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소개 |
소강석
어린 시절, 황순원의 소나기 소년처럼 고무신을 신고 바람개비를 돌리며 자랐다. 지리산 자락 아래 한 학년에 두 반이 있는 시골학교에서 육영수 여사가 보내준 ≪어깨동무≫라는 어린이 잡지와 고전을 읽으면서 문학 감성을 키웠다. 웅변을 배운 적은 없지만 호소력 있는 목소리로 청중을 울리고 상을 받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타지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한 문학소녀를 만나러 처음으로 교회를 가게 되었고, 알퐁스 도데의 꼬마철학자처럼 순수한 문학 감성이 발화하였다. 그러다가 기독교 신앙에 푹 빠지게 되었다. 마침내 신적 소명을 받아 신학교에 가기로 결심한 후, 유교적 가풍이 유달리 강했던 아버지로부터 모진 매를 맞고 집에서 쫓겨났다. 풍운아처럼 밑바닥을 떠돌며 절대 고독의 광야에서 자신을 부른 임에 대한 사랑과 열정의 꽃을 피웠다.
그는 맨바닥에서 기적 같은 교회 부흥을 이루어 4만여 명의 신도시 대형교회 목회자가 되었으며, 국민일보를 비롯하여 교계 언론과 중앙일간지에 수많은 글을 썼다. 급기야 글쓰기 책 ≪영혼의 글쓰기≫를 저술했을 뿐만 아니라 조선일보 에세이와 매일경제 칼럼을 쓰면서 교회의 담을 넘어 세상과 소통하는 저널리스트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2006년 한국기독교출판문화 최우수상 수상작인 ≪신정주의 교회를 회복하라≫를 비롯하여 35권의 책과 시집 6권을 출간하였다.
목회 활동뿐만 아니라 애국적 민간외교 활동을 인정받아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하였다. 큰 교회보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아픔을 보듬고 치유하는 생활 목회와 민족과 역사를 향한 사회적 책임과 환원 사역을 통하여 한국교회의 새로운 길을 여는 다음 시대 지도자로 주목받고 있다.
<꽃씨 심는 남자>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