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신호림

    신호림 프로필

  • 경력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2025.02.2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노창현 soulriff@naver.com
콘텐츠 기획, 제작업체 미디어코드 대표. 20여 년간 300회 이상의 공연, 축제, 이벤트의 제작연출을 진행했다. 동시에 현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공연예술경영전공 및 대구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겸임교수로, 서강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엔터테인먼트전공, 동국대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에서 외래강사로 구성원들과 한류, 축제, 미디어, 공연, 대중음악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누며 현업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동국대학교에서 인도철학으로 문학사, Culture-Oriented MBA로 경영학 석사, 문화콘텐츠 기획으로 문화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언택트 시대, 문화콘텐츠 새로운 소비자를 욕망하다』(공저, 2020), 『All about 문화콘텐츠』(공저, 2021) 등이 있다.

성종현 moviesjh@hanmail.net
안동대학교 미디어문화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콘텐츠 산업과 지역 문화콘텐츠를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경북콘텐츠진흥원, 경북영상위원회, 안동영상미디어센터, 수중영상연구소 등 문화콘텐츠 현장에서 근무하였으며, 전국문화산업지원기관협의회 사무국장, 여성가족부 정책위원, 경북메가프로젝트 위원 등을 역임했다. 경북대학교와 상명대학교에서 문화콘텐츠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된 연구 성과로는 「콘텐츠산업 진흥 인프라의 목표와 역할에 관한 연구」(2022), 「문화유산을 활용한 VR 콘텐츠 CPND 생태계 연구」(2022), 「디지털 미디어 기업육성을 위한 지역 클러스터 구축 계획방안 연구」(2023), 「지역 영상산업 진흥을 위한 인프라 구축 계획방안 연구 」(2023), 「콘텐츠코리아랩 사업의 C-P-N-D 틀을 통한 지원현황 분석 및 지역 콘텐츠 정책의 방향성 연구」(2023), 「지역 콘텐츠 IP를 활용한 로컬브랜딩 성공 요인 도출」(2023) 등이 있다.

신호림 letter2horim@hanmail.net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다.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매체를 횡단하는 이야기를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에서 <토끼전>으로 석사학위를, <심청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까지 50여 편의 논문과 10여 권의 저서(공저)를 발표했다.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연구 성과로는 「심청전에 대한 현대적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전략」(2017), 「영화 <설국열차>(2013)에 나타난 폭력의 서사와 의미」(2017),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박동진本 <변강쇠가>」(2018), 「봉정사 창건 설화의 두 서사적 층위와 스토리텔링의 방향성 」(2019), 「엄마까투리 콘텐츠에 나타난 안동-로컬리티의 구현 방식」(2020), 「고전문학 기반 웹소설의 서사 확장 방식에 대한 試論」(2021), 「문학콘텐츠의 개념과 의의에 대한 試論」(2022), 「웹소설 <소설 속 엑스트라>의 빙의 화소를 통해 본 정체성의 문제와 가능세계의 양상」(2023), 『지역문화와 콘텐츠』(2019) 등이 있다.

안창현 yiliwa@hanmail.net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전략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중국 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한 뒤,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에서 BK21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서유기, 고전의 부활󰡕(2016, 2017 세종도서 선정), 『문화콘텐츠, 그 경쾌한 상상력󰡕(공저, 2011), 『한자콘서트󰡕(공저, 2007) 등이 있으며, “살아있는 시체 좀비와 강시 캐릭터 비교 연구”(2017), “춘지에 완후이(春節晩會)의 의례화와 기능연구”(2015), “복합문화 공간으로의 중국 전통축제 연구”(공저, 2015)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건웅 nayagun@hanmail.net
서일대학교 미디어출판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글로벌사이버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출판 산업, 문화콘텐츠, 중국 콘텐츠 등을 연구하고 있고, 최근에는 지역 콘텐츠와 글로벌 콘텐츠를 연구 중이다. 현재 사)한국전자출판학회 회장이며, 콘텐츠문화학회 평의원으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2024 SNS 광고마케터 1급󰡕(2024), 『2024 검색광고마케터 1급』(2024), 『한국 출판산업의 이해』(2021),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문화산업과 문화상품』(2020), 『액티브 시니어 시대의 노인놀이터』(2020), 『한중출판과 출판한류』(2014,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이종훈 leelim3@naver.com
동국대학교 문화콘텐츠과 조교수다. 서울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문화예술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CF, 뮤직비디오 포스트 프로덕션에서 에디터 및 디자이너로 활동하다가 차차 다양한 분야의 기획, 프로듀싱, 연출 등으로 활동 범위를 넓혀 나갔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영화 ‘오늘은’(2015)을 연출하였고, 연극 ‘떠나야할 땐’(2015)의 작·연출을 하였다. 온라인게임 ‘브리스톨 탐험대’의 그래픽디자인 총괄 프로듀서를 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디지털콘텐츠’의 의미 형성과정과 실체적 이해”(공저, 2008), “문화상품과 문화콘텐츠의 변별”(2010), “‘대중예술’이라는 용어의 문제점: 관념적 모순과 지시대상의 모호성을 중심으로”(2016), “영화의 공중전 장면에서 스펙타클 리얼리즘이 형상화 방식 연구”(2019), “문화적 기억의 특성들과 그 특성들의 상호작용: 얀 아스만과 알라이다 아스만의 논의를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이사, 콘텐츠문화학회 부회장, TJB대전방송 시청자위원, 대전문화재단 자문위원, 대전청년유니브연극제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임동욱 im.dong.uk@gmail.com
대구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겸임교수다. 한국외국어대에서 서사기호학 기반 지역 연구로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연구교수를 거쳤다. 현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문화매개, 예술융합, 로컬콘텐츠를 강의하고 있다. 과학신문 ≪사이언스타임스≫ 전문 기자를 거쳐 과학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저서로 『문화예술 미디에이션』(공저, 2018), 『프랑스의 지역문화 콘텐츠』(공저, 2018),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공저, 2016), 『지역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공저, 2016) 등이 있다.

태지호 tae7675@anu.ac.kr
국립안동대학교 사학과(역사문화콘텐츠 전공) 교수다. 역사문화콘텐츠, 영상문화, 매스커뮤니케이션 등을 강의하고 있다. 건국대학교 사학과(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석사), 서강대학교 영상미디어학과(박사)에서 공부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콘텐츠편찬실에서 근무했고, 호서대학교 문화기획학과에서 겸임교수 등을 거쳤다. 저서로 『기억문화연구』(2013), 『공간형콘텐츠』(2013), 『문화콘텐츠 기획 핸드북』(2019), 『커뮤니케이션 다시 읽기』(공저, 2015), 『영상 아포리아』(공저, 2019) 등이 있다.

<개정판 | 새로운 문화콘텐츠학>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