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수서 지리지 상세페이지

수서 지리지작품 소개

<수서 지리지> 국내 최초의 수나라 역사서, ≪수서≫
대운하를 판 나라, 고구려를 침입했다가 살수대첩으로 무너진 나라, 그게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수나라다. 상고시대부터 한나라까지의 역사가 ≪사기(史記)≫에 담겨 있다면, 혼란했던 남북조 시대를 통일한 수나라의 역사는 ≪수서(隋書)≫에 담겨 있다. 그중 <경적지(經籍志)>는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다음으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사지(史志) 도서목록이다. 수나라의 장서뿐만 아니라 위진남북조 시기 도서들의 전래 과정을 잘 기술하고 있어 역대로 많은 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혼란을 바로잡은 통일 왕조 수나라의 역사서
≪수서≫는 수(隋)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紀傳體) 사서(史書)로, ≪사기(史記)≫·≪한서(漢書)≫ 등과 함께 중국의 정사인 24사(史) 중 하나로 꼽힌다. 수나라는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했던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기에 종지부를 찍은 통일 왕조다. 수나라는 폭군의 대명사로 알려진 양제(煬帝), 남과 북의 교류를 촉진한 대운하, 네 차례에 걸친 고구려와의 전쟁,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으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위진남북조의 혼란한 시기를 통일한 대제국 수나라는 581년 문제(文帝) 양견(楊堅)의 건국부터 618년 양제 양광(楊廣)이 멸망하기까지 불과 37년 만에 역사에서 사라졌다. 수나라의 멸망은 진시황(秦始皇)의 진(秦)나라와 유사하다. 2대에서 멸망했다는 점, 멸망한 후 한나라와 당나라라는 강한 왕조가 탄생했다는 점, 오랜 기간 이어진 난세를 통일했다는 점 등이 그렇다. 대제국을 형성했던 왕조의 흥망성쇠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흥미로운 내용과 교훈을 제공한다. 여기에 수나라는 고구려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수서≫를 읽는 것은 이처럼 흥망과 치란의 교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 역사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지리지>와 그 구성
≪수서≫ <지리지>는 ≪수서≫에 수록된 십지(十志) 중 한 편이다. ≪수서≫ 권29∼권31에 해당하고, 상·중·하 3편으로 이뤄져 있다. <지리지>는 원래 당 태종(太宗) 정관(貞觀) 15년(641년)에 편찬되기 시작해 당 고종(高宗) 현경(顯慶) 원년(656년)에 완성된 ≪오대사지(五代史志)≫의 일부로 편찬되었다가 후에 ≪수서≫에 편입되었다. 진(晋)과 남조 송(宋)나라에서 수나라에 이르는 300여 년간의 주·군·현의 연혁과 각 지역의 민속과 물자 등의 설명이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지리지>는 전체적으로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총서(總序) 부분이다. 총서는 ≪수서≫ <지리지>의 가장 앞쪽에 있다. 본지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에 해당한다. 이곳에서는 지리 개념과 효용, 역대 왕조들의 지리 제도와 그 변혁 과정, 남조 양나라에서 수나라에 이르는 각 왕조의 군과 현의 수와 세대수 및 개간한 토지 면적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둘째는 <지리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군(郡)에 대한 소개다. 본지에 수록된 군은 경조군(京兆郡)에서 희평군(熙平郡)까지 총 207개다. 군에 대한 소개는 또 두 가지 내용, 즉 해당 군 소개와 군이 거느린 현 소개로 이뤄진다. 군 소개에서는 해당 군의 명칭, 위치, 연혁, 관서 및 관할하는 현과 세대의 수를 소개한다. 현 소개에서는 해당 현의 명칭 변화, 연혁, 해당 지역의 대표적인 산·하천·염전·식량창고·관서·광산·장성(長城) 등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마을의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
셋째는 중국의 전통적인 지역 구분 개념인 구주(九州)에 의거해 군들을 묶고, 해당 군의 유래와 풍속, 사람들의 기질, 물자 등을 설명했다. 이 부분에서는 지역의 독특한 풍속·혼인·장례·놀이 등을 소개하고 있어 지역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고구려 기록
<지리지>에서 고구려 관련 지명을 크게 두 군데서 볼 수 있다. 첫째는 권30, <지리지> 중편의 ‘안락군(安樂郡)’에 나오는 안시(安市)라는 지명이다. “옛 안락군이 안시(安市)·토은(土垠) 두 현을 관할한다”라고 기록했다. 안시는 양만춘 장군의 안시성(安市城)이 있었던 곳으로 추측되기에 주목된다. 둘째는 같은 편의 ‘요서군(遼西郡)’에 보이는 영주(營州)와 요동(遼東)의 명칭이다. ‘요서군’에는 영주총관부(營州總管府)를 두었다가 대업 초년에 폐지한 일이 나오고, 그 아래 ‘유성(柳城)’에는 “북위 때 화룡성에 영주를 두고, 건덕·기양·창려·요동·낙랑·영구 등의 군을 거느렸다”고 했다. 영주는 영양왕(嬰陽王)이 말갈(靺鞨) 기병 3만 명을 이끌고 공격했던 곳으로 유명한데, 훗날 고구려와 수의 전쟁이 일어나는 단초가 되는 곳이다. 요동은 요수(遼水)의 동쪽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요서와 상대되는 명칭이다. 이곳은 고구려가 차지한 땅으로, 고구려가 수 양제의 100만 대군과 격전을 벌인 곳이다. 여기서 또 주목해야 할 것은, ≪수서≫ <지리지>에는 요동군(遼東郡)은 보이지 않고, 위의 기록처럼 ‘요동을 거느렸다’라고만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요동 지역이 수나라의 행정력이 미치지 않았던 땅이었음을 말해 준다. 더 나아가 수나라가 이곳과 가까운 영주에서 요동 지역을 통제하려고 했음도 엿볼 수 있다.


