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신재식

    신재식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드루대학교대학원 철학 박사
    드루대학교대학원 신학 석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역학 석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학사
  • 경력 호남신학대학교 신학과 교수
  • 수상 1999년 템플턴재단 과학과 종교 교육 프로그램

2014.11.2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 신재식
호남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거쳐 드루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현재 세계교회협의회 신앙과직제위원회 위원(2015-2023)으로 활동하고 있다. 생태신학, 기독교와 과학, 에큐메니컬 신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예수와 다윈의 동행』, 『종교전쟁』,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 신앙과 이성 사이에서』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마지널리티』, 『에큐메니컬 선교학』(공역) 외 다수의 논문과 역서가 있다.

• 박성국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신학박사를 취득한 후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신학 및 선교 국장(Faith & Mission),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총회 총회지원국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본부 국제협력선교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에큐메니컬 운동 전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실무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Mission at the Roundtable of God's Mission: Mission in the Asian Con\-text of Plurality and Diversity”, 「한-일간의 과거사 청산과 극복 그리고 화해」, 「WCC 제10차 부산총회 이후 신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 김상덕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기사연) 연구실장으로 재직 중이며 명지대학교와 성결대학교 등에서 가르치고 있다.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에서 평화를 위한 언론사진의 역할을 공공신학적 관점으로 다룬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다양한 사회 갈등의 문제들을 문화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평화와 화해를 위한 교회의 공적 역할과 창조적 실천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공저 『대중문화와 영성』, 『더불어 함께하는 평화교육』, 『평화의 신학』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 손원영
연세대학교 신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기독교교육으로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서울기독대학교 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종교교육학회 부회장, 종교평화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 『프락시스와 기독교 교육과정』, 『기독교문화교육과 주일교회학교』, 『영성과 교육』, 『한국문화와 영성의 기독교교육』, 『연꽃십자가』, 『내가 꿈꾸는 교회』 등 다수가 있다.

• 이은경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거쳐 독일 튀빙엔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Dr. rer. soc.)를 취득 했다. 현재 감리교신학대학교 연구교수, 감리교생태목회연구소 책임연구원로 재직 중이며, 인간기술공생네트워크(HTSN)에서 활동하고 있다. 기술발달 시대 인간과 기술의 공생 그리고 생태계 위기 시대 지구행성적 공생을 위한 사물-되기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 중에 있다. 공저로 『생태사물신학』, Suffering and Evil in Nature: Comparative Responses from Ecstatic Naturalism and Healing Cultures 외 다수가 있으며, 「기호자본주의 시대 마음의 오작동과 몸을 통한 치유가능성 - 성육신적 신학과 신앙감수성」 외 다수의 논문과 역서가 있다.

• 최유진
장로회신학대학교와 동 대학원(B.A., M.Div., Th.M.), 프린스톤신학대학원(Th.M.)을 거쳐 게렛신학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현 호남신학대학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시아여성신학, 탈성장, 재생산권에 관심을 갖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공저 『혐오와 여성신학』 외 다수의 역서와 논문이 있다.

• 김혜령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에서 기독교 윤리로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이화여자대학교 호크마교양대학에 재직 중이며 나눔, 인권, 생명 등을 주제로 인성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사회와 교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다양한 소수자 차별과 혐오 현상을 여성주의 신학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찾는 연구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 논문으로는 「폴 리쾨르의 ‘선물경제’ 개념으로 살펴본 사랑과 정의」, 「Me too의 시대 - 성폭력의 범죄성과 기독교 성윤리의 새기준」, 「성소수자 혐오의 혐오성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의 비판적 논증」 외 다수가 있다.

• 송진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신약성서학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고 동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신학위원,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의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인문학적으로 성서를 읽고 소통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공저로는 『혐오와 여성신학』, 『혐오의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 『기후위기, 한국교회에 묻는다』, 『코로나19와 한국교회의 사회인식』 외 다수가 있고, 그 외 성서학과 여성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역서들이 있다.

• 허주미
스위스 보세이에큐메니칼연구소의 에큐메니칼 선교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2년부터 독일 요한네스 쿠텐베르크 마인츠 대학(JGU, Johannes Gutenberg University Mainz)의 개신교 신학부의 비교종교학 및 선교학과에서 학술교원(Wissenschaftliche Mitarbeiterin)으로 6년 동안 강의했다. 상호문화신학과 해석학, 세계종교, 미학 등에 관심을 가지며,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읽는 로안과 룻의 이야기”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 정병준
장로회신학대학교와 동 신학대학원, 프린스턴신학대학원을 거쳐 멜버른 신학대학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세계선교협의회(CWM) 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서울장신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교회사와 에큐메니칼운동사 전반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 영성산책』, 『소죽 강신명 목사의 생애와 사상』, 『한 권으로 읽는 기독교 역사와 사상』, 『호주장로회 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한국선교 1889-1942』, 역서로는 『에큐메니칼 선교학』,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 외 다수가 있다.

• 신익상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후 감리교신학대학교(M.Div)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종교철학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열린교양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소장, 기후위기기독교신학포럼 운영위원장, 한국기독교교양학회 회계로 활동하고 있다. 종교와 과학, 종교간 대화, 토착화신학, 민중신학, 정치신학, 생태(신)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바울 해석과 한국 사회 주변부』, 『낮은 곳에서 열리는 삶, 종교』 외 다수의 역서와 논문이 있다.

• 조민아
미국 듀크대학에서 석사, 에모리대학에서 박사학위(Ph.D)를 취득한 후 미국 워싱턴 DC의 조지타운 대학에서 Assistant Teaching Professor로 재직 중이다. 구성신학과 영성을 가르치며 중세여성신비주의, 신학과 문학, 여성신학, 탈식민주의신학, 트랜스내셔널리즘, 아시안/아시안-아메리칸 종교와 정치, 문화에 관심이 있다. 공저로는 Leading Wisdom, Theologies of Failure, 『21세기 세계여성신학의 동향』, 『사회적영성』, 『혐오와 한국교회』, 『바이러스에 걸린 교회』, 『당신들의 신국: 한국사회의 보수주의와 그리스도교』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 금주섭
장로회신학대학교와 동 신학대학원을 거쳐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세계선교협의회(CWM) 선교기획국장, 세계교회협의회(WCC) 세계선교와전도위원회(CWME) 총무를 역임하고 모교 장로회신학대학교 특임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세계선교협의회 총무로 재직 중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텔렌보쉬대학교 연구교수, 에든버러대학교 초빙교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From Achimota to Arusha: An Ecumenical Journey of Mission in Africa, Ecu\-menical Missiology: Changing Landscapes, Together towards Life: Mission and Evangelism in Changing Landscapes, with a Practical Guide 외 다수의 저술과 논문이 있다.

<한국의 에큐메니컬 신학>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