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 상세페이지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작품 소개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 TV 속의 사회
TV의 등장. 생활 리듬이 바뀌었다. 아니, 일상이 변했다. 가장 큰 변화는? 사람들이 TV로 세상을 보고, 세상을 읽는다는 것. 그러나 끊임없이 우리의 삶을 모니터링하는 TV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다. 오히려 개조한다. TV로 보는 것은 고로 ‘매개된 현실’이다. 이 개조된, 매개된 현실이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은 이내 확대돼 한 사회의 경험과 커뮤니케이션을 변화시킨다. 저자들이 텔레비전에 천착하는 이유다.

시청자의 위치
그들은 국민이었다. 그러다 공민(public citizen)으로, 다시 소비자로 전환되었다. TV는 대중문화를 양산했고, 사람들은 그에 맞춰 취향을 만들었다(책에선 대중음악이 거론된다). 대중사회가 사그라지자 시청자도 해체되었다. 일부는 능동적으로 변모했다. TV가 걷어 낸 인쇄 문화의 자리엔 영상 문화가 들어앉았다. 모든 콘텐츠에 비주얼이 요구되는 시대, 영상 문화는 계속 그 힘을 강고히 한다. 감성 중심의 문화가 대세를 이룬다.

저널리즘의 재구성
저널리즘은 현대사를 고스란히 반영한다. 정치권력의 언론통제는 ‘땡전 뉴스’를 빚어낸다. 1987년 민주화로 사회 감시를 하게 되나,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아 시장 경쟁에 휩싸인다.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영향력은 더욱더 축소되고, 소셜 미디어까지 확산되자 방송의 권위와 신뢰성은 또 다른 도전을 받는다.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는 방송 저널리즘을 계속해서 재구성시킨다. 방송인의 역할과 직업윤리도 변화될 것을 요구받는다.


저자 프로필

김병희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한양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1986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 경력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제15대 한국 PR학회 회장
    한국광고PR실학회 편집위원장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광고학과 교환교수
    선연 크리에이티브디렉터
  • 수상 2012년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
    2011년 한국갤럽학술상 대상

2015.01.15.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김병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저서에 「창의성을 키우는 통섭 광고학」 시리즈(전5권), 「한국 광고회사의 형성: 구술사로 고쳐 쓴 광고의 역사」 외 10여 권이 있다. 그동안 “광고 창의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 “미시사적 관점에서 본 근대 광고의 근대성 메시지 분석”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갤럽과 한국조사연구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2011 한국갤럽 학술논문상’ 대상을 수상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미디어별 광고 창의성 효과 측정 연구와 광고사 관련 주제들이다.
kimthomas@hanmail.net

김영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저서로 「한국 사회의 미디어 출현과 수용: 1880~1980」(2010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0년 한국언론학회 학술상(저술상) 수상), 「한국 현대 언론인 열전」(공저), 「한국 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공저), 「광복과 한국 현대 언론의 형성」(공저) 등이 있고, “제1공화국 초기 이승만정부 공보선전활동의 성격”, “한국전쟁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점령지역 선전선동사업”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역사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properk@daum.net

마동훈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다. 저서로 「세계화의 문화정치학」(공저), 「방송론」(공저), 「미디어와 사회」(공저), 「지역방송 뉴스연구」(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방송의 세계화와 문화정체성」(공역)이 있다. “뉴미디어와 일상생활”, “뉴미디어, 일상생활, 사회이론”, “문화이론, 문화연구, 미디어연구”, “푸코의 지식과 권력”, “21세기 한국 사회의 호가트”, “웹2.0의 문화정치학”, “초기 라디오와 근대적 일상”, “성적 응시와 재매개”, “일본에서의 겨울연가와 동아시아 공동체”, “한국방송 초기 아나운서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문화이론에서의 권력과 지식의 문제, 미디어 대중문화에 대한 미시사적 접근, 근대성과 탈식민성 맥락에서의 문화 연구가 주요 연구 분야다.
dhma@korea.ac.kr

