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알비노스 Albinos

    알비노스 프로필

2025.10.1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서기 2세기 중반의 중기 플라톤주의 철학자이다. 그의 생몰 연대나 고향, 가족 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그에 관한 고대의 증언들을 종합해 보면, 그는 스뮈르나(오늘날 튀르키예의 이즈미르)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의사이자 플라톤주의자인 갈레노스가 그의 제자였다고 전한다. 알비노스는 『플라톤 대화편 입문』을 썼다고 하는데, 해당 저술은 소실되었고 오늘날에는 그 『서설』만이 남아 있다. 하지만 『서설』에 담긴 플라톤 대화편의 분류와 독서 순서에 관한 내용은 이후의 학설사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서기 2세기 무렵의 플라톤주의자로 알려져 있지만, 그 신원은 확실치 않다. 오히려 이 인물보다는 그 이름이 저자로 적혀 있는 『플라톤 사상 강의』라는 저술이 더 유명한데, 해당 작품은 고대로부터 전승된 플라톤 입문서들 가운데 가장 많이 읽힌 책이다. 한때 ‘알키노오스’가 사실은 ‘알비노스’의 오기라고 보아, 이 책의 저자를 알비노스로 여기는 해석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두 사람을 다른 인물로 보는 견해가 다수를 차지한다. 『강의』는 고대인들이 플라톤 철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했는지를 잘 보여 준다는 점에서 플라톤주의의 전통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숭실대학교 철학과(학사)와 대학원(석사)을 마치고 파리1대학 철학과에서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숭실대학교와 강릉 원주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오랫동안 소크라테스와 소크라테스학파의 전통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티마이오스』 번역을 계기로, 고대 우주론과 『티마이오스』의 주석 전통에 흥미를 가지고 연구를 시작했다. 역서로는 루이-앙드레 도리옹, 『소크라테스』(이학사, 2009), 장바티스트 구리나, 『스토아주의』(글항아리, 2016)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식물의 혼과 채식주의」(2015), 「플라톤 혼 이론의 재음미: 혼의 비이성적 부분에 관하여」(2017), 「메가라학파의 변증술 연구」(2017) 등이 있다.

<고대의 플라톤주의자들 1>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