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창숙 수필선집 상세페이지

김창숙 수필선집작품 소개

<김창숙 수필선집> ‘한국수필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수필을 대표하는 주요 수필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김창숙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해방기의 혼란스러운 정국을 온몸으로 살아 냈다고 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다. 1879년에 태어나 1962년 사망한 그는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어지럽고 급변했던 시기를 살았다. 중심을 잃고 휩쓸리기 쉬웠던 시기였지만 유학자로서의 지조를 잃지 않았고, 뜻을 행동으로 옮기기에 주저함이 없었던 실천적 지사였다.
이처럼 정치인이나 교육자로서 명망이 높은 김창숙은 시(詩) 262제(題) 410수(首)를 비롯해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긴 문학인이기도 하다.
이번 수필선에는 그동안 꺾이지 않는 기개와 의연함으로만 알려져 왔던 김창숙의 다른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서간문이 실려 있다. 가까운 이들에게 보낸 서간문에는 모진 고문으로 하반신 장애를 얻게 된 자신의 처지에 대한 비관이나 가족에 대한 애틋함 등 김창숙의 사적이고 내밀한 감정이 담겨 있다. 격식을 갖춘 의고체의 문장 사이사이 정갈하고 섬세한 필치를 엿볼 수 있다. 유구한 전통을 이어 온 유학 사상을 경직되게 고수하지 않고 개혁적이고 실천적인 사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시대가 요구하는 행동을 몸소 보여 준 김창숙의 신념과 행적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적 가치 또한 지니고 있다.



저자 소개

심산(心山) 김창숙은 1879년 7월 10일 경북 성주군 대가면 사월리에서 출생했다. 아버지 김호림은 시대의 변화를 도외시하지 않고 유학의 실천적 의미를 강조해 김창숙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동학 농민 전쟁 당시 동학군을 존중했고 단발령이 내렸을 때에는 크게 반발해 의병 봉기를 도모하기도 했다.
김창숙은 아버지가 돌아가시던 1898년경부터 배움에 뜻을 두어 이종기, 곽종석, 이승희 등으로부터 학문적 가르침을 받았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되었을 때에는 스승 이승희와 함께 상경해 ‘을사오적’ 처단과 늑약 파기를 주장하는 상소 운동을 펼쳤다. 일진회가 한일 합병론을 주장하자 동지들을 규합해 중추원에 그들을 성토하는 글을 올리고 대한협회 성주 지부를 조직해 당시 고루한 선비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급 타파를 주창하기도 했으며 고향에 사립 성명학교를 건립해 신교육을 꾀하기도 했다. 1907년 국채 보상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자 스승 이승희가 성주 지역에서 주도적으로 운동을 이끌었고 1908년 이승희가 망명하자 김창숙이 스승의 자리를 대신했다.
1910년 경술국치에 이르자 분노와 슬픔에 빠져 방황하기도 했으나 어머니의 훈계로 본격적인 학문 탐구에 매진해 그만의 실천적 유학 사상을 다지게 된다. 1919년 3·1 운동 당시에 33인의 독립 선언문에 유림의 서명이 빠진 것을 부끄럽게 여기며 파리 장서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파리에서 열리는 만국 평화회의에 유림단 대표로 파견되어 자립과 자치를 희망하는 한국민의 뜻을 세계에 알렸다.
김창숙은 1919년 4월 30일 상하이의 한인 거류민단 사무소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4차 회의에서 경상도 의원에 선임되었고, 이어 7월 7일의 5차 회의에서는 교통 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다. 이처럼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게 되면서 김창숙은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쑨원(孫文)과 만남을 갖는 등의 활동을 통해 한국 독립의 필요성을 알리고 독립운동에 대한 지원을 약속받는 독립 외교 운동을 펼친다. 리원즈(李文治) 등 중국의 인사들은 한국 독립 후원회를 결성, 자금을 모아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원하기로 했지만 얼마 못 가 활동이 중단되고 한국 측 임정 인사들과 중국 측 인사들의 협력 단체인 중한 호조회가 조직되는데 김창숙이 이를 제안했다.
1920년대에는 주로 베이징에서 활동하면서 신채호 등과 함께 ≪천고≫를 간행하고, 박용만이 1921년 6월 조직한 무장 독립운동 단체인 보합단의 재무부 책임을 맡기도 했다. 1923년 11월에는 보합단의 부단장이 되었다. 1924년 봄에는 참의부의 군사 고문에 추대되었으며 1925년에는 독립군 기지 건설을 도모하기에 이른다. 소요 자금 20만 원, 기간 10년으로 계획된 독립군 기지 건설은 자금 모집에 실패해 수포로 돌아가고 1926년 2월 의열 투쟁으로의 방향 전환을 선포한다. 나석주의 의열 투쟁은 김창숙이 나석주에게 무기와 행동 자금을 제공하면서 일어날 수 있었다.
김창숙은 1927년 6월 14일 상하이의 영국인 병원에서 치료 중 일정의 고발로 인해 체포되었다. 14년 형을 받고 대전 형무소에서 복역 중 혹독한 고문으로 두 다리가 마비되어 1934년 형 집행 정지로 출옥했다. 출옥 후에도 창씨개명에 반대하는 등 항일 운동을 계속하다 1945년 8월 7일 건국 동맹의 남한 책임자로 추대된 사실이 발각되어 구속되어 있던 중 해방을 맞이했다.
해방 이후에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 위원, 비상 국민회의 최고 민중 지도자 등을 역임하면서 반탁 운동을 전개하는 등 건국을 위한 활동을 이어 갔다. 유림을 규합해 유도회(儒道會)를 조직하고 성균관대학교를 창립해 초대 학장에 취임했다. 6·25 전쟁 후에는 이승만 정권에 저항하다 테러를 당하기도 했다. 1962년 서울 중앙의료원에서 지병으로 생을 마감했다.

