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진경

    이진경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67년

2018.04.03.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글 최상일
1957년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어요.
문화방송(MBC)에 1981년 입사한 뒤, 1989년부터 10여 년 간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수많은 토속민요를 녹음해서 《한국민요대전》(CD 103장과 해설집 9권)을 발간했고, 2003년에는 북한민요 자료를 입수해서 《북한민요전집》(CD 10장)을 발간했어요. 1991년에 특집프로그램 「풍물굿」으로 ‘ABU 방송문화상’을 수상했고, 1995년에는 「한국민요대전」 프로젝트로 ‘한국방송대상’을 수상했어요.
2002년에 어른들을 위한 토속민요 해설서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1·2권)를 펴냈고, 2009년에는 산촌생활의 역사를 기록한 《백두대간 민속기행》(1·2권)을 펴냈어요.
현재 MBC 라디오본부에서 ‘세계의 전통음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고,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에서 전통문화에 관한 강의도 하고 있어요. 인터넷에서는 MBC 민요 사이트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www.urisori.co.kr)’와, ‘우리소리연구소’ 블로그(http://blog.daum.net/sichoi2)와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woorisori.lab)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림 이진경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나 지금은 강원도 홍천에서 작업하고 살고 있습니다.
금호미술관, 테이크 아웃 드로잉, 도쿄 현대미술관, 예술의전당, 성곡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등에서 여러 번의 개인전과 단체전이 있었습니다. 2002년부터는 인사동 ‘쌈지길’의 아트디렉터로 활동하며 심벌과 공간 디자인은 물론 서체까지 개발하였습니다. ‘이진경체’를 보면 글씨가 말을 한다, 글씨에서 소리가 들린다, 착한 말을 하는 글씨라고 느낍니다.
이진경 작가의 첫 번째 어린이 책 《어야디야차 우리 소리에 풍덩실 빠져보자》는 민요를 들으며 그려 냈습니다. 어린이들을 위해서 한지에 반듯하고 밝게 그린 그림은 수더분하고 따뜻하며 평범하고도 특별합니다. 삶과 생활이 노래와 함께했고 일하는 사람이 주인이었던 때를 보여주는 게 민요이므로 오늘날 어린이들도 노래를 하며 삶과 생활의 주인이 되길 바라는 마음까지 담아 그림을 그렸습니다.
평소에도 민요에 대한 애정이 커서 민요가 사라지는 것은 멸종되는 동식물을 지키려는 노력과 같아야 막을 수 있다며, 민요를 알고, 사랑하고, 보호해야 한다고 단정하지만 단호하게 말합니다.

<어야디야차 우리 소리에 풍덩실 빠져보자> 저자 소개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