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복진

    한복진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경력 2000년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교수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이수자
    조리기능장 취득자

2018.01.1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 : 한복려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기능보유자이자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이사장이다. 조선 왕조 마지막 주방 상궁에게 궁중 음식을 전수받아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한국 음식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큰 공을 세운 고(故) 황혜성 교수의 장녀이기도 하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에게 음식을 전수받았고 전통 음식의 학문적 연구와 조리 기능 전수에 정진하고 있다.
2000년부터 국가 주요 행사에서 메뉴를 자문했으며 2004년 MBC 드라마 「대장금」에서 궁중 음식 자문과 제작을 맡아 전 세계에 한식을 알리는 중추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1960년대부터는 국가 전수생으로 궁중 음식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50여 년간 궁중 음식 전수 교육과 재현, 관련 연구서 저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한국 음식 문화의 원형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힘썼다.
지은 책으로 『조선왕조 궁중음식』,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한국인의 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김치 백가지』,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떡』, 『떡과 과자』, 『혼례』, 『다시 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 『다시 보고 배우는 산가요록』 외 다수 있다.


저자 : 한복진

고(故) 황혜성 교수의 삼녀로 어머니에게 궁중 음식을 전수받았다.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이수자이자 국가 조리 기술 자격인 '조리기능장' 취득자이다. 일본 조리사전문학교, 한림정보산업대학 교수,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 객원교수를 역임하였고, 외식 업체와 식품 회사의 자문 활동을 했다. 2000년부터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전통 음식』, 『팔도 음식』, 『조선시대 궁중의 식생활문화』, 『우리 생활 100년, 음식』,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음식 백가지』,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왕조 궁중음식』, 『국역 증보산림경제』, 『우리음식의 맛을 만나다』, 『한국음식문화와 콘텐츠』,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한국인의 장』 등 20여 권이 있으며, 궁중 음식, 궁중 의궤, 고조리서, 식생활 역사, 식생활 문화 관련 논문 50여 편이 있다.


저자 : 이소영

2002년부터 궁중음식연구원에서 궁중 음식과 고조리서, 전통 음식 등의 전수 강좌에서 조교 및 강사 역할을 담당하며 학예연구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전수자이다. 천안연암대학교, 장안대학교 겸임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여러 대학에서 한국 음식 문화사, 조리 문헌 연구 등의 강의를 하고 있다.
『산가요록』, 『잡지』 등 고조리서를 번역하고 음식을 재현하는 출판 프로젝트의 책임 연구를 맡고 있으며, 「「내외진연등록(內外進宴謄錄)」을 통해 본 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고찰」,「삭망다례등록(朔望茶禮謄錄)에 기록된 궁중음식에 관한 분석적 고찰」 등 궁중 음식 관련 논문도 발표했다

<음식 고전>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