이 책의 시리즈


저자 프로필

위징 魏徵

2023.07.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당나라 초기의 명재상이다. 자는 현성(玄成)이고, 거록군(巨鹿郡) 하곡양현(下曲陽縣) 사람이다. 일찍이 수(隋)나라의 위공(魏公) 이밀(李密)을 따라 수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당(唐) 고조(高祖) 무덕(武德) 원년(618년)에 당나라에 귀순했다. 정관(貞觀) 원년(627년)에 간의대부(諫議大夫)·비서감(秘書監) 등을 지냈고, 고적(古籍)을 정리하고 ≪수서(隋書)≫의 편찬 작업에도 참여했다. 후에 시중(侍中)·태자태사(太子太師)에 임명되었고 정국공(鄭國公)에 봉해졌다. 직언을 잘했고 왕도정치를 주창했다. 태종(太宗)을 보좌해 정관지치(貞觀之治)를 이룩했다. 정관 17년(643년)에 세상을 떠났다. 저작으로는 ≪수서≫를 비롯해 ≪정관정요(貞觀政要)≫·≪군서치요(群書治要)≫ 등이 있다.


저자 소개

지은이 위징(魏徵)은 당나라 초기의 명재상이다. 자는 현성(玄成)이고, 거록군(巨鹿郡) 하곡양현(下曲陽縣) 사람이다. 일찍이 수(隋)나라의 위공(魏公) 이밀(李密)을 따라 수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당(唐) 고조(高祖) 무덕(武德) 원년(618년)에 당나라에 귀순했다. 정관(貞觀) 원년(627년)에 간의대부(諫議大夫)·비서감(秘書監) 등을 지냈고, 고적(古籍)을 정리하고 ≪수서(隋書)≫의 편찬 작업에도 참여했다. 후에 시중(侍中)·태자태사(太子太師)에 임명되었고 정국공(鄭國公)에 봉해졌다. 직언을 잘했고 왕도정치를 주창했다. 태종(太宗)을 보좌해 정관지치(貞觀之治)를 이룩했다. 정관 17년(643년)에 세상을 떠났다. 저작으로는 ≪수서≫를 비롯해 ≪정관정요(貞觀政要)≫·≪군서치요(群書治要)≫ 등이 있다.
지은이 영호덕분(令狐德棻)은 당나라 초기의 대신이자 사학자다. 자는 계형(季馨)이고, 의주(宜州) 화원(華原) 사람이다. 문학과 역사를 두루 섭렵했고 글을 잘 지었다. 수나라 말에는 약성현령(藥城縣令)으로 있었다. 당 고조 이연(李淵)이 군사를 일으키자 그에게 귀순했고, 예부시랑(禮部侍郎)·태상경(太常卿) 등을 지냈다. 당 고조에게 양(梁)·진(陳)·북주(北周)·북제(北齊)·수(隋)나라의 정사를 편찬할 것을 처음으로 주청했고, 직접 ≪주서(周書)≫의 편찬을 맡기도 했다. 당 고종(高宗) 이치(李治) 건봉(乾封) 원년(666년)에 84세로 세상을 떠났다. 저작으로는 ≪오대사지(五代史志)≫·≪태종실록(太宗實錄)≫·≪능연각공신고사(凌煙閣功臣故事)≫ 등이 있다.

