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조성배

    조성배 프로필

  • 학력 KAIST 전산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전산과학과
  • 경력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한국정보과학회 부회장
    한국BI데이터마이닝학회 회장

2018.08.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기획

정재승(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뇌를 연구하는 물리학자이자 뇌공학자. KAIST에서 물리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복잡계 모델링 방법을 적용한 알츠하이머 치매 대뇌 모델링 및 증세 예측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대학교 의대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컬럼비아대학교 의대 정신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및 문술미래전략대학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의사결정 신경과학이며, 이를 바탕으로 정 신질환 대뇌모델링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 뇌기반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열두 발자국》,《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등이 있고, 2009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차세대 글로벌 리더’로 선정된 바 있다.

SK경영경제연구소
국내외 정치·경제·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해 미래 경영환경을 진단하고 기업과 사회의 가치혁신을 창출하기 위해 2002년 6월 설립된 SK그룹의 싱크탱크

지은이 (본문 수록순)

오준호(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버클리대학교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를 개발하여 벤처기업대상 중소기업청장상, 올해의 KAIST인 상을 수상했다. 2006년 정보통신부장관 표창을, 2007년 과학기술부 선정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으며 2009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2010년 KAIST 연구대상을 수상했으며 2013년부터 2014년까지 KAIST 대외부총장을 역임했다. 휴보로 2015년 세계 재난구조로봇대회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에서 우승했다. 현재 KAIST에서 기계공학과 교수 겸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소장으로 일하며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

임창환(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미네소타주립대학교 의공학과 연구원과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조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현재까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간의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젊은 뇌공학자로서 공학 문화의 확산과 과학 대중화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뇌를 바꾼 공학, 공학을 바꾼 뇌》, 《바이오닉맨》 등이 있다.

우운택(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USC에서 전기공학과 시스템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동우(POSTECH 기계공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취득했다. 1986년부터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포항공과대학교 부설연구소 창의적연구진흥사업단 쾌속조형기반 조직/장기 프린팅 연구 단장을 역임하였다. 2015년 포항공과대학교 남고석좌교수로 추대되었다.

선우명호(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특훈교수)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를 졸업했다.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에서 전기공학 석사과정을 밟았으며 오클랜드대학교에서 시스템공학 박사를 취득했다. 제네럴모터스(General Motors)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다 1993년부터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자동차공학회(SAE) 석좌회원(Fellow), 한양대학교 경영부총장, 제28차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EVS28) 대회장, 세계전기자동차협회(WEVA) 회장, 미래부·산업부·국토부 공동 주관 미래성장동력 스마트자동차 추진단장,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자문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장화진(한국 IBM 대표이사 사장)
한국IBM 대표이사 사장. 프린스턴대학교에서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 학사 학위를, 스탠퍼드대학교에서 기계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애자일 소프트웨어(현 오라클)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부사장을, 삼성SDS에서 분석IoT사업팀장, 스마트타운사업부장, 글로벌사업본부장 등을 역임했고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삼성 SDS 지역 총괄 및 전무로 임명되어 유럽, 러시아, 중동, 아프리카 및 인도 지역에서의 비즈니스를 총괄했다. 현재 한국IBM 대표이사 사장으로 클라우드, 블록체인, 인공지능, 퀀텀 컴퓨팅 등 미래 핵심 기술 사업을 이끌고 있다.

정재승(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뇌를 연구하는 물리학자이자 뇌공학자. KAIST에서 물리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복잡계 모델링 방법을 적용한 알츠하이머 치매 대뇌 모델링 및 증세 예측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대학교 의대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컬럼비아대학교 의대 정신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및 문술미래전략대학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의사결정 신경과학이며, 이를 바탕으로 정 신질환 대뇌모델링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 뇌기반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열두 발자국》,《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등이 있고, 2009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차세대 글로벌 리더’로 선정된 바 있다.

