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서성광

    서성광 프로필

  • 경력 한국노동연구원 해외통신원

2025.02.25.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1986년생. 오사카경제대학 경제학부 전임강사. 히토츠바시대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을 마친 후, 올덴부르크 카를 폰 오시에츠키 종합대학교 철학연구과 객원 연구원,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객원 연구원 등을 거쳐 현직에 재임 중이다. 공저에는 『マルクスとエコロジ?─資本主義批判としての物質代謝論[마르크스와 에콜로지-자본주의 비판으로서의 물질대사론]』(2016), 논문으로는 ‘Die Zusammenfassung der burgerlichen Gesellschaft in der Staatsform. Zu Marx’ Theorie des Staats’, Marx-Engels-Jahrbuch 2017/18, 편저로는 Marx-Engels-Gesamtausgabe, IV. Abteilung Band 19(digital) 등이 있다. 전문 분야는 사회사상사, 현대 자본주의론, 비판이론이다./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재 계간 『마르크스주의 연구』 편집위원장, 국제학술지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편집위원,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과거에 한국사회경제학회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과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한국 경제』(2005), 『마르크스와 트로츠키』(2006), 『마르크스와 세계경제』(2015)가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2017), Varieties of Alteative Economic Systems(2017) ,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201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국제비교』(2010) 등이 있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형성 2』(2003),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2011),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2007), 『반자본주의 선언』(2003)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1986년생. 사이타마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과 박사과정 재학 중. 야마테비즈니스칼리지 시간강사 및 한국노동연구원 해외통신원. 전문 분야는 중앙은행론이다.

<국가에 대항하는 마르크스 : '정치의 타율성'에 대하여>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