목차

면우 곽 선생(?宇郭先生)께 올림
면우 곽 선생(?宇郭先生)께 올림
장회당 석영(張晦堂錫英)께 답함
장회당(張晦堂)께 올림
장회당(張晦堂)께 답함
하대흥 용제(河大興龍濟)께 답함
이장 충약 현학(李丈忠若鉉鶴)께 답함
하의경(河毅卿)께
하의경(河毅卿)께 답함
하의경(河毅卿)께
이성률 갑종(李聖律甲鍾)에게
이성률(李聖律)에게 답함
심응장 학환(沈應章鶴煥)에게 답함
심응장 진환 재인 재선(沈應章瑨煥載仁載璿)에게 답함
심응장(沈應章)에게 답함
이성재 경(李聖才俓)에게 보냄
이충부 기정(李忠夫基定)에게 답함
허홍중 상규(許鴻仲祥奎)에게 답함
이선칠 재락(李璇七在洛)에게 답함
이회응 원낙(李會應源洛)에게
이회응(李會應)에게 답함
홍벽초 명희(洪碧初命憙)에게 답함
김일주 진우(金一州振宇)에게
김일주(金一州)에게 답함
김일주(金一州)에게 답함
김일주(金一州)에게 답함
이무경 호진(李武卿浩珍)에게 답함
이운경 호백(李雲卿浩百)에게 답함
손덕부 후익(孫德夫厚翼)에게 답함
손덕부(孫德夫)에게
손덕부(孫德夫)에게 답함
손덕부(孫德夫)에게 답함
손덕부(孫德夫)에게 답함
손덕립 걸수(孫德立傑秀)와 우서 영익(禹瑞榮翼)에게 답함
매서(妹?) 이경여 길호(李敬汝吉浩)에게 답함
이경여 길호(李敬汝吉浩)에게
이경여 길호(李敬汝吉浩)에게 답함
이경여(李敬汝吉浩)에게 답함
최운경 봉곤(崔雲卿鳳坤)에게 답함
이우삼 상건(李友三相虔)에게
이상화 정기(李尙華定基)에게 답함
장치양 세명(張致陽世明)에게
정영식(鄭榮植)에게 답함
생질(甥姪) 하덕희 종도(河德羲鍾圖)에게 답함
생질(甥姪) 이태환(李泰桓)에게
생질(甥姪) 이태환(李泰桓)에게
안동(安東)과 구미(龜尾)의 도회소(道會所)에 보냄
진주(晋州) 수정당(守正堂)의 사림(士林)에게
유재순(劉載淳)에게
조국현(曺國鉉)에게 답함
조국현(曺國鉉)에게 답함
족조(族祖) 전천 인락(前川麟洛)께 올림
족조(族祖) 매서 극영(梅西克永)께 올림
족조(族祖) 매서(梅西)께 올림
족조(族祖) 매서(梅西)께 답하여 올림
압현(鴨峴) 제족(諸族)에게
족숙(族叔) 성림(聲林)에게
족조(族祖) 중호 원(仲浩源)께
족형 윤겸 창조(允謙昌祚)께
종제(從弟) 경능 창백(敬能昌百)에게
족질(族姪) 순우 홍기(順遇鴻基)에게
족숙(族叔) 이경 건(而敬楗) 이회 황(而晦榥)께
족숙(族叔) 이경(而敬)·이회(而晦)께
족숙(族叔) 이경(而敬)께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답함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답함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답함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답함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답함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답함
족숙(族叔) 이회(而晦)께
족제(族弟) 창신(昌臣)에게
족제(族弟) 창희(昌禧)·창기(昌祺)에게
족제(族弟) 창락(昌洛)에게
족제(族弟) 창갑(昌甲)에게
족질(族姪) 현기(玄基)에게
족질(族姪) 현기(玄基)에게 답함
족질(族姪) 현기(玄基)에게 답함
족질(族姪) 현기(玄基)에게 답함
아들 환기(煥基)에게
아들 승우(承宇)에게
아들 승로(承老)에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한국수필문학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