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2015.09.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
에든버러의 스코틀랜드계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데이비드 흄은 홀어머니 밑에서 자라고 교육받았다. 법률가 가정 출신에 교육열이 높았던 흄의 어머니는 흄이 법률가가 되기를 바랐으나, 그는 문학과 철학에 관심이 많았고, 25세에 대작 ≪인간 본성론(A Treatise of Human Nature)≫을 완성했다.
흄은 고위층과 더불어 생활할 기회가 많았고, 프랑스의 루소나 백과전서파 사람들과 교제하기도 했다. 5년간 장군의 비서로 일한 적도 있고, 프랑스에서 대리대사를 지내기도 했으며, 1767년부터 2년 동안 영국의 차관으로 지내기도 했다. 그는 프랑스 친구들에게는 ‘사람 좋은 데이비드(le bon David)’로, 영국인들에게는 ‘성자 데이비드(Saint David)’로 불릴 정도로 많은 사람에게 사랑을 받았다. 특히 애덤 스미스와는 절친한 사이였다. 흄은 역사와 도덕, 정치, 그리고 경제 등 다방면에 관심이 많았고, ≪영국사(History of Great Britain)≫는 대단한 명성과 부를 그에게 안겨 주기도 했다.
공직 생활을 마치고 에든버러로 돌아와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머물렀다. 흄의 대표 저서 중의 하나인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는 1750년경부터 죽을 때까지 수정을 거듭하며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779년 그의 조카에 의해 유고집으로 출판되었다.
김혜숙
건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아주대학교, 상명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저서로는 ≪셸링의 예술철학≫, ≪논리학의 이해≫, 역서로는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예술철학≫, 논문으로는 <셸링의 예술철학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 <셸링 자연철학에 있어서의 주관의 자기 전개>, <셸링의 예술철학에 대한 연구>, <셸링과 근대 합리론>, <셸링 사유에 있어서의 자유의 가능성으로서의 선과 악의 가능성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
<인간의 이해력에 관한 탐구>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