에는 많은 친구들이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는 인터뷰에 임윤찬과의 인연에 대한 소회와 격려도 담아 보냈다.

“1라운드부터 윤찬 군의 연주가 너무 좋았고 항상 결선에 진출하길 바랐다. 그러고 나서 윤찬 군이 준결선에서 리스트를 연주했을 때, 나는 그가 진정으로 초월적인 경지에 도달했다고 느꼈다. 빠른 손가락의 영특함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할 수 있다) 그가 리스트의 수사학, 시야, 성격을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속도가 아니라 일종의 내면의 카리스마다. 그리고 우리가 이것을 훨씬 더 명확하게 보았을 때, 그것은 더 느린 걸음걸이로 나타났다. 젊은 피아니스트들을 위한 조언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가장 큰 위험은 그 나이대의 누군가가 탈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건 여러 번 일어난 일이다. 심지어 리스트도 너무 많이 일했기 때문에 콘서트를 떠나야 했다. 그리고 반 클라이번 자신도 비슷한 운명을 겪었다! 윤찬 군이 그가 찾고 싶은 것들을 발견할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길 바란다. 힘차게 첫 발을 내디딘 젊은 피아니스트는 이제 어디에서 무엇을 연주하고 싶은지 선택할 수 있다. 그것은 드문 호사다. 그리고 그의 앞날은 수십 년이나 남아 있다.”



저자 소개

스티븐 허프 (Stephen Hough) 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60장 이상의 음반을 발표하고 ‘콘서트 피아니스트’로서 세계를 누비며 연주를 이어가고 있다. 줄리어드 음악대학에서 피아노를 가르치고 있으며 연주와 강의 사이에 틈틈이 글을 써 책을 내는 작가이기도 하다.
임윤찬이 우승한 2022년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심사위원을 맡았으며 필수곡인 〈팡파레 토카타Fanfare Toccata〉를 작곡했다. 2022년 8월에는 내한해 대전시향, 창원시향과 협연하였다. 자주 한국을 방문하고 있으며 통역이나 매니저 없이 활동을 할 정도로 한국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는 음악가다.
《이코노미스트》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지식인 20인’에 꼽힌 스티븐 허프는 1983년 뉴욕 나움버그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본격적으로 피아니스트의 길을 걷는다. 세계적인 오케스트라가 사랑하는 현역 연주자로서 잘츠부르크, 모스틀리 모차르트, 에든버러, BBC 프롬스 등의 페스티벌에 25회 이상 초청받았고,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뉴욕 카네기 홀, 링컨 센터, 케네디 센터 등에서 연주하였다. 디아파종 황금상과 그래미 상(최우수 실내악 퍼포먼스)을 수상했으며 그라모폰 상에서 올해의 음반과 골드 디스크를 비롯해 8개 부문에서 수상한 그는 우리 시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1~2022 시즌에는 왕립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국립 프랑스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등과 협연 중이며, BBC 필하모닉의 전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가디언》, 《텔레그래프》에 글을 발표하였으며 지은 책으로 소설 『마지막 피정The Final Retreat』 등이 있다. 그의 글은 투어 이동간에 썼다고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깊이 있는 사유로 가득 차 있다. 특히 이번 책에서는 지적 탐구 정신에서 비롯된 음악관과 교육관, 종교관 등을 가감 없이 드러냄으로써 왜 자신이 지적인 피아니스트로 불리는지 잘 보여준다.

김하현 역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한 뒤 지금은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식사에 대한 생각』 『우리가 사랑할 때 이야기하지 않는 것들』 『결혼 시장』 『이등 시민』 『팩트의 감각』 『미루기의 천재들』 『분노와 애정』 『화장실의 심리학』 『여성 셰프 분투기』 『뜨는 동네의 딜레마, 젠트리피케이션』 등이 있다.

목차

여는 말

토론장
무대 위로 한 번 더
스튜디오의 콘서트 피아니스트
음악과 음악가들에게
그리고 더
종교에 관한 짧은 생각들
생각의 끝에서

감사의 말

스티븐 허프: 디스코그래피 1985~2018

찾아보기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