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서현

    김서현 프로필

  • 학력 KAIST 대학원 시지각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 인지과학
  • 경력 (주) 기술과 가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12.2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실장, 정책기획실장 등을 거쳐 현재 창조경제혁신센터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2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정보통신융합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무조정실 신산업투자위원회 신서비스분과위원장,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 고용노동부 국가기술자격 전문위원(인간공학 및 안전 분야), 사물인터넷실증사업추진단 경제활성화-법제도 자문위원, 테크M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인간공학기술사로 일본 자동차연구소 방문연구원, 현대모비스 연구소 Human-Machine Interface 팀장을 담당하며 인간 중심의 자동차 설계와 평가에 대한 연구개발 실무와 양산을 경험했다. 특히 자동주행시스템 등 자동화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하면서 첨단 미래기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으로 이직해 과학기술정책 연구자로 전환하면서 그간의 실무경험과 함께 미래기술이 경제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본격적 고민을 시작했고, 다수의 논문 및 보고서들과 함께 이러한 고민들을 담은 《초연결시대-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실장, 정책기획실장 등을 거쳐 현재 창조경제혁신센터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2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정보통신융합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무조정실 신산업투자위원회 신서비스분과위원장,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 고용노동부 국가기술자격 전문위원(인간공학 및 안전 분야), 사물인터넷실증사업추진단 경제활성화-법제도 자문위원, 테크M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인간공학기술사로 일본 자동차연구소 방문연구원, 현대모비스 연구소 Human-Machine Interface 팀장을 담당하며 인간 중심의 자동차 설계와 평가에 대한 연구개발 실무와 양산을 경험했다. 특히 자동주행시스템 등 자동화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하면서 첨단 미래기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으로 이직해 과학기술정책 연구자로 전환하면서 그간의 실무경험과 함께 미래기술이 경제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본격적 고민을 시작했고, 다수의 논문 및 보고서들과 함께 이러한 고민들을 담은 《초연결시대-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미래》(2015), 《KISTEP 미래한국보고서》(2015), 《창조경제》(2013), 《숨은 창의 살리기》(2013) 등을 공저했고, 《정글의 법칙-실리콘벨리의 7가지 성공비결》(2013)을 공역했다.
YTN 《사과나무》, 《ICT 포커스》, KBS 《여유만만》, 《차정인의 티타임》, MBC 《경제매거진M》, tvn 《젠틀맨리그》 등 TV와 라디오 프로그램 등에 출연했고, 현재 머니투데이에 《차두원의 럭키백》을 연재하고 있다. 세계전략포럼, DDP 포럼, 매경 미래직업포럼, 진로교육포럼, 서울포럼, 서울시 공유경제 활성화 토론회 등의 발표를 통해 과학기술과 사회, 대중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올바른 이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직장인으로서 4차 산업혁명 기술들로 새롭게 등장한 사이버물리시스템 속에서 생활과 업무, 교육의 공간과 형태가 어떻게 변하고,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미래 기술들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에도 깊은 이해와 관심을 갖고 있다.

저자 - 김서현
인간의 감각과 지각 과정에 관심이 많고 과학적 방법론과 인문학이 결합된 심리학에 매료되어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인지과학을 전공했다. 졸업 후 KAIST 대학원에 입학하여 인지과학연 구실에서 시지각을 연구하였으며, 입체영상과 입체음향의 상호작용이 인간의 지각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졸업 후에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R&D평가센터 및 전략기획실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컨설팅회사 ㈜기술과가치에 입사하여 전략기획, 컨설팅 업무를 수행 중이다.

감수 - 김홍석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동 대학원 제어계측공학과를 졸업했다. 박사학위 수여 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입원하여 로봇종합 지원센터장, 융복합연구본부장 등을 거쳐, 현재 청정생산시스템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정부가 서비스로봇에 관심을 쏟기 시작한 2000년대 초 국내 최초 서비스로봇 연구과제인 ‘퍼스널로봇기반기술개발’ 과제를 기획 및 수행하였고, 국내 최초 로봇산업 정책 자료인 ‘지능형로봇산업 비전과 발전전략’(2005년 12월) 수립의 중심역할을 하였다. 차세대성장동력 ‘지능형로봇사업단’의 2대 사업 단장을 역임하면서(2006~2009) 로봇특별법 제정 등을 위해 노력했고, 동 법에 기반을 둔 제1차 로봇기본계획 수립에 중심 역할을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설립(2010년 7월 창립)을 지원하였다. 최근에는 국내 인공지능기술의 산업적용이 시급함을 인식하여, 제조환경의 조립·검사를 위한 ‘로봇판단지능기술’(2014~2019),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제조융합기술’(2015~2018) 등의 과제기획과 총괄책임을 맡아 수행 중이다.

<잡 킬러>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