권용호는 경북 포항 출생으로 중국 난징대학교 중문과에서 고전 희곡을 전공했으며, 위웨이민(兪爲民) 선생의 지도 아래 <송원남희곡률연구(宋元南戱曲律硏究)>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동대학교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중국 고전 문학의 연구와 번역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거시적 관점에서의 중국 문학 연구와 중국학의 토대가 되는 경전의 읽기와 번역에 관심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에 세 차례 선정된 바 있다(2001년, 2007년, 2018년). 저서로는 ≪아름다운 중국 문학 1≫, ≪아름다운 중국 문학 2≫, ≪중국 문학의 탄생≫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는 ≪중국 역대 곡률 논선≫, ≪송원희곡사≫, ≪중국 고대의 잡기≫(공역), ≪그림으로 보는 중국 연극사≫, ≪초사≫, ≪장자 내편 역주≫, ≪꿈속 저 먼 곳−남당이주사≫(공역), ≪송옥집≫, ≪서경≫, ≪한비자≫, ≪경전석사역주≫ 등이 있다.

목차

권29 지24 지리 상(上)

옹주(雍州)
경조군(京兆郡)
풍익군(馮翊郡)
부풍군(扶風郡)
안정군(安定郡)
북지군(北地郡)
상군(上郡)
조음군(雕陰郡)
연안군(延安郡)
홍화군(弘化郡)
평량군(平凉郡)
삭방군(朔方郡)
염천군(鹽川郡)
영무군(靈武郡)
유림군(楡林郡)
오원군(五原郡)
천수군(天水郡)
농서군(隴西郡)
금성군(金城郡)
포한군(枹罕郡)
요하군(澆河郡)
서평군(西平郡)
무위군(武威郡)
장액군(張掖郡)
돈황군(敦煌郡)
선선군(鄯善郡)
차말군(且末郡)
서해군(西海郡)
하원군(河源郡)

양주(梁州)
한천군(漢川郡)
서성군(西城郡)
방릉군(房陵郡)
청화군(淸化郡)
통천군(通川郡)
탕거군(宕渠郡)
한양군(漢陽郡)
임조군(臨洮郡)
탕창군(宕昌郡)
무도군(武都郡)
동창군(同昌郡)
하지군(河池郡)
순정군(順政郡)
의성군(義城郡)
평무군(平武郡)
문산군(汶山郡)
보안군(普安郡)
금산군(金山郡)
신성군(新城郡)
파서군(巴西郡)
수녕군(遂寧郡)
부릉군(涪陵郡)
파군(巴郡)
파동군(巴東郡)
촉군(蜀郡)
임공군(臨邛郡)
미산군(眉山郡)
융산군(隆山郡)
자양군(資陽郡)
노천군(瀘川郡)
건위군(犍爲郡)
월휴군(越巂郡)
장가군(䍧柯郡)
검안군(黔安郡)


