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소개
이름: 궤도
과학을 대중에게 알기 쉽게 전달하는 대한민국 대표 과학 커뮤니케이터입니다. 연세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천문우주학을 전공,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인공위성 궤도를 연구했습니다. 청와대 과학기술 분야 정책자문위원과 서울예술대학교 겸임교수를 지냈고, DGIST 특임교수로서 과학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과학 커뮤니케이터로서 교양 및 예능 프로그램, 강연, 유튜브 등 과학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달려갑니다. 전국 기관에서 발사체, 인공지능, 양자역학 등 강연을 진행하며 과학적 소통 현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유 퀴즈 온 더 블럭], [데블스 플랜], [벌거벗은 세계사], [라디오스타], [전지적 참견 시점] 등의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침착맨], [라플위클리], [궤식가들]등 다양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대중들에게 과학의 재미를 널리 알렸습니다. 특히 채널A [브레인 아카데미], KBSN [AI토피아]에서 활약했고, EBS 교양 프로그램 [나의 두 번째 교과서]시즌 1에 출연해 호기심 넘치는 질문들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배운 과학 교과서를 재해석했습니다. 특히 누적 조회수 3억 뷰 돌파, 130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 [안될과학]의 메인 진행자를 맡아 어려워 보이는 과학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 전공자부터 '과포자’들에게까지 사랑받고 있습니다.
『궤도의 다시 만난 과학자』, 『과학이 필요한 시간』 등의 책을 통해 성인들이 과학을 쉽게 느낄 수 있도록 힘썼고, 이번에는 자라나는 새싹들을 과학의 팬으로 만들기 위해 돌아왔습니다.
이름: 남서윤
과학여행가 남서윤은 과학으로 로컬과 예술을 여행하는 문화기획자입니다. 33개국을 여행하며 얻은 영감으로 노마드사이언스(Nomad Science)를 설립해, 과학의 언어로 세상을 해석하고 지역문화와 예술과학을 새롭게 경험하는 융합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로컬 분야에서는 브랜딩과 테마 여행 기획을 통해 지역의 이야기를 발굴해 과학적으로 해설하고, 예술 분야에서는 〈춤추는 별빛〉 전시기획, 〈감각의 실험실〉 워크숍, 〈과학도슨트의 세계 미술관 여행〉, 〈제철 과학놀이터〉 등 과학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습니다. 유목민이 별을 읽어 길을 찾듯, 세상을 감각하며 과학으로 그 길을 걸어갑니다.
※ 그린이ㆍ사진 소개
이름: 김규택
이야기를 만나는 것은 늘 즐겁고 위안이 되는 일이었습니다. 이야기 속에서 받은 감정들을 더 풍성하게 전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 중입니다. 쓰고 그린 책으로는 『옛날 옛날』, 『세상에서 가장 큰 가마솥』이 있고, 그린 책으로는 『와우의 첫 책』, 『라면 먹는 개』, 『옹고집전』, 『서당 개 삼년이』, 『공룡개미 개미공룡』 등이 있습니다.
<궤도의 엉뚱한 과학책>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