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용金大容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교육학박사), 교육철학 전공,
대표 저서 및 논문
『조선초기 교육의 사회사적 연구』(도서출판 한울, 1994),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윤리의 문제점」(『윤리연구』78호, 2010), 「『개벽』의 교육론 연구」(『한국교육사학』34권 4호, 2011), 『도덕 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살림터, 2013)
이건상李健相
인천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교수(문학박사), 일본학 전공.
일본의 문화와 예술(공저, 한누리미디어, 2008), 일본교육의 역사(역서, 논형, 2011), 훈독을 통해 본 일본의 한자문화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역서, 인문사, 2012)
이명실李明實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교육학박사), 교육사 전공.
『식민지 제국 일본의 문화통합』(공역, 역사비평사, 2008), 「근대적 교육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전근대적 가치의 위상」(『한국교육사학』제32권 제2호, 2010), 『한국 근현대 여성사』(공저, 모티브북, 2011), 「메이지 초기 신도국교화 정책의 추진과 좌절」(『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7권 제1호, 2012)
정혜경鄭惠瓊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사무국 조사2과장(문학박사), 한국근대사 전공.
『조선인강제연행 강제노동1-일본편』(도서출판 선인, 2006), 『조선청년이여 황국신민이 되어라』(서해문집, 2010), 『일본제국과 조선인노무자 공출』(도서출판 선인, 2011), 『1944년, 에스토르-지독한 이별』(도서출판 선인, 2011)
정혜정丁惠貞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교육학박사), 교육사상 전공.
『동학·천도교의 교육사상과 실천』(도서출판 혜안, 2001),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교육정책연구:1910년대 매일신보를 중심으로」(『교육사학연구』제14권, 2004), 「일제하 간이학교와 근대 노작교육」(『한국교육사학』제30권 2호, 2008), 『동학의 심성론과 마음공부』(모시는사람들, 2012)
조진趙珍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강사(철학박사), 교육철학, 서양윤리학 전공.
『Learning to Be Good:Moral Saints or Virtuous Persons?』(미국 시라큐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일본의 근대화와 조선의 근대>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