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목적
이 책 “GRE WRITING Argument Task, 왜 마구잡이로 시작해?”는 책 제목에 나타난 바와 같이 GRE WRITING을 시작하는 분들을 위한 안내서이다. 이 책은 Argument Task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지, 어떻게 에세이를 써야 하는지 등을 서술하고 있다.
GRE Argument Task에서 측정하려는 것은 수험생의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와 분석적 글쓰기(analytical writing) 능력이다. 저자의 주장 또는 결론은 불충분한 3가지 근거들을 바탕으로 제시된다. 근거들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저자의 주장/결론을 평가(evaluation) 하기 위해 더 많은 자료들이 필요하다. 그래서, 수험생은 제시된 3가지 근거들이 어떤 면에서 틀린 것인지, 또는 어떤 면을 보완해야 하는지를 써야 한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비판적 사고 능력이다.
분석적 글쓰기는 <분석 + 글쓰기>로서 ‘분석’과 ‘글쓰기’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된다. 수험생은 다음 3가지 과정의 분석을 해야 한다. 첫째, 저자의 주장에서 전제(assumption)는 무엇인가? 둘째, 전제의 심각한 오류는 무엇인가? 또는 전제는 타당한가? 셋째, 이 심각한 오류는 주장을 어떻게 망치는가? 또는 전제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자료가 필요한가?
분석적 글쓰기에서는 위 3가지가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평가 받게 된다.
Argument 에세이를 쓰려면 4가지 유형별 서론, 본론, 결론 쓰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4가지 유형을 무시하고 무턱대고 에세이를 쓰면 좋은 점수를 받기 힘들다. 이 책은 틀린 전제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는 방법, 구체적 증거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는 방법, 질문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는 방법, 대안적 설명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구성
이 책 “GRE WRITING Argument Task, 왜 마구잡이로 시작해?”는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Argument Task의 개관, 제2장은 Argument Task의 지문 구조, 제3장은 Assumption(전제) 찾는 10가지 공식, 제4장은 Argument Task 유형별 지문 분석, 제5장은 Argument Task 유형별 서론, 본론, 결론 쓰기, 제6장은 Argument Task Sample 분석을 서술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Argument Task의 속성, 구성, 채점 기준, 고득점 전략이 서술되고 있다. 제2장에서는 Argument Task의 지문이 주관적인 주장/결론과 객관적인 사실/이유/현상의 연결 관계에 따라 3가지임을 나타내고 있다.
제3장에서는 객관적인 사실/이유/현상이 주관적인 주장/결론과 연결될 때 어떤 전제가 나올 수 있는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제는 주로 인과관계의 혼동 또는 불충분한 증거의 형태로 나타난다. 전제는 그 외에도 2개 대상의 비교, 겉과 속이 같을 것이라는 착각, 부분과 전체의 혼동, 지속성에 대한 착각, 장점만 고려하는 문제점, 경제 개념의 혼동,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와 실제 행동의 착각, 실험 상황과 실제 상황의 혼동에서 도출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Argument Task 유형별 지문 분석을 다룬다. 즉, 틀린 전제 찾기의 지문 분석, 구체적 증거 찾기의 지문 분석, 질문 찾기의 지문 분석, 대안적 설명 찾기의 지문 분석. 유형별 지문 구조를 알면 에세이 초안을 짜는데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지문 구조를 알면 어떤 문장에서 전제를 끌어내야 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제5장에서는 Argument Task 유형별 서론, 본론, 결론 쓰기를 다룬다. 즉, 틀린 전제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기, 구체적 증거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기, 질문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기, 대안적 설명 찾기의 서론, 본론, 결론 쓰기. 이 장에서는 서론, 본론, 결론의 글 쓰기 틀, 즉 template을 다룬다. Template을 알면 주어진 30분 안에 유형별 지시사항이 요구하는 것을 수월하게 쓸 수 있다.
제6장에서는 3개의 에세이 sample을 분석하고 있다. 저자는 3개의 에세이를 서론, 본론, 결론 쓰기의 template에 맞춰 작성한 ETS ScoreItNow! 사이트에 보내 각각 5.0점을 받았다. 어떻게/왜 그런 점수들을 받게 됐는지 분석하고 있다.