조성배(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전산과학과를 졸업하고 KAIST 전산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ATR 인간정보통신연구소 연구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방문교수,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한국뇌공학회와 한국인지과학회 부회장으로 있다. 저서로 《왜 인공지능이 문제일까?》 등이 있다.

정지훈(모두의연구소 최고비전책임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에서 보건정책관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의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우리들병원 생명과학기술연구소장, 명지병원 IT융합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다음세대재단 이사,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디어영상홍보전공 선임강의교수, 모두의연구소 최고비전 책임자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거의 모든 IT의 역사》, 《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내 아이가 만날 미래》, 《무엇이 세상을 바꿀 것인가》, 《미래 자동차: 모빌리티 혁명》 등이 있다.

이용덕(드림앤퓨처랩스 대표)
다국적 반도체·IT 기업에서 30여 년간 커리어를 쌓았다. 엔비디아 코리아 지사장, 브로드컴 코리아 지사장, 레져리티 코리아 지사장 등 20년을 한국 IT 마켓 전문가로 활동했다. 현재 드림앤퓨처랩스 대표로 한국의 스타트업 육성과 고등학생, 대학생들을 위한 멘토링을 하고 있다.

이승건(비바리퍼블리카(토스) 대표)
서울대학교 치의학과를 졸업했다. 간편 송금 서비스 ‘토스’를 만든 비바리퍼블리카를 설립했으며, 현재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2018년 국내 핀테크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이상현(前 에어비앤비 정책총괄 대표, 現 구글 아시아 태평양 코어 프로덕트 총괄)
미국 에머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MBA)를,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공공행정학 석사 학위(MPA)를 취득했다. 미국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SSGA)와 구글을 거쳐 2015년부터 에어비앤비 정책총괄 대표를 역임하였으며 한양대학교 국제학부와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겸임 교수를 지냈다. 2019년 7월부터 구글 아시아 태평양 코어 프로덕트 총괄(Head of Core Products, APAC)을 맡고 있다. 공유경제가 지역 사회에 가져오는 경제적 이익과 플랫폼을 통한 민주적인 여행을 널리 알린 공로로, 아시아 소사이어티(Asia Society)로부터 아시아 21 영 리더(Asia 21 Young Leader)로 선정된 바 있으며, 정부 3.0 추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

임정욱(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미션을 가진 스타트업얼라이언스의 센터장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UC버클리에서 MBA 학위를 취득했다. 조선일보 IT담당 기자로 커리어를 시작해 조선일보JNS 대표, 다음커뮤니케이션 본부장, 미국 라이코스 CEO로 한국, 일본, 미국을 오가며 일했다. 실리콘밸리를 비롯해 전 세계의 스타트업생태계를 가까이서 관찰해왔다.

김종환(블로코 공동창업자·상임고문)
블로코 공동 창업자이자 상임고문. 하지만 본인은 블록체인 업계 ‘고인물’로 불리길 원한다. 연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처음 비트코인을 만나 거래소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처음 창업한 BTC Korea를 이른 시기에 매각하고 두 번째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블로코에서 대표직을 수행하다가 지금은 은퇴 후 산업을 위한 제반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인 4차 산업 혁신위원회의 산업 경제 분과 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전문 위원, 금융위원회 블록체인 준비 TF 등에서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탈중앙화 ‘Peer’ 중 하나다.

이민화(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를, KAIST에서 전기 및 전자공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 한국 벤처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의료기 벤처기업 메디슨을 설립했다. 산업계 최고 훈장인 금탑산업훈장과 한국경영자 대상을 수상했고 한국을 일으킨 엔지니어 60인, 한국의 100대 기술인 등으로 선정되었다.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 창조경제 연구회 이사장,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협력하는 괴짜》, 《스마트 자본주의 5.0》(공저),《기술의 대융합》(공저) 등이 있다.

<혁신의 목격자들> 저자 소개

조성배 작품 총 3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