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설원1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인문

설원1

소장종이책 정가25,000
전자책 정가50%12,500
판매가12,500
설원1 표지 이미지

리디 info

* 본 도서는 본문이 일부 한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도서 이용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설원1작품 소개

<설원1> 진 평공(晉平公)이 사광(師曠)에게 물었다.
“임금 노릇하는 도리는 어떠해야 하는가?”
사광이 대답하였다.
“임금 노릇하는 도리는 정치(政治)를 간결하고 번거롭지 않게 하여 백성을 널리 사랑하는 데 힘쓰고 어진 이를 뽑아 맡기는 일을 서두르며, 귀와 눈을 넓게 열어 만방(萬方)의 일을 살펴야 합니다. 유속(流俗)에 단단히 빠지지 않고 측근에 얽매이지 않으며, 마음을 활짝 열어 멀리까지 내다보고 우뚝하게 자신의 주장을 세우며, 자주 관리(官吏)의 공적을 살펴서 신하 위에 군림해야 하니, 이것이 임금이 지켜야 할 조목입니다.”
평공이 말하였다.
“훌륭한 말이다.” -권1 <군도(君道)>
제 환공(齊桓公)이 대신(大臣)들을 위해 술자리를 마련하여 정오쯤에 모이기로 약속하였다. 관중(管仲)이 뒤늦게 도착하자 환공이 술잔을 들어 벌주(罰酒)를 마시게 하였는데, 관중은 술을 반만 마시고 반은 버렸다. 환공은 말하였다.
“약속 시간에 늦게 도착하여 벌주를 마시면서 술을 버렸으니 예의에 있어 옳은 일이오?”
이에 관중은 대답하였다.
“신(臣)은 들으니, 술이 입에 들어가면 많은 말이 나오니, 말이 많이 나오면 말실수를 하게 되고, 말실수를 하면 몸을 버린다고 합니다. 신(臣)은 몸을 버리는 것보다 술을 버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환공은 웃으면서 말하였다.
“중부(仲父)는 일어나 자리에 들어가 앉으시오.” -권10 <경신(敬愼)>



통치자의 교과서
≪설원(說苑)≫의 저자 유향(劉向, B.C. 77~B.C. 6)은 서한(西漢)을 대표하는 학자로서, 경학(經學), 문학(文學), 그리고 목록학(目錄學)에 걸쳐 많은 학문적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이 책에는 중국 고대(古代)로부터 시작하여 유향이 살던 한(漢)나라 때까지의 갖가지 교훈적 일화(逸話)와 명언(名言), 경구(警句) 등이 망라되어 있으며, 이를 생동감 있고 재미있는 문답과 이야기의 형식을 빌려 구성함으로써 유가(儒家)의 통치이념과 윤리도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 까닭에 중국은 물론이요,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히고 국가적으로 여러 차례 간행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책은 정치 일선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이 책에 실린 일화와 명언, 경구들이 왕의 입장에서는 신하들에게 교시(敎示)를 내리거나, 신하의 입장에서는 왕에게 간언(諫言)을 올리는 데 적절한 자료를 제공해주었기 때문이다. ≪설원≫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주제도 ‘통치자 자신의 수신(修身)이 정치적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이라는 데 있다.

역사적 인물 사이의 대화 형식
이 책은 모두 2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임금 노릇하는 도리부터 시작하여, 신하 노릇하는 방법, 근본을 세우는 것, 절의를 지키는 것, 덕을 귀중히 여기는 것, 은혜에 보답하는 것,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 인재 등용, 충직한 간언(諫言), 근신과 겸손, 설득력 있는 언설(言說), 사신(使臣)의 도리, 올바른 권모와 지략, 공평무사(公平無私), 국가적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무력(武力), 자연현상, 예악문물(禮樂文物), 실질(實質)의 중요성 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는 대체로 대화(對話) 형식을 빌려 서술되어 있으며, 이 대화는 실존했던 역사적 인물 사이에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이 책에 실린 이야기의 역사적 신빙성과 사실성이 뒷받침되어, 독자들이 더욱 생생하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고대 문헌의 고증 자료
≪설원≫이 지니는 학술적 가치는, 고증 자료로써의 방대함에 있다. 선진시대(先秦時代)로부터 한대(漢代)까지의 다양한 자료들이 실려 있어, 경서(經書)를 비롯한 여타 고대 문헌들의 자구(字句)와 명물(名物) 등에 관한 각종 고증 자료로도 많이 인용되었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도 ≪맹자요의(孟子要義)≫,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시경강의(詩經講義)≫, ≪상서고훈(尙書古訓)≫, ≪매씨서평(梅氏書平)≫, ≪춘추고징(春秋考徵)≫, ≪상례사전(喪禮四箋)≫ 등 자신의 주요 저서에서 ≪설원≫을 고증의 중요한 출처로 인용한 바 있다.

