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간 정보
- 2018.01.29. 전자책 출간
- 2017.10.13. 종이책 출간
- 파일 정보
- 75.4MB
- 236쪽
- ISBN
- -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이크로소프트웨어 390호> 오픈소스와 오픈데이터는 단순히 무료로 쓰면 되는 소스와 데이터가 아니다. 참여, 공유, 기여를 통해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프로젝트다. 오픈소스와 오픈데이터가 가져온 변화와 결과 예시로 오픈소스를 왜 알아야 하는지,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지,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 알아보자.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패러다임과 급격한 기술 변화를 가져왔다. 새로운 관점으로 학습을 시도해야 할 때다. - 김도균
영리 기업들이 수십조의 연구비를 들여서도 만들지 못한 혁신을 오픈소스가 만들어냈다. 바야흐로 오픈소스는 ‘대세’가 됐다. - 송범근
오픈소스는 공짜가 아니다. 공짜 점심은 없다. 하지만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일반 프로젝트와 다르지 않다. 기능이 부족하면 구현하고, 버그를 발견하면 수정하면 된다. - 임정택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성공 경험을 기업 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해, 공유 및 참여 문화로 성공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만들고 있다. - 정창우
가야할 방향이 명확하다. 시행착오를 견뎌가며 좋은 커뮤니티, 가고 싶은 콘퍼런스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 문현경, 김양원, 이웅재
선배 개발자로서 후배 개발자들에게 좀 더 좋은 개발 환경과 고민할 수 있는 경험을 더 많이 나눠주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을까 고민한 결과 중 하나가 오픈소스다. - 김민태
오픈소스 생태계는 개발자들이 오픈소스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커다란 역할 뿐 아니라 제품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피드백을 수집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박민우
클라우드 서비스가 도커 컨테이너 배포를 지원하기 시작하고 쿠버네티스처럼 활발하게 개발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생기면서,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대기업도 컨테이너를 도입하고 있다. - 이민구
블록체인은 거래 당사자간의 신뢰 확보를 위해 중앙 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 탈중앙화를 달성한 최초의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좀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기회의 문이 천천히, 하지만 분명히 열리고 있다. - 오명운
공공데이터는 투명성, 참여, 협업이 기본 원칙이다. 정부와 시민이 소통하는 출발점이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매개체다. - 김학래
마이크로소프트웨어는 IT 산업과 종사자들과 함께 공부하고(Learn), 첨단 트렌드와 신기술을 시도(Try)하고 그 성과를 모두와 나누는(Share) 지식 산업의 말벗(인공지능 연관어 검색으로 ‘나침반’과 ‘버팀목’을 입력한 결과)이 되겠습니다.
Schema
S1. 오픈소스는 어떻게 대세가 됐는가? - 송범근
S2.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탄생 - 조영준
Opinion
O1. 일상에서 오픈소스 현상을 바라보는 3가지 시선 - 김도균
Future
F1. 가볍게 읽어보는 블록체인 이야기 - 오명운
F2. 이더리움 시작하기 - 제이슨 김
F3. 블록체인의 미래를 방해하는 적 - 김호광
Technology
T1. 이길 수 없다면 같은 편에 서라 - 최주열
T2. 오픈소스에 대한 IBM의생각과 방향 - 정창우
T3.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끈 AWS - 윤석찬
T4. 우아한형제들이 오픈소스를 바라보는 관점, WoowahanJS - 김민태
T5. 멋진 신세계, 컨테이너 - 이민구
T6. 오픈소스 서버리스 플랫폼, 오픈위스크 - 공진기
T7. 아마존 ECS를 위한 새로운 오픈소스 스케줄러, Blox - 김상필
T8.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방향, MS Azure Stack - 백승주
Working
W1. 오픈소스 공헌이 개발자에게 미치는 영향 - 임정택
W2. 오픈소스 백신이 가지는 의미 - 최원혁
W3. 모바일 앱 테스트 자동화를 위한 애피움 활용 - 황희선
W4. 모바일 데이터베이스의 강자, Realm - 박민우
W5. 개발자는 왜 오픈소스를 알아야 하는가 - 박현정
W6. 서울JS의 시작 - 문현경, 김양원, 이웅재
W7. 데이터 과학의 놀이터, 오픈데이터 캐글 - 이상열
Applied
A1. 오토모티브와 오픈소스가 만나면 - 한동준
A2. 오픈소스로 드론을 날려보자 - 차주경
Research
R1. 공공데이터포털 분석 - 김학래
R2. 이미지 인식 기반 쇼핑 앱 '샷핑'과 Faster R-CNN - 남상협
R3. 자바를 튼튼히 하는 FindBugs 커스텀 결합 탐지기 - 우영식
R4. 상용 RDBMS와 오픈소스 DB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선정 - 권순용
Enterprise
E1. 오픈소스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블랙덕 허브 - 김병선, 전재웅
E2. 당 태종과 지미 웨일스는 개방성으로 성공을 거뒀다. - 고평석
E3. 개발자의 시작은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이단비, 한민호, 김형종, 나영균
E4. 우아한 테크캠프의 지향점 - 김정
E5. 오픈핵에서 시작하는 오픈소스의 꿈 - 조병승
4.9 점
8명이 평가함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무료이용권을 사용하시겠습니까?
사용 가능 : 개
<>부터 총 화
무료이용권으로 대여합니다.
무료이용권으로
총 화 대여 완료했습니다.
남은 작품 : 총 화 (원)
마이크로소프트웨어 390호
작품 제목
대여 기간 : 일
작품 제목
결제 금액 : 원
결제 가능한 리디캐시, 포인트가 없습니다.
리디캐시를 충전하시면 자동으로 결제됩니다.
최대 5% 리디포인트 적립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이미 구매한 작품입니다.
작품 제목
원하는 결제 방법을 선택해주세요.
작품 제목
대여 기간이 만료되었습니다.
다음화를 보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