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은수자 페오판 주교

    은수자 페오판 주교 프로필

2025.08.0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은수자 페오판 주교(Святитель Феофан Затворник, 1815∼1894)
19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대표적인 영성가이자 신학자다. 본명은 게오르기 바실리예비치 고보로프로, 사제 가문에서 태어나 키예프 신학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정교회 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그는 시리아와 예루살렘 등지에서의 외교 사역을 거쳐 블라디미르 교구 주교로 서품되었으며, 교육과 영적 지도에 힘썼다. 그러나 세속의 활동을 뒤로하고 은둔 생활을 선택, 비셴스키 수도원에서 28년간 기도와 묵상, 저술에 전념했다. 《영적 삶이란 무엇이며, 그것에 어떻게 이르나(Что есть духовная жизнь и как на неё настроиться)》, 《기도와 기도하는 마음에 대하여(О молитве и молитвенном настроении)》, 《구원의 길(Путь ко спасению)》 등 그의 글은 실천적이며 따뜻한 언어로 신자들에게 깊은 영적 감화를 주었다. 내면의 정화와 예수 기도를 중심으로 한 그의 가르침은 오늘날까지도 살아 있는 정교회 영성의 전범으로 평가받는다. 1988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김영숙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학 석사를, 모스크바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학 박사를 취득했다. 러시아 문학에 드러난 정교의 영향과 바흐틴 미학 공부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이반 세르게예비치 쉬멜료프의 〈주님의 해〉에 나타난 정교회력에 대해〉, 〈초기 바흐틴의 존재론과 정교적 인간관〉 등이 있다. 역서로는 《알타이의 민족들》, 《바흐찐과 기독교: 믿음의 감정》(공역) 등이 있다.

최동규
한국외국어대학에서 러시아 문학 석사를, 미시간 주립대에서 러시아 문학 박사를 취득했다. 부산대학교 노어노문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다. 저서로 《뚜르게네프 비교문학 비평연구》, 역서로 《투르게네프 : 아름다운 서정을 노래한 작가》 외 다수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투르게네프의 〈햄릿과 돈키호테〉에 나타난 인간관〉,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 나타난 케노시스적 삶의 구현〉 등이 있다.

최윤희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러시아 언어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기초 러시아어》, 《한 권으로 읽는 러시아 문화 예술》(공저), 《중급 러시아어》(공저), 《시사 러시아어》(공저)가 있다. 《바흐찐과 기독교: 믿음의 감정》, 《정교 신학 개론》 등을 공역했다. 러시아 문화와 언어에 미친 정교의 영향과 인지 언어학적 의미 고찰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허선화
고려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학 석사를,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문학 연구소에서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에서 러시아 문화와 예술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한 권으로 읽는 러시아 문화 예술》(공저)이 있으며, 역서로 《교회는 하나다》, 《러시아 신학의 여정》, 《교리 신학 연구》, 《카라마조프 형제들》, 《구식의 지주들》 등이 있다. 러시아 문학 속의 영성, 심리학, 여성의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홍대화
고려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학 석사를,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에서 문학 박사를 취득했다. 경남대학교에서 전임연구강사, 부산대학교에서 시간강사, 도서관 지혜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도스또예프스끼》 외 다수, 역서로 《죄와 벌》, 《거장과 마르가리따》, 《우리 시대의 영웅》, 《카라마조프 형제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닥터 지바고》 등이 있다. 러시아 문화에 나타난 악마주의 전통과 러시아 작가들의 종교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도브로토류비예, 선에 대한 사랑 1>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