현재 통행본의 근간이 된 고려본(高麗本)
현재 통행되고 있는 ≪설원≫은 고려(高麗)에서 소장하고 있던 책이 근간이 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송(宋)나라 초기에 이 책을 간행할 때, 마지막 편인 <반질(反質)>이 빠져 있었다. 바로 이 부분을 보충하는 일은 고려에 있던 책을 입수함으로써 가능했다. 고려 선종(宣宗) 8년(1091), 송나라에서는 고려 사신을 통해 고려에 있는 100여 종의 서적을 요구하였으며, 이 속에 ≪설원≫ 20권이 들어 있었다. 고려에서 이 요구에 응함으로써 고려본 ≪설원≫이 송나라에 유입되었으며, 그제야 비로소 송나라에서는 완질(完帙)이 갖추어지게 되었다.
훗날 돈황 석실의 문헌에서 ≪설원≫ <반질>편 잔권이 발견되었는데, 그 내용이 현전하는 판본과 큰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고려본이 온전한 판본이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적 수용과 보급
≪설원≫이 우리나라에 언제 처음 수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적어도 고려 건국 이전에 이미 많이 읽혔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의 학자 성해응(成海應, 1760∼1839)은 <설원고려본설(說苑高麗本說)>에서 “낙랑(樂浪) 때 조공(朝貢)을 하면서 혹 ≪설원≫의 비본(秘本)이 우리나라로 들어왔다가 고려 때에 이르러서 송나라에 다시 바친 것이 아닌가 한다.”고 유추하였다.
기록상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제4권 덕종(德宗) 3년(1034)의 아래와 같은 언급이다.
“여름 4월에 동지중추원사 최충(崔冲)이 아뢰기를 ‘성종(成宗) 때에 내외 모든 관청 벽에 모두 ≪설원≫의 육정(六正)․육사(六邪)의 글과 한(漢)나라 자사(刺史)의 육조령(六條令)을 써서 붙이게 하였는데, 지금은 세대가 이미 오래되었으니 다시 새로 써 붙여서 벼슬에 있는 사람에게 신칙할 바를 알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이 기록에 의하면 고려 제6대 군주인 성종(재위 981~997) 때 이미 ≪설원≫은 국가 공공기관에 지켜야 할 강령으로 게시될 만큼 보편적으로 읽혔음을 알 수 있다. 풍속을 교화하고 국가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이보다 더 간명하고 핵심적인 조항이 없다고 생각해서였던 것이다.



출판사 서평

전문가의 연구번역
본 역주서(譯註書)는 수십 년간 고전 번역과 후학 양성에 종사한 전문가가, 국내외의 수많은 교주본(校註本)과 번역본(飜譯本)을 두루 참고하여 학술적으로 연구번역한 책이다.
단락별로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실어놓고, 원문에는 원문의 문장구조를 한국적인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나라 전통적 방식의 현토(懸吐)를 하였다. 또한 주석은 관련 고사(故事)와 인물(人物)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이나 제도적인 측면까지 심도 있게 밝혀 독자들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

동양고전에 접근하는 통로
오늘날 유가(儒家)로 대표되는 동양의 윤리와 정치이념은 어렵고 낡은 것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없지 않다. 게다가 유가 경전을 포함한 대부분의 동양고전들은 현대어로 번역을 한다 해도 일반 독자들이 선뜻 다가가기에 쉽지 않은 면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비교적 쉽고 재미있는 대화와 이야기로 이루어진 이 책은, 오늘의 독자들이 동양고전에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통로와도 같은 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언(金言)으로 삼을 만한 명구(名句)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는 짤막짤막한 문답과 일화들을 읽다 보면, 멀고 고리타분하게 느껴졌던 동양의 전통적인 윤리와 정치이념들이 어느새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 있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저자 프로필

허호구

  • 경력 한국국학진흥원 강사
    민족문화추진회 강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수석팀장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수료

2016.08.1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허호구(許鎬九)
경남 진주(晉州) 출생으로, 어려서부터 한학(漢學)을 수학였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을 수료하였고,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편찬실(漢韓大辭典編纂室) 수석팀장을 지냈다. 현재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초빙교수,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교육원 강사, 한국국학진흥원 한문교육원 강사, 전통문화연구회 국역위원 및 편집위원으로 있다.
논문(論文)로는 <한문성독고(漢文聲讀考)>가 있으며, 역서(譯書)로는 ≪퇴계전서(退溪全書)≫(공역), ≪다산집(茶山集)≫(공역), ≪선조실록(宣祖實錄)≫(공역), ≪정조실록(正祖實錄)≫(공역), ≪국어(國語)≫(공역), ≪주주맹자(朱注孟子)≫, ≪주주논어(朱注論語)≫ 등 다수가 있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解 題
凡 例
參考文獻
說苑序 ≪說苑≫의 서문
卷1 君道 임금 노릇하는 도리
卷2 臣術 신하 노릇하는 방법
卷3 建本 根本을 세움
卷4 立節 節義를 세움
卷5 貴德 德을 귀중히 여김
卷6 復恩 은혜에 보답함
卷7 政理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
卷8 尊賢 어진 사람을 존중함
卷9 正諫 바른말로 直諫해야 함
卷10 敬愼 남을 恭敬히 대하고 일을 愼重히 처리함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동양고전 역주총서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