권30 지25 지리 중(中)

예주(豫州)
하남군(河南郡)
형양군(滎陽郡)
양군(梁郡)
초군(譙郡)
제음군(濟陰郡)
양성군(襄城郡)
영천군(潁川郡)
여남군(汝南郡)
회양군(淮陽郡)
여음군(汝陰郡)
상락군(上洛郡)
홍농군(弘農郡)
석양군(淅陽郡)
남양군(南陽郡)
육양군(淯陽郡)
회안군(淮安郡)

연주(兗州)
동군(東郡)
동평군(東平郡)
제북군(濟北郡)
무양군(武陽郡)
발해군(渤海郡)
평원군(平原郡)

기주(冀州)
신도군(信都郡)
청하군(淸河郡)
위군(魏郡)
급군(汲郡)
하내군(河內郡)
장평군(張平郡)
상당군(上黨郡)
하동군(河東郡)
강군(絳郡)
문성군(文城郡)
임분군(臨汾郡)
용천군(龍泉郡)
서하군(西河郡)
이석군(離石郡)
안문군(雁門郡)
마읍군(馬邑郡)
정양군(定襄郡)
누번군(樓煩郡)
태원군(太原郡)
양국군(襄國郡)
무안군(武安郡)
조군(趙郡)
항산군(恒山郡)
박릉군(博陵郡)
하간군(河間郡)
탁군(涿郡)
상곡군(上谷郡)
어양군(漁陽郡)
북평군(北平郡)
안락군(安樂郡)
요서군(遼西郡)

청주(靑州)
북해군(北海郡)
제군(齊郡)
동래군(東萊郡)
고밀군(高密郡)


권31 지26 지리 하(下)

서주(徐州)
팽성군(彭城郡)
노군(魯郡)
낭야군(琅邪郡)
동해군(東海郡)
하비군(下邳郡)

양주(揚州)
강도군(江都郡)
종리군(鍾離郡)
회남군(淮南郡)
익양군(弋陽郡)
기춘군(蘄春郡)
여강군(廬江郡)
동안군(同安郡)
역양군(歷陽郡)
단양군(丹陽郡)
선성군(宣城郡)
비릉군(毗陵郡)
오군(吳郡)
회계군(會稽郡)
여항군(餘杭郡)
신안군(新安郡)
동양군(東陽郡)
영가군(永嘉郡)
건안군(建安郡)
수안군(遂安郡)
파양군(鄱陽郡)
임천군(臨川郡)
여릉군(廬陵郡)
남강군(南康郡)
의춘군(宜春郡)
예장군(豫章郡)
남해군(南海郡)
용천군(龍川郡)
의안군(義安郡)
고량군(高凉郡)
신안군(信安郡)
영희군(永熙郡)
창오군(蒼梧郡)
시안군(始安郡)
영평군(永平郡)
울림군(鬱林郡)
합포군(合浦郡)
주애군(朱崖郡)
영월군(寧越郡)
교지군(交趾郡)
구진군(九眞郡)
일남군(日南郡)
비경군(比景郡)
해음군(海陰郡)
임읍군(林邑郡)

형주(荊州)
남군(南郡)
이릉군(夷陵郡)
경릉군(竟陵郡)
면양군(沔陽郡)
원릉군(沅陵郡)
무릉군(武陵郡)
청강군(淸江郡)
양양군(襄陽郡)
용릉군(舂陵郡)
한동군(漢東郡)
안륙군(安陸郡)
영안군(永安郡)
의양군(義陽郡)
구강군(九江郡)
강하군(江夏郡)
풍양군(灃陽郡)
파릉군(巴陵郡)
장사군(長沙郡)
형산군(衡山郡)
계양군(桂陽郡)
영릉군(零陵郡)
희평군(熙平郡)

부록 : ≪수서(隋書)≫ 전체 구성과 전체 목차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