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오늘도 출근길이 지옥 같은 당신에게
먼저 겪고 많이 아파 본 그녀가 전하는 치유와 위로의 이야기
번아웃은 ‘과도함’의 질병이다. 일을 너무 사랑해서 자기 자신은 뒷전인 사람들, 성취에 매몰되어 자신이 곧 일이 되어 버린 사람들, 살아남고자 완벽주의를 선택한 사람들, 타고난 예민함과 민감성을 억누르며 삶을 버텨내는 사람들, 조직과 타인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하는 사람들, 인간성이 고갈된 조직에 순응하는 사람들. 그 과도함이 지나쳤을 때 무기력, 번아웃, 우울증이 오고 급기야 삶을 멈춰 서야 하는 순간이 온다.
그녀 역시 그랬다. 열심히 공부해 좋은 학력을 얻고, 번듯한 직장을 얻어 성실히 자신의 최선을 다했다. 하지만 그러는 동안 몸은 계속 위기 신호를 보냈고, 그 신호를 무시한 그녀에게 번아웃이 찾아왔다. 그리고 방치된 번아웃은 공황장애와 우울증으로 이어져 마침내 그녀의 모든 것을 멈춰 세웠다.
이 책은 번아웃을 겪은 환자, 내담자, 직장인으로서의 평범함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결국은 평범함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이야기이다.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결국은 자기 자신을 상실해 버린 한 사람이 ‘자기다움’을 회복해 가는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얻은 지식과 깨달음을 담고 있다. 번아웃을 치유하는 과정에서 전문의와 상담사에게서 얻은 전문적 조언은 물론, 자신에게 찾아온 고통의 본질을 알아내기 위해 그녀 스스로 깊게 공부하고 체득한 과학적, 심리학적 정보와 지식을 이 책에 고스란히 담아 전달하고 있다. 또한 몸과 마음의 치유를 넘어 가장 나답게 사는 삶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전문의도 상담사도 아닌 그녀의 말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그녀 또한 우리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녀가 겪은 고통과 그 고통을 치유하기 위한 여정에 더 깊게 공감하고 위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당신이 힘들지만 힘들다고, 지쳤지만 지쳤다고 말할 수 없어 고통받고 있다면 그녀의 말에 귀 기울여 보자.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가 오늘도 출근길이 지옥 같은 당신에게 고통을 치유하고 나다움을 찾아가는 단서가 되길 바란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고통으로 인해 ‘평범한 삶’이 무너지는 순간이 오히려 무기력에 마취되어 있던 삶에서 깨어나는 기회이자, 자신의 삶을 더 사랑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가장 나다운 삶을 살고 싶은 비범한 당신에게
직장인 익명 앱 ‘블라인드’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 10명 9명은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한다. 번아웃을 경험한 이들이 흔히 겪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며칠 쉬어도 컨디션이 회복되지 않고, 쉬더라도 업무를 다시 시작하면 곧 에너지가 소진된다.
- 회사 업무에 부담을 느끼고, 사람 만나는 일이 불안해진다.
- 전에는 잘 해냈던 일들이 지금은 자신이 없어졌다. 지금까지 어떻게 해냈는지 모르겠다.
- 너무 힘들다는 생각에 퇴사를 고려 중이다.
- 집중력이 자주 떨어지고, 멍하게 보내는 시간이 늘었다.
- 종일 거의 무표정한 채로 있다.
- 우울감, 불안감, 공황발작 등의 증세가 있다.
번아웃은 멈춰야 할 때 멈추지 않아서 오는 질병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증상을 인식하고 멈춰 서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기는 쉽지 않다. 너무도 바쁘게 자기 역할을 하는 사람들 틈에서 힘듦과 지쳤음을 인정하는 것 자체를 패배자의 낙인으로 인식하므로. 그렇게 오늘도 수만 가지 얼굴을 한 개인의 삶들이 ‘평범함’이라는 가면 뒤에서 극심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당연한 듯 견뎌내고 있다.
그래서 그녀는 ‘힘듦’을 인정하는 것부터가 용기라고 이야기한다. 더 이상 고통받지 않는, 온전한 자신 자신의 삶으로 용기 있게 첫발을 내디딘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그런 용기를 내 보기로 마음먹은 이들을 위해 그 고통의 터널에서 빠져나와 온전한 나 자신의 삶을 찾는 방법을 안내한다.
1장은 그녀 자신의 이야기이자 우리의 이야기이다. 그녀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왜 사회적 가면을 벗지 못하는지, 그리고 번아웃에 빠질 수밖에 없는지 알게 된다. 2~4장은 번아웃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한 치유의 이야기다. 기울어진 몸과 마음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심리학적, 과학적 조언과 함께 끔찍한 삶이라는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삶을 되찾는 길을 안내한다.
5~6장은 번아웃이 오지 않도록 하는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다. 성실의 감옥에 갇혀 고통을 견뎌내는 이들에게 사회적 가면을 벗고 가장 나다운 삶을 찾는 길을 안내한다. 7장은 회복탄력성을 갖추고 진짜 우리가 원하는 삶을 찾아 나서자는 응원의 메시지다.
그녀는 우리가 나약한 듯 보이지만 우리 안에 삶을 변화시킬 힘과 에너지가 있음을 믿는다. 고통의 터널을 빠져나온 후 자신이 깨달은 그 믿음을 이 책을 통해 전하려 한다. ‘비범한 당신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