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참여
강준만
커뮤니케이션북스
정치/사회
<책소개> 1987년 그 후, 권위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역사적 전환. 그러나 그 후, 광우병 파동과 촛불시위, 미디어법을 둘러싼 여야 정쟁, 천안함 사태로 인한 사회적 대립, IMF와 세계 금융 위기가 부른 경제적 양극화, 부의 재분배를 놓고 벌어지는 계층 간 다툼…. 대화...
소장 22,400원
4.0점3명참여
인물과사상사
<책소개> “정쟁을 종교전쟁으로 몰고 가는 순수주의자들에게!” 인간에 대한 예의가 없는 ‘싸가지 없는 진보’ “왜 호남은 진보에 등을 돌렸는가?” “왜 진보의 이름으로 정치를 죽이는가?” “왜 진보는 반감을 정략적으로 악용하는가?” 야당 분열, 알고나 욕합시...
소장 9,800원
<책소개> P. T. 바넘은 엔터테인먼트의 원조 바야흐로 엔터테인먼트가 지배하는 세상이 열렸다.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라는 말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오락’이 되겠지만, 엔터테인먼트는 오락보다는 넓은 개념이다. 엔터테인먼트의 어원은 ‘특정한 틀로 붙들어...
소장 7,000원
4.1점7명참여
개마고원
<책소개> <시사만인보>는 ‘실명 비판’을 원칙으로 우리 사회의 ‘성역과 금기’에 도전했던 저널룩 『인물과 사상』(1997~2005)을 인물별로 재구성한 E-BOOK 시리즈입니다. <저자 소개> 저자 - 강준만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
소장 1,500원
경영일반
<책소개> <시사만인보>는 ‘실명 비판’을 원칙으로 우리 사회의 ‘성역과 금기’에 도전했던 저널룩 『인물과 사상』(1997~2005)을 인물별로 재구성한 E-BOOK 시리즈입니다. <저자 소개> 저자 - 강준만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
3.0점1명참여
5.0점1명참여
예술/문화
4.5점24명참여
역사
<책소개> 우리는 미국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 수가 11만 명을 돌파했다.(2008년 현재) 한국인 유학생의 미국 내 비율은 3년째 전체유학생 가운데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에 소재한 웬만한 대학 교수들의 방학시즌 교수회의는 미국에서 열린다는 ...
<책소개> 왜 ‘독선적인 사람’의 똑똑함은 독약이 될 수 있는가? 우리는 대체적으로 나라가 잘되기 위해서는 국민이 똑똑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국민이 똑똑해진다고 해서 나라가 반드시 잘되는 것일까? 혹시 ‘똑똑해진 사람들’이 자신의 똑똑함을 과신하면서 다...
소장 10,500원
<책소개> 강준만 교수의 ‘청년 정치론’ “어찌 정치를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정치 혐오’를 가르치는 기성세대의 집단 사기극 ‘20대 개새끼론.’ 청년들의 낮은 투표율에 대해 일각에서 흘러나온 말이다. 기성세대는 평소엔 정치를 천하의 몹쓸 것으로 ...
소장 8,000원
<책소개> ‘서울’이 ‘대한민국’보다 중요한가? 광복 70년, 지방은 아직도 식민지다! 2015년은 광복 70주년이다. 그런데 강준만 전북대 교수는 대한민국에서 지방은 여전히 식민지라고 말한다. 물론 일본이 아닌 서울의 식민지로서다. 전북 전주에 살면서 일찍부터 ...
<책소개> <시사만인보>는 ‘실명 비판’을 원칙으로 우리 사회의 ‘성역과 금기’에 도전했던 저널룩 『인물과 사상』(1997~2005)을 인물별로 재구성한 E-BOOK 시리즈입니다. <저자 소개> 저자 - 강준만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3.2점5명참여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