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4.2점256명참여
장강명
arte
에세이
<책소개> "“읽고 쓰는 것으로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순수한 독서 공동체를 꿈꾸는 작가 장강명의 즐거운 상상 ◎ 도서 소개 현실에 발을 딛고, 더 멀리 더 깊이 세상을 보고 싶은 ‘읽고 쓰는 인간’ 장강명의 책에 대한 생각들 “...
소장 12,000원
참여
정서맥, 장강명
한겨레출판
<책소개> 장강명의 《5년 만에 신혼여행》, 에세이툰으로 재탄생하다 애니메이션 감독 정서맥이 그려낸 장강명 부부의 결혼 스토리&신혼여행 에피소드 총 1억 2000만 원을 지원하며 화제를 모았던 ‘2017 웹애니메이션 공모전’의 ‘책×웹애니메이션’ 부문 당선작 ...
소장 10,500원
4.6점45명참여
민음사
한국소설
<책소개> 취업, 해고, 구조조정, 자영업, 재건축…... 한국에서 먹고사는 문제의 고단함과 쓸쓸함을 지적이고 균형 잡힌 시선으로 포착하는 10편의 연작소설 “지금 여기서 우리가 매일 이야기하는 한낮의 노동과 경제 문제들을 기록하고 싶었습니다. 부조리하고 비인간...
소장 9,800원
4.1점12명참여
장강명, 구병모 외 6명
황금가지
<책소개> 마포구의 리얼맨, 영등포의 레인보우걸, 은평구의 프로스트퀸... 당신 이웃에 있는 슈퍼히어로는 누구입니까? 장강명, 구병모 등 인기작가 8인이 선보이는 슈퍼히어로 단편집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가 황금가지에서 출간되었다. 2015년 출간되어 화제를...
소장 10,200원
4.5점67명참여
정치/사회
<책소개> “세계는 둘로 나뉘어져 있다.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들어가려면(入) 시험(試)을 쳐야 한다. 시험 한쪽은 지망생들의 세계, 다른 쪽은 합격자들의 세계다.” 문학공모전과 공채라는 특이한 제도, 간판에 대한 집착, 서열 문화와 관료주의 기회를 주기 위해 ...
소장 11,200원
4.4점212명참여
예담
<책소개> 『표백』, 『한국이 싫어서』, 『댓글부대』 작가 장강명의 신작 장편소설 “우린 다 태어나서는 안 될 나라에 태어났다는 생각이 들어.” 2016년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하며 한국 문학의 새 얼굴이자 대세로 떠오른 장강명 작가의 장편소설 『우리의 소원은 전쟁...
소장 10,360원
4.1점354명참여
<책소개> “한국은 싫지만, HJ는 좋다” 인생 앞에 굴복하지 않는 젊은 부부의 신혼여행 분투기 앞으로 우리 부부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이런 에세이를 써놓은 주제에, 내가 술에 취해 바람을 피우게 될지도 모르고, HJ가 운명적인 사랑을 발견해 나를 떠날지...
소장 7,800원
4.5점17명참여
장강명, 김보영 외 6명
창비
<책소개> 오늘날부터 1990년까지의 ‘학교생활’을 키워드로 삼은 특별한 소설집 『다행히 졸업』이 출간되었다. 더할 나위 없이 나빴던, 순간순간 유쾌했지만 다시 돌아가고 싶지는 않은 우리들의 학창 시절을 장강명, 김보영 등 재기 넘치는 8명의 작가들이 소설로 풀어냈다. 15...
소장 9,100원
3.9점9명참여
장강명, 김금희 외 5명
문학동네
<책소개> “푸른 소설들에 대한 애정을 고백하는 기회가 생겼다는 건 신나는 일 아닌가” 문학동네는 2010년에 젊은작가상을 제정하여 등단 십 년 이하의 젊은 작가들이 한 해 동안 발표한 중단편소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일곱 편을 선정해 시상하고 단행본으로 출간해왔다....
4.3점87명참여
<책소개> 한국 소설문학의 희망, 제20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장강명 장편소설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경장편소설 분야에서 한국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는 문학동네작가상이 올해로 20회를 맞았다. 김영하, 조경란, 박현욱, 박민규,...
소장 8,400원
4.3점619명참여
<책소개> “사람은 가진 게 없어도 행복해질 수 있어. 하지만 미래를 두려워하면서 행복해질 수는 없어. 나는 두려워하면서 살고 싶지 않아.” 한국에서의 익숙한 불행보다 호주에서의 낯선 행복을 택한 노마드 청춘의 등장 거침없는 수다로 한국 사회의 폐부를 ...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