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황병기

    황병기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36년 5월 31일
  • 학력 단국대학교 음악 명예박사
    서울대학교 법학과 학사
  • 경력 대한민국예술원 부회장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유니세프 문화예술인클럽 회장
    하버드대학 객원교수
    문화재전문위원회 위원
  • 수상 2010년 제21회 후쿠오카아시아문화상 대상
    2006년 제4회 타워상 전통예술부문
    2006년 제51회 대한민국예술원상 음악부문
    2004년 호암상 예술상
    2003년 제10회 방일영국악상
    2003년 은관문화훈장
    2001년 제15회 예총 예술문화상 음악부문 대상
  • 링크 공식 사이트

2014.10.31.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황병기黃秉冀는 1936년에 서울에서 태어났다. 1951년부터 국립국악원에서 가야금을 배우고, 1959년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자 그 해에 신설된 동 대학교 국악과에 4년간 출강하였다. 1962년 첫 가야금 창작곡인 《숲》을 내놓은 이후, 영화음악, 무용음악 등을 작곡해 창작국악의 지평을 열었다. 1965년 하와이에서 열린 ‘20세기음악예술제’에서 연주한 것을 시작으로 뉴욕 카네기홀을 비롯해 전 세계의 주요 공연장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쳤고, 각국에서 음반을 취입했다. 1990년 평양에서 열린 범민족통일음악회에 남측 대표로 참가했으며, 같은 해 서울에서 열린 ’90송년통일음악회 집행위원장으로 일했다. 1994년에는 국악의 해 조직위원장을, 2005년에는 광복60주년기념문화사업추진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6년부터 2011년까지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을 지냈다. 1974년부터 2001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한국음악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와 대한민국 예술원 음악분과 회원, 백남준문화재단 이사장이다. 1965년 국악상, 1973년 한국영화음악상, 1992년 중앙문화대상, 2004년 호암상, 2006 대한민국 예술원상, 2010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대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에는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대표 가야금 음반으로 《침향무》《비단길》《미궁》《춘설》《달하 노피곰》 등이 있고, 저서로는《깊은 밤, 그 가야금 소리》《가야금 선율에 흐르는 자유와 창조 - 황병기의 삶과 예술 세계》《오동 천년, 탄금 60년》 등이 있다.

<가야금 명인 황병기의 논어 백가락 >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