백미숙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연구교수다. 저서로 「한국의 미디어사회 문화사」(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방송사 연구에서 구술사 방법론의 활용과 사료의 비판적 사용에 관해”(2009), “문화적 냉전과 최초의 텔레비전 HLKZ”(2007) 등이 있다. 미디어 테크놀로지 및 커뮤니케이션의 사회 문화사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mbaek03@hanmail.net

원용진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저서로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PD저널리즘」,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현대 대중문화의 형성」, 「텔레비전 비평론」, 「광고문화비평」 등이 있고, 역서로 「8월 15일의 신화」가 있다. “화폐읽기”, “동아시아의 종전기념일”, “인터넷 공론장의 현실적 기술을 위한 이론적 제안”, “지역방송 연구의 경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중문화, 문화연구, 미디어론, 방송문화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yongjin@sogang.ac.kr

윤상길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2010/2011년도 한국연구재단 박사 후 국내 연수)이다. 저서로 「한국의 미디어사회 문화사」(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1960년대 초 한국 유선 라디오 방송제도의 성립과 발전”, “일제강점기 전화 교환 시스템의 구성과 교환노동의 표준화 및 성별화”, “개항 이후 1910년대까지 인천지역사회 내 광고의 사회제도적 의미”, “한국의 지역사회와 지역 커뮤니케이션 구조”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로 미디어테크놀로지의 사회 문화적 측면과 지역적 수용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cyrus92@naver.com

최이숙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강의전담교수다. “산업화 시기(1961~1987) 성별화된 언론노동시장과 여성언론인의 경력이동”, “산업화 시기(1961~1987) 경성 뉴스담당 여성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Claiming feminist spce in Korean cyberterritory”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여성주의 시각에 근거한 저널리즘 및 문화연구, 언론사가 주요 연구 분야다.
socio21@gmail.com, yschoi@dau.ac.kr

한진만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저서로 「한국방송의 이해」, 「방송편성의 이론과 실제」, 「방송학개론」, 「지역미디어」,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이해」, 「한국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 「디지털 시대의 방송편성론」, 「방송편성론」, 「한국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역사적 연구」,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외 다수가 있으며, 연구보고서로는 「지상파TV 편성분석 및 운용허용시간 정책방안 연구」, 「방송의 공정성 심의를 위한 연구」, 「지상파방송 광고판매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방송 환경 변화와 지역방송 활성화 방안」, 「KBS 방송의 공정성 연구」, 「지역방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개편 및 매체전략 방안연구」, 「민영미디어렙 및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지역방송 대응방안 연구」 외 다수가 있다. 그리고 “방송 환경 변화와 지상파 텔레비전 편성의 다양성 변화”, “방송통신융합시대의 방송정책 방향에 관한 논의”,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의 낮 방송 시간 확대에 따른 편성의 변화”, “지역방송의 정체성과 지역프로그램”, “라디오 방송과 오디오 방송의 현황과 미래”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방송현상과 방송편성, 그리고 방송정책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hjmn@kangwon.ac.kr

목차

발간사
서문 |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방송 50년 – 김영희

1부 방송 테크놀로지와 수용자, 프로그램 편성
1 한국 텔레비전 방송 기술의 사회 문화사 – 윤상길
2 한국 텔레비전 방송 시청자의 형성과 성격: 1962∼1964년의 ‘국민’, ‘공민’, 그리고 ‘소비자’의 경험 – 마동훈
3 한국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추이와 특성 – 한진만

2부 방송 저널리즘과 방송의 교육적 역할
4 TV 방송 50년의 자화상: 한국 TV 저널리즘의 변천 – 최이숙
5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교육·계몽적 역할과 내용 규제의 역사, 1963∼1987 – 백미숙

3부 텔레비전 방송과 대중문화, 광고
6 한국 텔레비전 50년과 대중문화: 텔레비전과 대중음악 간 관계를 중심으로 – 원용진
7 한국 텔레비전 방송 광고 50년의 흐름과 특성 – 김병희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